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2017.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9140 

국민건강증진기금 활용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저자

    이미선

  • 형태사항

    ⅷ, 46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윤석준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2017.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국민건강증진기금


  • 초록 (Abstract)
    • 목적 :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기금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기존 선행연구를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민건강증진기금 활용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전문가들의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업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향후 중장기 발전방향 수립을 위한 정책적 근거자료로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 지난 10년(2007~2016) 간의 국민건강증진기금 사업 수행 현황과 기존 문헌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한 후 국민건강증진기금의 사업 간 우선순위를 분류하고 예산 배분 원칙을 수립하기 위하여 국내 기금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항목은 사업 간 상대적 중요도를 추출하기 위하여 AHP 분석 기법을 통해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설문조사 항목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보건복지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및 기존 진행되었던 연구의 설문지 등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결과 : 건강증진사업 상위요인의 상대적 우선순위는 ‘보건의료분야’, ‘건강보험재정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분야 하위요인의 우선순위는 ‘공공보건의료확충’, ‘취약계층 지원’, ‘보육·가족 및 여성’, ‘보건의료부문’, ‘노인 등’, ‘사회복지일반’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가 측정되었다. 보건의료부문의 세부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는 ‘질병예방관리’, ‘취약계층 의료비지원’, ‘정신질환관리’, ‘국민건강생활실천(금연이외)’, ‘금연지원사업’, ‘보건의료R&D 및 보건산업육성’ 순으로 측정되었다. 기금 예산배분을 위한 상대적 우선순위는 ‘지원타당성’, ‘시의성/긴급성’, ‘사업성과’, ‘정합성’ 순으로 나타났다. 기금의 중장기 활용을 위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현재 기금 운용 관련 가장 시급한 문제는 기금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사업의 수행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증진사업은 전체 기금 예산의 50% 내외로 편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건강증진기금에서 건강보험재정을 지원하는 것에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81.8%이상으로 나타났다. 향후 건강증진사업과 관련하여 우선 진행해야하는 분야는 건강에 위해를 주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사전적으로 조기에 예방하는 사업으로 나타났다. 결론 : 국민건강증진기금은 재원의 한계에 의하여 제약을 받으므로 재원의 범위 내에서 사회적인 후생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출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책결정자는 한정된 기금 예산의 범위 내에서 객관적이고 보편타당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사업을 편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국민건강증진기금의 재원이 흡연자의 담배 소비를 통한 재원조달의 제한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설탕세, 주세 등 재원의 다양화를 통한 기금 확충 및 안정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628 1 윤리학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 공병혜 2017  179
2627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복제인간과 능동성 연구 / 이진미 2017  179
2626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79
262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80
262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0
2623 15 유전학 유전상담의 제도적인 고찰 / 김현주 2007  180
2622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2621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 김순은 2017  180
2620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80
2619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261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尊嚴死)에 관한 법적고찰 / 남윤봉 2017  180
2617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0
261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 송인회 2015  181
2615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261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1
2613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2612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
2611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1
2610 17 신경과학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 이미나, 나옥희 2017  181
2609 9 보건의료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 김선욱 외 2014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