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사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87099 


법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법담론 : 법에서 탈근대성의 수용과 발전
= A Discours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aw : Toward a New Legal Paradigm



  •  저자명  정채연 ( Chea Yun Jung ) 

  •  학술지명   법과 사회

  •  권호사항  Vol.53 No.- [2016] 

  •  발행처   법과사회이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09-136(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주제어
    인공지능  , 법패러다임  , 모더니티  , 포스트휴먼  , 지능로봇  , 로봇권  , Artificial Intelligence  , Legal Paradigm  , Modernity  , Posthuman  , Intelligent Robot  , Robot Rights 

  • 초록
    2016년 다보스 포럼(Davos Forum)에서는 “모든 것이 연결되고 보다 지능적인 사회로의 진화”를 거듭하는 4차 산업혁명(the 4th Industrial Revolution)의 도래가 천명되었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오게 될 변화는 인류 역사상 그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대단히 근본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상황적 맥락에서 미래사회와 법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고 하겠다. 인류의 역사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은 사회 전반에 걸쳐 근본적인 영향을 미쳐왔으며, 따라서 인공지능을 비롯한 4차 산업혁명과 법패러다임 변화의 상관성을 이해할 수 있겠다. 본 논문은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가 가져오는 법제도적 차원의 변화는 기존 근대법체계의 토대에서부터 근본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법패러다임 차원의 새로운 전환을 이끌게 될 것이라는 점을 설득적으로 논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다시 말해, 본 논문은 인공지능과 법담론이 현상적인 측면에만 집중하기 보다는 철학적ㆍ성찰적 공백을 메움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에서의 사유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법철학 및 법사회학 등 기초법학의 총체론적(holistic)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관련된 주요 법적 쟁점들을 조망하고, 미래학적인 견지에서 논자의 개괄적인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인공지능과 법담론의 주요 쟁점들에서 세가지 지평을 다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먼저 인공지능으로 인해 체계내적 차원에서 근대법의 본질적인 속성 및 근대적 인간관 등 법의 모더니티 이해에 대한 근본적인 재구성ㆍ재해석이 이루어지게 되는 맥락을 다룬다. 또한 기존의 근대법체계에서 포함되지 않았던 새로운 주체 및 주체성을 승인함으로써 보다 포용적인(inclusive) 법체계로 확장되는 측면에 주목하고자 한다. 나아가 법제도에서 인공지능이 상용화됨에 따라 나타나는 실천적 변화 가능성을 논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화 양상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융합학문으로서 법학의 속성이 강화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논의를 마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 5 과학 기술 사회 건전한 인공지능 생태계 형성을 위한 규범적 전략과 법의 역할/윤상필 외 2017  97
2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24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정보화 시대의 테러유형과 대응방안: 인공지능에 기반한 테러중점/이만종 2017  166
2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융합맵 생성 및 국가 프로파일 분석/김현우 외 2017  68
2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에 관한 형사책임과 책임주의/이인영 2017  270
21 5 과학 기술 사회 차세대 인공지능의 특허대상 범위에 대한 도전 - 미국의 법리를 중심으로 - /이상미 2017  162
20 5 과학 기술 사회 도덕적 인공 지능에 관한 비판적 고찰/추병완 2017  239
1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최재원 2017  351
18 5 과학 기술 사회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김갑수 외 2017  340
17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최준희 외 2017  271
16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2017  82
1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 / 장운혁, 정창록 2017  153
14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13 9 보건의료 인공지능을 이용한 의료행위와 민사책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09
1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중 생체신호 분석 기반 스마트 감정 관리 시스템 / 노아영 외 2017  207
11 1 윤리학 인공지능으로 인한 법률 서비스의 파괴적 혁신과 시사점 / 양종모 2017  280
10 5 과학 기술 사회 머신러닝 인공지능과 인간전문직의 협업의 의미와 법적 쟁점 / 설민수 2017  151
» 5 과학 기술 사회 법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법담론 : 법에서 탈근대성의 수용과 발전/정채연 2016  127
8 5 과학 기술 사회 SNS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윤유동 외 2016  153
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위험의 특성과 법적 규제방안 /양종모 2016  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