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중국의 의료비 상승요인 분석

9 보건의료 조회 수 136 추천 수 0 2017.09.15 14:29:32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아주대학교 : 보건학과 2017.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53584 

중국의 의료비 상승요인 분석 = Causes for rising medical costs of china


  • 저자

    정유미

  • 형태사항

    48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전기홍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보건학과 2017. 8

  • 발행국

    경기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중국의 의료비 상승요인

  • 초록 (Abstract)
    • 목적 : 중국 의료비 상승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중화인민공화국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의 2011년 2012년, 2013년의 「중국위생통계연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31개성 전체를 대상으로 각 성을 분석단위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의사수의 증가 율, 병상수의 증가율, 의료기관수의 증가율, 도시화 정도의 증가, 노인인구의 증가율, 도시와 농촌의 의료보험 가입자의 증가율, 입원수의 증가율이며 총 의료비와 개인당 의료비 증가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모두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입원수의 증가율과 병상수의 증가율이 총 의료비 및 개인의 의료비와 상관관계(<0.001)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다른 변수를 통제한 회귀분석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의 의료비 상승증가에 미친 요인중 하나인 입원수의 증가가 의료비 상승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알았다. 아직 중국의 의료비 증가는 가장 많은 자원을 소모하는 입원진료의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의료비 증가의 초기단계인 것으로 나왔으며, 의사수 증가, 보험적용 인구 증가, 고가 진료행위 증가와 노인인구 증가등이 의료비 증가를 유발하는 단계가 오면 더 가파르게 의료비가 증가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미리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6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79
2627 20 죽음과 죽어감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관계적 자율성 :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가족의 개입을 중심으로 / 이소영 2014  179
2626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심의 표준화 필요성에 관한 제고찰 / 구인회 2007  179
2625 9 보건의료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 이미나 외 2016  179
2624 1 윤리학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 공병혜 2017  179
2623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복제인간과 능동성 연구 / 이진미 2017  179
262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尊嚴死)에 관한 법적고찰 / 남윤봉 2017  179
2621 9 보건의료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 김선욱 외 2014  179
2620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79
2619 12 낙태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 / 이송주 2019  179
261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0
261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2616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 김순은 2017  180
2615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2614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0
261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 송인회 2015  181
2612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261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1
261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2609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