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3900 



도덕적 인공 지능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저자명  추병완 

  •  학술지명  윤리교육연구

  •  권호사항  Vol.44 No.- [2017] 

  •  발행처  한국윤리교육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4(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주제어

  • 도덕적 인공 지능  , 도덕적 튜링 테스트  , 도덕적 향상  , 인간의 도덕 심리  , 인공 지능  , artificial intelligence  , human moral psychology 


  • 초록

  • 최근 도덕적 향상의 새로운 방법으로 도덕적 인공 지능에 관한 관심이 학계의 주목을 끈다. 사부레스쿠(Savulescu)와 매즈린(Maslen)은 인간의 도덕적 의사결정을 돕고, 타인의 잠재적인 비도덕성으로부터 행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약한 도덕적 인공지능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역설한다. 그들은 인간의 타고난 도덕 심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계화된 인류가 직면한 기후 변화와 자원 고갈과 같은 긴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명의학적인 수단과 더불어 도덕적 인공 지능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면서, 도덕적 인공 지능이 수행해야 할 구체적인 기능 목록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도덕적 향상 수단으로서 도덕적 인공 지능 논의가 지닌 이론적ㆍ실제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도덕적 인공 지능은 실현상의 난점과 더불어 상당한 윤리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필요로 한다.


  •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도덕적 향상의 필요성과 방법

  • 1. 도덕적 향상의 필요성

  • 2. 전통적ㆍ생명 의학적 향상 수단의 한계

  • Ⅲ. 도덕적 인공 지능의 구체적인 기능

  • 1. 지속적인 기능

  • 2. 상황 특수적인 기능

  • 3. 부가적인 기능

  • Ⅳ. 도덕적 인공 지능의 문제점

  • 1. 실현상의 난점

  • 2. 윤리적 문제점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68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민간활용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에 대한 연구 : 일반인 인식조사와 법제 개선방향 모색 / 손영주 2016  232
2567 2 생명윤리 생명공학분야 특허출원 심사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진영진 2012  232
256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256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를 위한 간이식 전 교육 및 상담 / 하희선 2015  232
2564 1 윤리학 첨단치료 의료제품(ATMP)에 대한 유럽연합의 규제법 고찰 / 박수헌 2014  232
2563 2 생명윤리 윤리 심포지엄_각종 의무기록 작성에 있어서 알아야 할 의료윤리 : 각종 증명서 발급의 윤리적 문제 / 권복규 2013  232
2562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2561 12 낙태 치료적 낙태와 태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고찰 / 장동익 2019  231
2560 12 낙태 낙태죄 존치론에 대한 반론 / 이석배 2018  231
2559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가족 돌봄부담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연구 / 이민경 2018  231
2558 1 윤리학 법에 있어서의 인간상에 관한 고찰 / 김종덕 2016  231
2557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과 호스피스 정책; 생활행정학의 관점/조무성 2015  231
25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2019  230
2555 9 보건의료 국제 유전독성시험 가이드라인 최신 동향 / 김주환 외 2016  230
2554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대응 정책의 방향: 인구정책적 관점 / 이철희 2018  230
2553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소비선택에서 개인 의사결정의 인지적 과정 탐구 :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의 사례 / 주정민 2018  230
255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명희 2008  230
2551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병화 2016  230
2550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의 병원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의료광고 시사점을 중심으로 / 유승엽, 김은희 2006  230
2549 2 생명윤리 첨단융복합의료제품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과 임상시험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미지 2016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