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응용경제학과 2017.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84802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료비에 미치는 효과와 노인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Medical Expenditure of the Elderly and its Determinants


  • 저자

    이현욱

  • 형태사항

    3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사공진
    권두 국문요지 수록
    참고문헌: p. 31-3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응용경제학과 2017.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노인 문제. 복지

  • 초록 (Abstract)
    • 경제발전과 보건의료의 발달로 인한 평균 수명의 연장 등으로 인구구조의 급속한 고령화는 노인계층에 대한 새로운 복지정책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일괄적이고 동일한 내용의 지원 정책이 아닌 개별 노인에게 적합한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이 미시적으로 노인의료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규명해 보고 급증하고 있는 노인의료비 결정요인을 추정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전후의 노인의료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성별이 남자일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세대원 수가 적을수록,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자가 주택일수록, 의료급여를 수급하지 않을수록,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노인의료비는 증가하였다. 흥미를 끄는 설명변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인데 장기요양보험 급여를 받을 경우에 노인의료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수혜 개시연도에 따른 노인의료비 결정요인 분석에서도 2011년과 2012년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正의 효과가 시현되었다. 노양장기요양보험 도입 전후의 입원비와 약제비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여부가 두 비용 모두에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약제비는 남성일수록,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의료급여를 수급하지 않을수록, 만성질환 수가 늘어날수록, 미충족의료를 경험하지 않을수록, 장애가 없을수록 증가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자 중 요양서비스와 요양병원 이용 여부에 따른 노인의료비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요양서비스를 이용한 노인들에 비해 요양병원을 이용한 노인들이 의료비를 더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 보면, 먼저 장기요양보험 급여를 받는 분들이 건강한 노인들에게 비해 의료비를 더 많이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특히 요양시설 거주자를 중심으로 하여 의료의 접근성이 더욱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요양과 치료의 연계, 즉 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연계가 더욱 확립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노인의료비 상승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만성질환에 대한 사전적 예방과 함께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만성질환 관리정책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계층을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시키기 위한 정책이 필요한 바 단순한 구직이 아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직장을 찾을 수 있게 정부가 가교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넷째,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는 나이 대와 무관하게 등급에 따라서만 제공되고 있다. 이를 같은 등급을 받더라도 나이 대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적절하게 조정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제도 운영을 예상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368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일본의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과제/치주루가부모토 2014  120
3367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3366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의 경제적 가치분석 : 이차전지 산업을 중심으로 / 배성훈 2015  120
3365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0
3364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이연승 2014  120
336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 결정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김상희, 이원희 2011  120
3362 15 유전학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이영희 2008  120
3361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2017  120
336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윤영미 외 2017  120
3359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0
3358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사회에서의 기본권 보호문제 / 성정엽 2006  120
3357 2 생명윤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간호연구의 동향 / 최미선 2018  120
3356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준비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합감, 삶의 질의 매개효과 검증 / 조창운 2018  120
335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형이상학으로부터 공동체적 삶의 연대로 / 권수현 2018  120
3354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 주강진 외 2017  120
3353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 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관리 강화 방안 / 정영철 2018  120
3352 9 보건의료 한국인 고혈압 환자의 의료접근성 및 미 충족 의료실태와 위험요인 분석 / 오희영 외 2017  120
3351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 김명숙 외 2018  120
3350 9 보건의료 국민안전과 존엄을 위한 의료법제의 정비 / 정철 2015  120
3349 9 보건의료 탈북보건의료인의 국내 보건의료인 자격취득 지원방안 / 민하주 외 2017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