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論叢(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69606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In search of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palliative care and termination of life-prolonging treatments - Focusing on Nietzsche and Epicurus -

                      

  • 저자명

    권미연(Kweon, Mi-Yun)                                           

  • 학술지명

    哲學論叢(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 권호사항

    Vol.88 No.- [2017]                                                           

  • 발행처

    새한철학회(영남철학회@@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 발행처 URL

    http://www.saehanphilosophy.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11-234(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오늘날 발달한 의학기술로 인해 우리는 연명치료와 호스피스 · 완화의료 등 죽음과 관련된 의료, 즉 웰다잉(Well-dying)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웰다잉 문제의 핵심은 임종기 환자의 ...
  • 오늘날 발달한 의학기술로 인해 우리는 연명치료와 호스피스 · 완화의료 등 죽음과 관련된 의료, 즉 웰다잉(Well-dying)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웰다잉 문제의 핵심은 임종기 환자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죽음의 질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우리에게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증대와 관련하여 법적, 제도적 과제와 함께 임종기 환자의 죽음교육의 문제를 제기한다. 이 논문은 연명치료 중단과 호스피스 · 완화의료에서 비종교인에 대한 죽음교육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비종교인들이 내세 관념 없이도 평안한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죽음의 두려움을 어떻게 극복하는가의 문제이다. 이 논문은 비종교인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문제를 니체와 에피쿠로스의 철학을 통해 살펴본다. 니체는 “삶을 완성시키는 죽음”, “주인으로서 당당하게 맞이하는 죽음”을 위해 이성적이고 자유로운 죽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니체의 죽음관을 통해 연명치료 중단의 철학적 근거를 살펴보고 ‘죽음의 의료화’에 의해 야기되는 현대인의 소외된 죽음에 대해 니체의 사상을 통해 대안을 제시한다. 또한 내세 관념이 없어도 죽음에 대해 두려워할 근거가 없음을 논거를 통해 제시하는 에피쿠로스의 철학을 살펴본다. 에피쿠로스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켜주고, 니체는 죽음이 삶의 끝이 아니라 삶의 완성임을 일깨워준다. 우리는 이 두 철학자의 가르침을 통해 연명치료 중단과 호스피스 · 완화의료를 선택할 때의 정신적 위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철학적 위안이 환자 및 환자 가족에 대한 의미 있는 죽음교육의 근거가 될 것이다.
  • 초록 (Abstract)
    • With the advance of medical technology, prolonged life spans and palliative care, people started showing an interest in what constitutes and contributes towards a good death, or “well-dying”. The issue of well-dying concerns not only one’s quali...
  • With the advance of medical technology, prolonged life spans and palliative care, people started showing an interest in what constitutes and contributes towards a good death, or “well-dying”. The issue of well-dying concerns not only one’s quality of life, but also the quality of death at the end of one’s life. These issues raise legal and social questions regarding the termination of life-prolonging treatments and palliative care, as well as death education for terminal patients.
    This paper deals with the topic of death education regarding termination of life-prolonging treatments and increased focus on palliative care, for non-religious people. For non-religious people to peacefully accept death without believing in an afterlife, they must overcome their fear of death. This paper examines how non-religious people can overcome their fear of death through Nietzschean and Epicurean philosophy.
    Nietzsc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ational and free death, in order to “proudly embrace death as one’s own master” and achieve a “death that completes life.” Through such views on death advanced by Nietzsche, we explore the philosophical grounds for the termination of life-prolonging treatments, and formulate an alternative to “medicalized death” that is commonly experienced in our modern world. Furthermore, we scrutinize the Epicurean philosophy that explains rationally why death should not be feared, even if the afterlife does not exist.
    Epicurus frees us from the fear of death, whereas Nietzsche reminds us that death is not the end of life, but rather its completion. Through the teaching of these philosophers, we can find spiritual solace and comfort when opting for palliative care and termination of life-prolonging treatments. This philosophical consolation will form a meaningful basis of death education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비종교인에 대한 죽음교육
  • Ⅲ. 삶과 죽음의 정신적 가치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08 9 보건의료 정책이념과 정책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정책입법안을 중심으로 / 김권식 2014  61
307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306 14 재생산 기술 개-돼지 이종 간 복제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요인 / 최미경 외 2014  60
305 9 보건의료 지능형 헬스케어 플랫폼 산업 및 국제 표준화 동향 / 김양중 2017  60
304 9 보건의료 충북지역 장애인 치과의료서비스 환경실태 및 개선방향 / 김선주 2018  60
303 9 보건의료 감염예방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WHO의 가이드라인 소개 / 김준영 2018  60
302 9 보건의료 원격의료에서 의료전문직을 위한 실천원리로서 프로네시스(phronesis) / 김진경 2018  60
30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 문제’에 관한 우리나라와 미국 판례이론의 비교 연구 / 황도수 2013  60
300 1 윤리학 개인정보 분쟁조정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헌법상 연구 / 권수진 외 2017  60
299 9 보건의료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의료이용 및 질병특성 비교 / 김유진 2017  60
298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 시술비지원 사업대상의 임신성공 특성분석 2012  60
»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296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0
295 13 인구 저출산 대책 - '일ㆍ가정 양립'은 우리 모두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이상식 2017  60
294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 일본의 논의를 참고로 / 김진영 2016  60
293 9 보건의료 불법의료기관 근절 대책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안덕선 외 2018  59
292 9 보건의료 국내 재난 시 인명피해 대비 보건의료 교육 현황 / 유학인 외 2018  59
291 2 생명윤리 자연주기법을 통한 가정의 생명교육에 관한 고찰 /이진이 2018  59
290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 신동욱 외 2010  59
289 12 낙태 낙태의 생명윤리학 / 엄정식 2018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