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56719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 Life-sustaining Treatment Attitude, Stress and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in ICU Nurses

                                         

  • 저자

    엄정경                                       

  • 형태사항

    129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서길희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2017. 8

  • 발행국

    강원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소장기관

    • 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among intensive care unit(ICU) nurs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27 nurses in ICU of genera...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among intensive care unit(ICU) nurs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27 nurses in ICU of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2 metropolises between April 3, 2017 and April 10, 2017. For measuring nursing attitude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tool developed by Byun et al and Lee was used. The tool developed by Lee was used to evaluate the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tool developed by koo was used to evaluation the advanced directiv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3.0 (Armonk, NY; IBM Corp). We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The mean score of the attitude on life-sustained treatment was 3.23 and stress was 3.74. The mean scores of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were 2.45 among nurses and 2.63 among family members of nurses. The mean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nurses and their family members (t=-5.27, ��<.001). For the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the nurses and family memb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cardiaopulmonary resuscitation(t=-5.67, ��<.001), oral or tubal feeding(t=-2.86, ��=.005), total parenteral nutrition(t=-2.48, ��=.014), diagnostic test(t=-3.44, ��=.001), blood transfusion(t=-3.43, ��=.001), dialysis(t=-3.28, ��=.001), oxygen therapy(t=-4.11, ��<.001), inotropic medication(t=-4.12, ��<.001), antibiotic medication(t=-1.96, ��=.052), operation(t=-2.71, ��=.008), ICU therapy(t=-4.85, ��<.001). For subjects' attitude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nder(t=2.44, ��=.016), marital status(t=-2.41, ��=.017), length of clinical career(F=3.92, ��=.010), length of ICU career(F=3.52, ��=.017). The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F=5.33, ��=.002), marital satus(t=2.65, ��=.009), and length of clinical career(F=3.54, ��=.017). For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characteristic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demonstrated on attitude and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The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of nurs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r=-.218, ��=.014)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of their family members (r=.698, ��<.001).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in order to help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play a role as a mediator when they sign the advanced directives. Moreover, nursing intervention needs to be developed to analysis the predisposing factors for stress on life-sustained treat ment and reduce the stress.
  •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연명의료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에 대해 확인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에 대한...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연명의료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에 대해 확인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에 대한 간호연구의 기초 자료 수집에 기여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4월 3일부터 2017년 4월 10일까지 W시와 G시의 2개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명의료 태도는 변은경 등과 이수정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연명의료 스트레스는 이수정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의료의향서인식은 구종모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aired t- test, t-test, ANOVA, Scheffe's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명의료 태도는 3.23점, 연명의료 스트레스는 3.74점이었다. 간호사 자신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정도는 2.45점이었고,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정도는 2.63점이었으며, 간호사 자신과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5.27, ��<.001). 간호사 자신과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을 비교한 결과, 심폐소생술(t=-5.67, ��<.001), 경구/관을 통한 영양 및 수분공급(t=-2.86, ��=.005), 정맥주사(IV)를 통한 영양 및 수분공급(t=-2.48, ��=.014), 단순 진단 검사(t=-3.44, ��=.001), 수혈 및 혈액제제의 투여(t=-3.43, ��=.001), 혈액투석(t=-3.28, ��=.001), 산소공급(t=-4.11, ��<.001), 혈압상승제(t=-4.12, ��<.001), 항생제(t=-1.96, ��=.052), 수술(t=-2.71, ��=.008), 중환자실 치료(t=-4.85,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태도는 성별(t=2.44, ��=.016)에 따라, 스트레스는 결혼상태(t=-2.41, ��=.017), 간호사 근무경력(F=3.92, ��=.010), 중환자실 근무경력(F=3.52, ��=.017)에서 따라,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은 연령(F=5.33, ��=.002), 결혼상태(t=2.65, ��=.009), 간호사 근무경력(F=3.54, ��=.017)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연명의료 중단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태도, 연명의료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명의료 태도, 연명의료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간호사 자신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은 연명의료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r=-.218, ��=.014), 간호사 자신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은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 인식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98, ��<.001).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환자 및 보호자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연명의료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연명의료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용어의 정의 6
  • 1) 연명의료 태도 6
  • 2) 연명의료 스트레스 6
  • 3)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7
  • Ⅱ. 문헌고찰 8
  • 1. 연명의료 8
  • 2. 연명의료 태도 12
  • 3. 연명의료 스트레스 16
  • 4.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18
  • Ⅲ. 연구방법 21
  • 1. 연구설계 21
  • 2. 연구대상 21
  • 3. 윤리적 고려 21
  • 4. 연구도구 22
  • 1) 연명의료 태도 22
  • 2) 연명의료 스트레스 23
  • 3)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23
  • 5. 자료수집 방법 및 기간 24
  • 6. 자료분석방법 24
  • 7. 연구의 제한점 25
  • Ⅳ. 연구결과 26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 2. 대상자의 연명의료 중단 관련 특성 28
  • 3. 대상자의 연명의료 태도 점수 33
  • 4. 대상자의 연명의료 스트레스 점수 35
  • 5. 간호사 자신과 가족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37
  •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태도, 스트레스,
  •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41
  • 7. 대상자의 연명의료 중단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태도,
  • 연명의료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63
  • 8. 연명의료 태도, 연명의료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 간의 상관관계 76
  • Ⅴ. 논의 78
  • 1. 연명의료 태도 78
  • 2. 연명의료 스트레스 81
  • 3.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83
  • 4. 연명의료 태도, 연명의료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간의
  • 상관관계 88
  • Ⅵ. 결론 및 제언 90
  • 1. 결론 90
  • 2. 제언 91
  • 참고문헌 92
  • 부록 100
  • 1. 설문지 100
  • 2. 연구계획 심의결과 통보서 115
  • 3. 연구도구 사용 승인 116
  • Abstract 1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48 2 생명윤리 첨단융복합의료제품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과 임상시험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미지 2016  230
2547 22 동물복지 [여성의 눈으로 세상 읽기] 동물실험, 동물학대/백일주 2015  230
2546 1 윤리학 보건의료기본법의 윤리적 평가 / 유호종, 손명세 2002  230
2545 1 윤리학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보편선언'의 권고사항과 국내 실천을 위한 제언 / 이인영 2006  230
2544 18 인체실험 한국과 일본의 임상시험 현황과 임상연구자 인식의 비교 연구 / 홍정화 2009  230
2543 14 재생산 기술 중국에서의 대리모 법적 제문제에 관한 소고 / 이화 2011  230
2542 10 성/젠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 주유신 2019  229
2541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 사회에서 중환자의 사전돌봄계획의 현황과 연명의료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소영 2018  229
2540 10 성/젠더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와 가부장적 성장치로서 가족, 신체, 시장 / 고정갑희 2016  229
2539 7 의료사회학 의료인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와 규제완화 - 대법원 2016.7.21. 선고, 2013도85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정도희 2017  229
253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존엄사, 연명의료 중단, 그리고 장애인 / 조한진 2016  229
2537 9 보건의료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 전망 / 여재천 2016  229
2536 14 재생산 기술 출산테크놀로지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조영미 1994  229
2535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들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향과 불안과의 상관관계 / 고지운 2013  229
253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이종식 2016  229
2533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29
2532 15 유전학 연구로 발생한 이익에 대한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 제공자의 권리 / 유호종 2015  229
2531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2530 18 인체실험 IRB 상호인정제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정혜림 2011  229
2529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지각유형 / 조준아 외 2015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