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생명과학과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03936 


미성년 장기제공자의 법적 보호
= Legal Protection for Underage Organ Donors



  • 저자명

    송영민(Song, Young-Mi) ,손계수(Shon, Kye-Soo)

  • 학술지명

    의생명과학과 법

  • 권호사항

    Vol.17 No.- [2017]

  • 발행처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3-52(2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KDC

    360

  • 주제어

    장기이식법 ,민법 ,미성년자 ,장기이식 ,아동학대방지 ,장기결정권 ,가정법원 ,Organ Transplant Act ,Civil Law ,Minor ,Organ Transplant,Child Abuse Prevention ,Decision Rights of Organ ,Family Court

  • 판매처

    교보문고 교보문고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현행 장기이식법은 이식의료에서의 장기제공자 확대를 위해 수차례의 법개 정을 거쳐왔다. 장기이식은 장기수용자와 장기제공자라는 양자의 존재를 전제로 하며 이들의 이해관계를 조절해야 한다. 장기수용자 우선정책은 자칫 제공자이익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 미성년 장기제공자의 장기이식에 따른 문제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먼저, 미성년자 본인과 부모의 동의에 관한 문제이다. 이 문제는 미성년자가 생체고형장기를 제공하는 경우와 골수이식과 같은 조혈모세포이식의 경우는 달리 평가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친권자와 그 자간 또는 수인의 자간에 이해가 상반되는 경우에는 민법 제921조에 의하여 해결되어야 한다. 독일 장기이식법에서도 미성년자의 골수가 1촌 혈족에게 이용되는 때에는 가정법원에 신고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부모와 미성년인 자의 이익이 충돌될 염려가 있으므로 자의 복지를 위해 둔규정이다. 현행 장기이식법에서도 이와 같은 제도의 도입이 검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문제되고 있는 아동학대방지 차원에서도 논의되어야 할 문제이지만, 개정 일본 장기이식법의 규정과 같이 학대당한 미성년자의 장기가 이식장기로 제공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장기이식법, 아동학대방지법 등의 차원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 초록 (Abstract)
    • The existing Organ Transplant Act has been amended numerous times to increase the organ donors in the transplant medical care. The organ t ransplant is based upon the premise of bilateral existence of organ recipi ent and organ donor, and it should ad...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의 제기
    • Ⅱ. 장기이식법상 미성년자의 법적 지위
    • Ⅲ. 미성년자의 생체장기 적출에 관한 독일과 일본법의 내용
    • Ⅳ. 부모와 미성년인 자의 자기결정권의 충돌문제
    • Ⅴ.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28 15 유전학 유전병과 기형아 및 유전상담 / 김정휘 1996  573
62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손보미 2014  574
62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완화적 진정제 투여에 대한 가족의 태도 : 투여 전과 투여 후 비교를 중심으로 /조문애, 김달숙 2012  574
625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2016  574
62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575
623 1 윤리학 동아시아의 사형제도 현실과 미래 / 허일태 2017  575
62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6
62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 보호와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김종일 2010  577
620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 홍선우, 김신미 2013  578
619 9 보건의료 국제비교를 통한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의 수가체계 차등화에 대한 연구/김진수 외 2014  578
618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상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그리고 비식별화 :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4호의 평가 및 입법론적 논의 / 김후신 2015  578
617 18 인체실험 임상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윤리의 실제/임명호 2015  579
616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책임윤리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 김상철 2003  579
615 22 동물복지 실험동물의 사용과 사육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우상훈 2011  579
61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선영, 허성순, 김분한 2014  580
613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61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모를 권리와 의사의 배려의무 / 석희태 2016  582
61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610 15 유전학 희귀 미토콘드리아성 유전병에 대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로부터의 원인 돌연변이 규명 / 박지훈 2014  582
609 16 환경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임도한 2018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