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9195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저자

    이금주                                       

  • 형태사항

    ⅶ,156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장성옥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과학 2017.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소장기관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국문 요약 본 연구는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들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및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노인요양시설 실무에서의 활용도, 만족도, 적용성을 검증...
  • 국문 요약 본 연구는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들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및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노인요양시설 실무에서의 활용도, 만족도, 적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2단계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1단계 연구: 문헌고찰과 국내 연명의료결정법에서 제시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필수 문항 및 6개 국내 노인요양시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관련 서식을 참고하여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를 개발하고, 2개 노인요양시설 실무자 10인을 대상으로 CODM( 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 분석을 통하여 참석 실무자의 합의된 의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을 위한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2단계 연구: 개발된 사전연명의료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1개 노인요양시설에서 1개월 동안 15인의 거주노인과 대리인 15인, 간호사 2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연구: 국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및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 단계 -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예비 항목 구성은 3개의 영역으로 작성자, 작성내용, 의향서 관리로 실무자 타당도를 거쳐 3개 영역의 15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 실무 가이드라인은 3개영역, 27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문가 타당도 1.2차를 거쳐 개발하였다. 2단계 연구: 개발된 사전연명의료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단계 - 개발된 사전연명의료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은 장기요양등급 평가 A 등급 노인요양시설 1개 기관에서 15인의 거주노인과 대리인 15인, 간호사 2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평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개발 전 후 활용 분석을 위해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시행 전후의 수행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시행 전의 작성횟수는 총 15건 중 모두가 대리인들 참여로 수행되었고, 1개월 후의 변경 및 철회의 의사에서는 모두가 의향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거주노인, 대리인, 간호사의 만족도는 총 6문항 3점 Likert척도로 측정한 결과 3점 만점 중 거주노인은 2.67±.41점, 대리인은 2.73±.34점 간호사는 2.83±.23점으로 나타났다. - 실무 가이드라인의 간호사 만족도와 적용성 평가 결과에서 만족도는 총 27개 문항 3점 Likert척도로 측정한 결과 3점 만점 중 평균 2.68±.13점이었고, 적용성 평가는 총 17문항으로 3점 만점 중 평균 2.91±.04점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법 시행을 앞둔 현 시점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에 포함되어 있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거주노인이 활용할 수 있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과 실무 가이드라인이 함께 개발되어, 본 연구가 시기적으로 적절한 실무지식을 산출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은 거주노인의 건강상태가 악화되기 전에 개인의 건강문제에 대한 의료 요구의 치료범위를 구체화하여 사전 의사결정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연명의료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과 상담을 통해 거주노인과 가족이 함께 논의하는 의사결정으로 개발되어 실무에서의 활용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 요약 ⅰ
  • 제1장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용어의 정의 5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5
  •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6
  • 3) 실무 가이드라인 6
  • 제2장 본론 7
  • Ⅰ. 문헌고찰 7
  •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의 의미와 배경 7
  • 2.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9
  • Ⅱ. 연구방법 14
  • 1. 연구설계 14
  • 2.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16
  • 3. 연구절차 17
  • A. 1단계: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17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 17
  • 2)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19
  • B. 2단계: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25
  • 1) 설문 조사 25
  • 2) 검증대상 기관 25
  • 제3장 연구 결과 28
  • Ⅰ. 1 단계: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28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 단계 28
  • 1) 국내․외 문헌고찰 28
  •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내용 구성 33
  • 3) 실무자 집단의 내용 타당도 CVI 결과 34
  • 4) 최종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5
  • 2.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단계 38
  • 1) 국내⋅외 문헌고찰 38
  • 2) 전문가 합의 과정(CODM: 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 분석 결과 43
  • 3)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안) 76
  • 4) 실무자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결과 81
  • 5)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결과 85
  • 6) 최종 실무 가이드라인 86
  • Ⅱ. 2단계: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93
  • 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개발 전 후 활용 분석 93
  • 1) 거주노인과 대리인의 일반적 특성 96
  • 2) 거주노인의 질병관련 특성 98
  • 2.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거주노인, 대리인, 간호사의 만족도 평가 100
  • 3. 실무 가이드라인에 대한 간호사의 만족도 및 적용성 평가 102
  • Ⅳ. 논의 106
  •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106
  • 2. 개발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의 적용성 검증 108
  • Ⅴ. 결론 및 제언 112
  • 1. 결론 112
  • 2. 제언 116
  • REFERENCES 118
  • 부 록 128
  • ABSTRACT 154
  • 부록목차
  •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28
  • <부록 2> 미국의 주별 POLST 내용 129
  • <부록 3> 국내 노인요양시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양식 비교 132
  • <부록 4>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실무자 내용 타당도 조사지 135
  • <부록 5> 실무 가이드라인의 내용 타당도 조사 137
  • <부록 6> 실무 가이드라인 1,2차 전문가 내용 타당도 조사지 143
  • <부록 7>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만족도 설문지 144
  • <부록 8> 실무 가이드라인에 대한 간호사의 만족도 설문지 146
  • <부록 9> 실무 가이드라인에 대한 간호사의 적용성 설문지 14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48 2 생명윤리 첨단융복합의료제품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과 임상시험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미지 2016  230
2547 22 동물복지 [여성의 눈으로 세상 읽기] 동물실험, 동물학대/백일주 2015  230
2546 1 윤리학 보건의료기본법의 윤리적 평가 / 유호종, 손명세 2002  230
2545 1 윤리학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보편선언'의 권고사항과 국내 실천을 위한 제언 / 이인영 2006  230
2544 18 인체실험 한국과 일본의 임상시험 현황과 임상연구자 인식의 비교 연구 / 홍정화 2009  230
2543 14 재생산 기술 중국에서의 대리모 법적 제문제에 관한 소고 / 이화 2011  230
2542 10 성/젠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 주유신 2019  229
2541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 사회에서 중환자의 사전돌봄계획의 현황과 연명의료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소영 2018  229
2540 10 성/젠더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와 가부장적 성장치로서 가족, 신체, 시장 / 고정갑희 2016  229
2539 7 의료사회학 의료인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와 규제완화 - 대법원 2016.7.21. 선고, 2013도85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정도희 2017  229
253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존엄사, 연명의료 중단, 그리고 장애인 / 조한진 2016  229
2537 9 보건의료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 전망 / 여재천 2016  229
2536 14 재생산 기술 출산테크놀로지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조영미 1994  229
2535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들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향과 불안과의 상관관계 / 고지운 2013  229
253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이종식 2016  229
2533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29
2532 15 유전학 연구로 발생한 이익에 대한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 제공자의 권리 / 유호종 2015  229
2531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2530 18 인체실험 IRB 상호인정제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정혜림 2011  229
2529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지각유형 / 조준아 외 2015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