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9195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저자

    이금주                                       

  • 형태사항

    ⅶ,156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장성옥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과학 2017.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소장기관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국문 요약 본 연구는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들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및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노인요양시설 실무에서의 활용도, 만족도, 적용성을 검증...
  • 국문 요약 본 연구는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들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및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노인요양시설 실무에서의 활용도, 만족도, 적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2단계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1단계 연구: 문헌고찰과 국내 연명의료결정법에서 제시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필수 문항 및 6개 국내 노인요양시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관련 서식을 참고하여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를 개발하고, 2개 노인요양시설 실무자 10인을 대상으로 CODM( 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 분석을 통하여 참석 실무자의 합의된 의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을 위한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2단계 연구: 개발된 사전연명의료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1개 노인요양시설에서 1개월 동안 15인의 거주노인과 대리인 15인, 간호사 2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연구: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및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 단계 -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예비 항목 구성은 3개의 영역으로 작성자, 작성내용, 의향서 관리로 실무자 타당도를 거쳐 3개 영역의 15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 실무 가이드라인은 3개영역, 27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문가 타당도 1.2차를 거쳐 개발하였다. 2단계 연구: 개발된 사전연명의료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단계 - 개발된 사전연명의료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은 장기요양등급 평가 A 등급 노인요양시설 1개 기관에서 15인의 거주노인과 대리인 15인, 간호사 2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평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개발 전 후 활용 분석을 위해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시행 전후의 수행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시행 전의 작성횟수는 총 15건 중 모두가 대리인들 참여로 수행되었고, 1개월 후의 변경 및 철회의 의사에서는 모두가 의향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거주노인, 대리인, 간호사의 만족도는 총 6문항 3점 Likert척도로 측정한 결과 3점 만점 중 거주노인은 2.67±.41점, 대리인은 2.73±.34점 간호사는 2.83±.23점으로 나타났다. - 실무 가이드라인의 간호사 만족도와 적용성 평가 결과에서 만족도는 총 27개 문항 3점 Likert척도로 측정한 결과 3점 만점 중 평균 2.68±.13점이었고, 적용성 평가는 총 17문항으로 3점 만점 중 평균 2.91±.04점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법 시행을 앞둔 현 시점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에 포함되어 있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거주노인이 활용할 수 있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과 실무 가이드라인이 함께 개발되어, 본 연구가 시기적으로 적절한 실무지식을 산출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은 거주노인의 건강상태가 악화되기 전에 개인의 건강문제에 대한 의료 요구의 치료범위를 구체화하여 사전 의사결정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연명의료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과 상담을 통해 거주노인과 가족이 함께 논의하는 의사결정으로 개발되어 실무에서의 활용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 요약 ⅰ
  • 제1장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용어의 정의 5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5
  •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6
  • 3) 실무 가이드라인 6
  • 제2장 본론 7
  • Ⅰ. 문헌고찰 7
  •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의 의미와 배경 7
  • 2.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9
  • Ⅱ. 연구방법 14
  • 1. 연구설계 14
  • 2.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16
  • 3. 연구절차 17
  • A. 1단계: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17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 17
  • 2)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19
  • B. 2단계: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25
  • 1) 설문 조사 25
  • 2) 검증대상 기관 25
  • 제3장 연구 결과 28
  • Ⅰ. 1 단계: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28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 단계 28
  • 1) 국내․외 문헌고찰 28
  •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내용 구성 33
  • 3) 실무자 집단의 내용 타당도 CVI 결과 34
  • 4) 최종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5
  • 2.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단계 38
  • 1) 국내⋅외 문헌고찰 38
  • 2) 전문가 합의 과정(CODM: 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 분석 결과 43
  • 3)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안) 76
  • 4) 실무자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결과 81
  • 5)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결과 85
  • 6) 최종 실무 가이드라인 86
  • Ⅱ. 2단계: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93
  •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 전 후 활용 분석 93
  • 1) 거주노인과 대리인의 일반적 특성 96
  • 2) 거주노인의 질병관련 특성 98
  • 2.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거주노인, 대리인, 간호사의 만족도 평가 100
  • 3. 실무 가이드라인에 대한 간호사의 만족도 및 적용성 평가 102
  • Ⅳ. 논의 106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106
  • 2.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108
  • Ⅴ. 결론 및 제언 112
  • 1. 결론 112
  • 2. 제언 116
  • REFERENCES 118
  • 부 록 128
  • ABSTRACT 154
  • 부록목차
  •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28
  • <부록 2> 미국의 주별 POLST 내용 129
  • <부록 3> 국내 노인요양시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양식 비교 132
  • <부록 4>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실무자 내용 타당도 조사지 135
  • <부록 5> 실무 가이드라인의 내용 타당도 조사 137
  • <부록 6> 실무 가이드라인 1,2차 전문가 내용 타당도 조사지 143
  • <부록 7>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만족도 설문지 144
  • <부록 8> 실무 가이드라인에 대한 간호사의 만족도 설문지 146
  • <부록 9> 실무 가이드라인에 대한 간호사의 적용성 설문지 14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828 9 보건의료 일본, 의료분야 빅 데이터 활용 방안 / 우청원 2016  159
1827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9
182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관련 법안에 대한 검토 / 김종일 2016  159
1825 1 윤리학 신경윤리의 독자성과 주요 쟁점들 / 김효은 외 2018  159
1824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영적 돌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강경아 외 2009  158
1823 9 보건의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치매 대응전략에 대한 연구 / 이경민 외 2018  158
182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성 - 상상력과 공감에 기반 한 감수성 - / 양선이 2017  158
1821 9 보건의료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한 적응적 설계 임상시험 가이던스 개발 연구 / 최종열 외 2014  158
1820 20 죽음과 죽어감 성숙한 죽음문화의 모색 : 소극적 안락사의 3가지 대안 / 오진탁 2006  158
1819 5 과학 기술 사회 AI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인간만의 고유한 역할 교육 필요하다” / 강나리 2016  158
181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과학기술과 국민의 권익구제- 자율주행차, 드론 및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 김광수 2019  157
1817 9 보건의료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국가연구개발 특허성과 네트워크 분석 / 권영은, 김재수 2018  157
1816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 권리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상기 2018  157
1815 4 보건의료 철학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발생한 찔림사고 현황, 교수의 스트레스 및 사전동의서의 필요성 / 정승교 외 2017  157
1814 5 과학 기술 사회 현대 사회의 과학 기술과 책임의 문제 / 구인희 2003  157
1813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관련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 진주희 2017  157
1812 14 재생산 기술 생식내분비학 : 배란유도제의 올바른 사용과 부작용의 처치 / 김학순 2004  157
1811 9 보건의료 병원 외래고객 만족도 평가의 의료서비스 최적화 방법 적용 / 지은희 외 2017  157
1810 23 연구윤리 외국의 사례에서 본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개념의 생명윤리적 기원에 관한 연구 / 이준석 2016  157
1809 13 인구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 최윤철 2016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