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생명과학과 2014.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58713 


완만동결된 배아와 유리화 동결된 배아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 예후의 비교 

= The comparison of Pregnancy Outcome between Slow Freezing and Vitrification in T-ET


  • 저자

    곽은희

  • 형태사항

    vii, 34 p.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김정화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31-3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생명과학과 2014. 8

  • DDC

    618.2 21

  • 발행국

    인천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 주제어

    유리화 동결


초록


난자와 배아의 동결 보존은 난임 환자의 임신 성공확률을 향상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리하여 동결 보존 시 배아의 손상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배양액이 발달되고 동결 장비와 방법이 점점 다양하게 발달하였다. 완만 동결법은 배아를 동결하는데 오랫동안 좋은 방법으로 사용돼왔다. 그러나 배아의 손상도나 작업시간, 비용 등 여러 가지 단점들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었다. 다양한 기술을 시도하는 동안, 유리화 동결법이 완만동결법을 대체할 최적의 방법이라는 것이 보고되었다. 유리화 동결법은 동결과정에 있어서 얼음 결정을 형성하지 않는다. 얼음 결정은 세포가 동결될 때 세포에 손상을 주게 되는데 유리화 동결법은 완만동결법 보다 세포 손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유리화 동결법으로 동결-융해 된 배아의 경우 융해 후 배아 발달율이나 임신율이 완만동결-융해 된 배아보다 높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며 유리화 동결법은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으며 비용 효율도 높다. 
보조생식술에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또 다른 하나는 여러 개의 배아를 이식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태아 임신이다. 하나의 배아가 착상하여 한 명의 아이를 출생하는 성공률은 상대적으로 낮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시험관아기 센터들은 하나 이상의 배아를 이식하게 되었으며 높은 성공률을 얻은 반면에 다태아 임신을 유도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최근 배아 이식수를 줄이면서도 높은 성공률을 얻으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목차

  • Ⅰ. 서 론 1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4
  • 1. 연구 대상 4
  • 2. 완만동결 보존법 4
  • 3. 유리화 동결 보존법 7
  • 4. 레이저를 이용한 보조부화술 10
  • 5. 통계분석 11
  • Ⅲ. 결 과 12
  • 1. 완만동결법과 유리화 동결법에 따른 환자군의 임상적 특징 12
  • 2. 완만동결-융해와 유리화 동결-융해 후 배아 생존율 14
  • 3. 완만동결-융해와 유리화 동결-융해 후 임상적 결과 16
  • 4. 완만동결-융해 군과 유리화 동결-융해 군의 수정방법에 따른 비교 18
  • 5. 유리화 동결-융해 후 배아이식 전 보조부화술 시술의 영향 22
  • 6. 동결보존 기간에 따른 영향 24
  • Ⅳ. 고 찰 27
  • Ⅴ. 참고문헌 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92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거부반응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서의 CAR Treg 세포치료제의 가능성: Treg 세포치료제 임상시험 현황과 CAR T 세포치료제 허가 정보를 바탕으로 / 강고은 외 2017  281
2927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분야에서 빅데이터(의료이용자료)의 활용/김현정 2018  280
2926 22 동물복지 동물보호법개정논의에 즈음한 비교법적 고찰 / 김수진 2006  280
292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쟁점과 해결방안 - 입법론을 중심으로 - / 현소혜 2018  280
2924 1 윤리학 인공지능으로 인한 법률 서비스의 파괴적 혁신과 시사점 / 양종모 2017  280
2923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 손인서 2017  280
292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 현황과 과제 / 강희정 2016  280
2921 19 장기 조직 이식 가족간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 현상이 이식 장기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10  280
2920 9 보건의료 지카바이러스의 역사와 중남미 발생 상황의 이해 / 이재갑 2016  280
2919 18 인체실험 생명윤리법상 배아줄기세포연구 제한에 대한 헌법적 평가- 연구자의 학문의 자유 측면에서/정문식 2007  280
2918 17 신경과학 우리는 ‘호모 모랄리스’인가? 도덕 딜레마 해결 기제의 신경윤리학 연구 / 윤진호 외 2019  279
291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적 연구 : 저작물 성립여부와 보호방안을 중심으로 / 이건영 2017  279
2916 9 보건의료 한국 공공의료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박금령 2016  279
» 14 재생산 기술 완만동결된 배아와 유리화 동결된 배아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 예후의 비교 /곽은희 2014  278
2914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2913 9 보건의료 의사 · 한의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검토 -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 김한나 외 2016  278
2912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죽음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강지혜 2019  277
291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존엄케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강성자 2018  277
291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전문 평가·인증기관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 적합성 평가기관을 중심으로 / 유진호 2017  277
2909 13 인구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이연주 2008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