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홍익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60212 



인공지능 로봇에 관한 형사책임과 책임주의-유기천교수의 법인의 행위주체이론과 관련하여-
= Criminal Liability of AI Robots and Responsibility principle - from the Point of Professor K. Ryu`s acting subject theory -


  • 저자명
    이인영 ( Lee In Young )  연구자관계분석
  •  학술지명
    홍익법학(The Law Reasearch institutute of Hongik Univ.)
  •  권호사항
    Vol.18 No.2 [2017] 
  •  발행처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The Law Research Institute)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1-57(2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주제어
    인공지능  , 인공지능 로봇  , 법인의 범죄능력  , 양벌규정  , 책임주의  , 범죄주체  , artificial Intelligence  , AI robot  , Criminal Liability  , Responsibility principle  , Corporate crime capabilities  , the Joint Penal Provision 


  • 초록
  •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로 인한 위험발생 내지 예고는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 유형별로 형사책임을 논하면서 기존의 책임주의 원칙의 법리에 입각하여 그 가치와 이념을 유지하여야 한다. 인공지능 로봇을 도구로만 이용한 경우에는 개발자나 사용자는 행위형법으로서의 자유의사를 가진 주체로서의 고의책임을 부담한다. 인공지능 로봇의 오작동이나 프로그램상의 오류나 정보오류에 의한 사고발생의 경우 과실범에서의 결과책임을 인정하기 위한 인과관계의 성립, 예견가능성 범주내의 결과발생의 원리에 따라 개발자나 사용자의 과실책임을 인정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미래의 다가올 인간의 지능에 유사한 더 높은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공지능에게도 어떠한 형사책임에 대한 논의 없이 단지 범죄의 금지에 대해서 알고 있지 않는 무죄의 대행자(innocent agents)로만 취급하여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논란이 제기된다. 유기천교수가 주장한바와 같이 법질서가 법인을 보호대상으로 삼고 있는 이상 기관의 행위로 법인의 행위를 하는 경우 그 법익을 박탈하는 형벌을 과할 수 있다는 법리에 따라 처벌의 필요성을 가진 주체는 인간의 공동생활과정에서 범죄행위를 계획하고, 실현하여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침해할 수 있는 활동주체이면서 윤리적 책임을 질 수 있는 자이면 되는 것이지 미리부터 자연인에게만 한정해야 한다는 가치규범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강한 인공지능의 단계로 접근한다면, 로봇의 활동으로 인한 사고발생이 충분히 예상되고 피해가 폭넓게 일어날 수 있다는 점, 그러한 반복적인 위반행위의 발생을 방지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형사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인공지능 로봇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의 성격과 사회적 위험으로서의 분배, 책임의 귀속주체의 새로운 접근으로 재설계가 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 로봇에게 또 다른 형태의 사회적 책임과 그에 따른 양벌규정을 적용될 수 있으며, 만약 이를 인정한다면 그에 부합하는 적정한 형벌이 무엇인가의 문제되며 이는 책임주의의 원칙에 부합하는지 여부까지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융합맵 생성 및 국가 프로파일 분석/김현우 외 2017  68
45 5 과학 기술 사회 정보화시대의 지능형로봇 연구동향 / 백문홍 외 2008  72
44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2017  82
4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 김민수 2019  96
42 5 과학 기술 사회 건전한 인공지능 생태계 형성을 위한 규범적 전략과 법의 역할/윤상필 외 2017  97
4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40 9 보건의료 인공지능을 이용한 의료행위와 민사책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09
39 5 과학 기술 사회 법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법담론 : 법에서 탈근대성의 수용과 발전/정채연 2016  127
38 1 윤리학 인공지능 시대에 있어서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김영례 2018  130
3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결과물과 저작권 / 신창환 2016  135
36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3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상용화에 따른 성경적 관점의 윤리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이완형 2018  140
3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법률서비스에 대한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적용 여부에 관한 고찰 /이병규 2018  145
33 9 보건의료 영상정보학: 인공지능-빅데이터-데이터 과학 시대의 영상의학을 위한 새 지평 / 김종효 2019  151
32 5 과학 기술 사회 머신러닝 인공지능과 인간전문직의 협업의 의미와 법적 쟁점 / 설민수 2017  151
31 5 과학 기술 사회 SNS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윤유동 외 2016  153
3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 / 장운혁, 정창록 2017  153
29 5 과학 기술 사회 차세대 인공지능의 특허대상 범위에 대한 도전 - 미국의 법리를 중심으로 - /이상미 2017  162
28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정보화 시대의 테러유형과 대응방안: 인공지능에 기반한 테러중점/이만종 2017  166
2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와 법적 과제 / 김종호 2018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