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717014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 저자명

    이재석 ( Lee Jaesuk )                                               

  • 학술지명

    법학연구                           

  • 권호사항

    Vol.64 No.- [2016]                                                         

  • 발행처

    한국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19-245(2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본고에서는 최근 입법화된 호스피스 · 연명의료법에 있어 `연명의료법`에 한정하여 해당 법률의 비판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본고에서의 우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명 의...
  • 본고에서는 최근 입법화된 호스피스 · 연명의료법에 있어 `연명의료법`에 한정하여 해당 법률의 비판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본고에서의 우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명 의료법의 제정은 과잉 연명의료로 죽음을 맞는 임종과정 환자들이 최선의 돌봄을 받을 수 있는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한 점에서, 말기의료에 있어 치료여부 선택의 부재에 따른 혼란을 방 지하고 건강한 일상에서 죽음에 대비하는 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다음의 내용들에 있어서는 제도시행 초기과정을 지켜본 뒤 입법적 보완이 요구되어진다. 첫째 연명의료중단 대상 환자는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이외에 외국의 입법례와 같이 말기 의 중증 환자의 경우에도 연명의료결정의 길을 제도화하는 것이 입법목적에도 부합한다 할 것이다. 또한 연명의료 중단대상 의료범위와 관련하여 해당법률에서 구체적으로 이를 명시하는 방식에서 위임입법을 통해 실질적 판단기준을 내실화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둘째 연명 의료중단 등의 결정절차에 있어 대상 환자에게 충분한 정보제공과 설명이 요구됨에도 자칫 이 과정이 요식행위로 그칠 수 있어 담당의사 등이 충분한 시간투자가 가능할 수 있도록 제도정착을 위한 여건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의료윤리의 합리성을 담보하기 위해 다음의 경우 에는 현행법에서의 2인의 의사가 아닌 의료기관 윤리위원회의 집단적 의사결정 방식의 관여 가 바람직하다. 즉,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 여부에 대한 판단, 환자에 대한 추정적 의사인정 의 확인, 환자의 의사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의 의사확인 등이 그러하다. 넷째 의사추정불가의 무연고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환자의 최선의 이익을 보장함과 제도남용을 감시할 공적감시기 구와 함께 의료기관 윤리위원회가 연명치료중단을 결정할 수 있는 입법적 제도마련이 요구되어진다.
  • 초록 (Abstract)
    •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last year, 88.9 percent of all Koreans aged 65 or older said they did not want to receive treatment to live longer if they knew their medical condition could never be cured. Th...
  •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last year, 88.9 percent of all Koreans aged 65 or older said they did not want to receive treatment to live longer if they knew their medical condition could never be cured. The National Assembly has passed the “well-dying” bill, which would allow terminally ill patients to refuse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s and die with dignity. However, the law has been enacted through intense dispute and debate and is strictly limited in scope. It is applicable only to patients who have entered the dying process, showing no prospect of recovery. When a patient`s eligibility is confirmed, medical staff may terminate life-sustaining measures such as CPR, mechanical ventilation, hemodialysis and anticancer drug administration. But with regard to the enforcement of the law, the definitions of the phase of final days of life and the dying phase, the preparation of the advance directives and POLST have yet to be made. Therefore,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still has a long way to go. Another important task is to encourage construction of hospices. On the other hand, some critics are worried that the law can be abused under the pretext of giving patients the right to die with dignity. This thesis considers `A Critical Review o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and explores several solutions to the problem. This thesis consists of four main parts. Ⅰ. Introduction, Ⅱ. The significanc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Ⅲ. A Critical Review o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Ⅳ. Conclus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78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특허침해에 따른 책임 / 김용주 2018  95
787 9 보건의료 사례 중심의 의료기기 임상시험 교재 개발 / 박남미 2018  95
786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위반에 관한 법률문제 / 정다운 2017  95
785 12 낙태 A critical assessment of abortion law and its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 김효신 외 2018  95
784 13 인구 초고령화 사회로의 접근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검토 - 우리나라와 독일법을 중심으로 - / 고재종 2018  95
783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95
78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교통데이터 처리ㆍ제공을 위한 플랫폼 개발 필요성 / 양충헌 2018  95
781 5 과학 기술 사회 왓슨의 진단 조력에 대한 현행법상 형사책임에 관한 소고 / 장연화 2017  95
780 9 보건의료 비급여, 실손보험, 그리고 올바른 의료제도의 정착을 위한 의료전달체계 / 서인석 2017  95
77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
77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일자리, 과학기술 / 정명애 2016  95
777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공공성 향상 방안 : 비교제도론을 통한 지역 연구윤리위원회 도입 검토를 중심으로 / 이경훈 2016  95
77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와 사전의료지시서 / 이재경 2008  95
77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에 있어서 간동맥 재건을 위한 특수 미세혈관수술교육의 효과 : 미세수술교육부터 임상적용까지 / 허위광 2010  95
774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사회 고령자들의 임종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 김동조 2018  94
773 20 죽음과 죽어감 Sun-390 : 암환자에서 사전연명의료계획서의 작성과 호스피스 이용 / 김진항 외 2018  94
772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의 발전과정에 대한 행정법적 대응 /박용숙 번역 2018  94
771 7 의료사회학 의료전달체계 권고안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좌훈정 2018  94
770 9 보건의료 돌발성 암성 통증 약물 선택 요인과 사용 경험: 의사 대상 설문조사 / 신진영 외 2018  94
769 12 낙태 출산억제정책으로서 모자보건법과 낙태에 대한 반성적 접근 / 김성진 2010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