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응용경제학과 2017.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84802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료비에 미치는 효과와 노인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Medical Expenditure of the Elderly and its Determinants


  • 저자

    이현욱

  • 형태사항

    3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사공진
    권두 국문요지 수록
    참고문헌: p. 31-3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응용경제학과 2017.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노인 문제. 복지

  • 초록 (Abstract)
    • 경제발전과 보건의료의 발달로 인한 평균 수명의 연장 등으로 인구구조의 급속한 고령화는 노인계층에 대한 새로운 복지정책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일괄적이고 동일한 내용의 지원 정책이 아닌 개별 노인에게 적합한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이 미시적으로 노인의료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규명해 보고 급증하고 있는 노인의료비 결정요인을 추정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전후의 노인의료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성별이 남자일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세대원 수가 적을수록,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자가 주택일수록, 의료급여를 수급하지 않을수록,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노인의료비는 증가하였다. 흥미를 끄는 설명변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인데 장기요양보험 급여를 받을 경우에 노인의료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수혜 개시연도에 따른 노인의료비 결정요인 분석에서도 2011년과 2012년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正의 효과가 시현되었다. 노양장기요양보험 도입 전후의 입원비와 약제비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여부가 두 비용 모두에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약제비는 남성일수록,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의료급여를 수급하지 않을수록, 만성질환 수가 늘어날수록, 미충족의료를 경험하지 않을수록, 장애가 없을수록 증가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자 중 요양서비스와 요양병원 이용 여부에 따른 노인의료비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요양서비스를 이용한 노인들에 비해 요양병원을 이용한 노인들이 의료비를 더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 보면, 먼저 장기요양보험 급여를 받는 분들이 건강한 노인들에게 비해 의료비를 더 많이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특히 요양시설 거주자를 중심으로 하여 의료의 접근성이 더욱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요양과 치료의 연계, 즉 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연계가 더욱 확립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노인의료비 상승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만성질환에 대한 사전적 예방과 함께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만성질환 관리정책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계층을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시키기 위한 정책이 필요한 바 단순한 구직이 아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직장을 찾을 수 있게 정부가 가교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넷째,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는 나이 대와 무관하게 등급에 따라서만 제공되고 있다. 이를 같은 등급을 받더라도 나이 대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적절하게 조정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제도 운영을 예상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28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심의 표준화 필요성에 관한 제고찰 / 구인회 2007  179
2627 9 보건의료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 이미나 외 2016  179
2626 1 윤리학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 공병혜 2017  179
2625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복제인간과 능동성 연구 / 이진미 2017  179
262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尊嚴死)에 관한 법적고찰 / 남윤봉 2017  179
2623 9 보건의료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 김선욱 외 2014  179
2622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79
262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80
262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0
2619 15 유전학 유전상담의 제도적인 고찰 / 김현주 2007  180
2618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2617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 김순은 2017  180
2616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2615 12 낙태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 / 이송주 2019  180
2614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0
261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 송인회 2015  181
2612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261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1
261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2609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