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59196 

임상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actice Nurses' Attitude for Advanced Directives

                                          

  • 저자

    조윤경                                       

  • 형태사항

    ⅲ, 57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은숙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계명대학교 : 간호학과 2017. 2

  • 발행국

    대구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소장기관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nurses' attitude about advance directives. In order to identify these factors, a cress-secrional survey was adopted.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ugust 1 to August 30, 2016, ...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nurses' attitude about advance directives. In order to identify these factors, a cress-secrional survey was adopted.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ugust 1 to August 30, 2016,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 hospital in D city. A total of 196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 nurses' attitude, experienc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good death. The data were analys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ʼ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ks by using SPSS/WIN program version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 of attitudes for advance directives was 29.36±0.52, participants' experience score showed 2.48±1.76, knowledge for advance directives was 7.60±1.31, perception of good death 47.73±5.54. Based on the nurse' general characteristics, work characteristics and death characteristics of subject, the attitude sco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ge (F=3.97, p=.020), gender (t=2.15, p=.033), marital status (t=-2.40, p=.018), status of offspring (t=2.98, p=.003), educational background (t=-3.08, p=.002), working experience (F=7.47, p=.001), time of documenting written advance directives (F=3.64, p=.007), experience of death in the family members (t=2.44, p=.015), and importance of religion (F=5.04, p=.002).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 and experience of advance directive (r=.15, p<.001); and between attitude and perception of good death (r=.37, p<.001).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attitude for advance directive were perception of good death (β=.32, p<.001) and time of documenting written advance directives (β=.25 p=.025), explaining 20% of the variance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nurses' attitude for advance directiv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es and in a clinical setting.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8월 1일부터 8...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1개 대학병원 임상간호사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경험, 지식 및 좋은죽음인식에 관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임상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점수는 29.36±0.52점, 경험점수는 2.48±1.76점, 지식 점수는 7.60±1.31점, 좋은죽음인식 점수는 47.73±5.54점으로 나타났다.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근무관련 및 죽음관련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차이에서 연령(F=3.97, p=.020), 성별(t=2.15, p=.033), 결혼상태(t=-2.40, p=.018), 자녀유무(t=2.98, p=.003), 교육정도(t=-3.08, p=.002), 근무경력(F=7.47, p=.001),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시기(F=3.64, p=.007), 가족죽음 경험(t=2.44, p=.015), 종교의 중요성(F=5.04,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의료의향서 태도 관련 경험(r=.15, p<.001), 좋은죽음인식(r=.39,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좋은죽음인식(β=.32, p<.001),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β=.25, p=.025)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전체 설명력은 20%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토대로 임상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에 대한 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좋은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적절한 전략이 개발 및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3
  • 3. 용어정의 4
  • Ⅱ. 문헌고찰 6
  • 1. 사전의료의향서 6
  • 2.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8
  • 3.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9
  • Ⅲ. 연구방법 12
  • 1. 연구설계 12
  • 2. 연구대상 12
  • 3. 연구도구 12
  • 4. 자료수집 14
  • 5. 자료분석 15
  • Ⅳ. 연구결과 16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근무관련 특성 및 죽음관련 특성 16
  • 2.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경험, 지식 및 좋은죽음인식
  • 19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근무관련 특성 및 죽음관련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경험, 지식 및 좋은죽음인식 차이 25
  • 4.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와 경험, 지식 및 좋은죽음인식과의 상관관계 33
  • 5. 대상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4
  • Ⅴ. 논의 35
  • Ⅵ. 결론 및 제언 39
  • 참고문헌 40
  • 부록 47
  • 영문초록 53
  • 국문초록 5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4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이금주 2017  156
2547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 엄정경 2017  283
254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의 법률적 쟁점 및 향후과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정유진 2017  72
254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만성심장질환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황연희 2017  156
2544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현정 2017  100
»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조윤경 2017  138
2542 20 죽음과 죽어감 왕양명 사상의 의료윤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명의료를 중심으로 / 박태환 2017  81
2541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2540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 말 연명의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 고진강 2017  133
2539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2017  67
253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김장한 2017  56
2537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253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3
253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25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6
2533 18 인체실험 국내 비임상시험기관에 대한 외국 규제기관 수검 사례 / 정은주 2013  66
2532 18 인체실험 GLP 국제 상호인정을 위한 GLP 지침연구 / 김영옥 2006  79
2531 15 유전학 4차 산업혁명과 정밀의료시대를 대비한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성 검토 / 김소윤 2017  54
2530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의 개인정보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장세균 2017  96
2529 15 유전학 4차 산업혁명과 정밀의료시대를 대비한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성 검토 토론문 / 신현호 2017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