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826612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A Research on the Coverage Rate of Reports on Serious Adverse Events of Clinical Trials for Korean FDA Approval in a Single Hospital

                                         

  • 저자

    조상헌                                       

  • 형태사항

    36 ;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학과 2007. 2

  • KDC

    510

  • DDC

    610

  • 발행국

    울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6

  • 소장기관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연구목적 임상시험 중 발생하는 중대한 유해사례는,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의약품의 임의의 용량에서 발생한 유해사례 중에서 사망을 초래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 입원 또는 입원 기...
  • 연구목적
    임상시험 중 발생하는 중대한 유해사례는,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의약품의 임의의 용량에서 발생한 유해사례 중에서 사망을 초래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 입원 또는 입원 기간의 연장이 필요한 경우, 지속적 또는 의미 있는 불구나 기능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 선천적 기형 또는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 기타 중요한 의학적 사건으로 정의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임상시험 중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보고 여부를 확인하여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마지막으로 투약한지 30일 이내에 발생했거나, 임상시험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에 발생한 입원, 응급실 내원, 사망을 ‘중대한 유해사례의 의심사례(Suspicious Serious Adverse Event, SSAE, 이하 의심사례)’로 정의하였다. 또한 의무기록조사 및 통계청 사망자료조사를 통해 확인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의심사례를 ‘확인된 중대한 유해사례(Identified Serious Adverse Event, ISAE, 이하 확인사례)’라고 정의하였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수행한 임상시험 중 식품의약품안전청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허가용 임상시험 중에서 2003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총 3년간 서울아산병원의 IRB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고 승인을 받은 45건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병원전산자료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45건의 임상시험에 전산 등록된 피험자 962명에 대하여 각 피험자가 임상시험에 등록된 시점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발생한 입원, 응급실 내원, 사망 자료를 조사하였다.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마지막 투약 시점을 기준으로 30일 이내에 발생한 의심사례에 대하여 의무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 피험자의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입원 및 응급실 내원시의 주증상 또는 주진단명, 재원기간, 사망의 원인, 사망 당시의 주진단명 등을 조사하고 중대한 유해사례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한편 통계청의 마이크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2004년까지 통계청에 등록된 각 피험자의 사망 관련 자료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45건의 임상시험에서 중대한 유해사례가 발생하여 서울아산병원 IRB에 보고된 경우를 파악하였고 보고된 사례를 ‘보고된 중대한 유해사례’(이하 보고사례)로 정의하였다. 확인사례와 보고된 중대한 유해사례 보고서를 비교하여 확인사례의 IRB 보고 여부를 확인하였다. 보고사례와 확인사례의 전체 건수에 대한 보고사례의 건수의 비율을 ‘중대한 유해사례 보고율’로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45건의 임상시험에 참여한 962명의 피험자에서 발생한 의심사례는 총 28건(입원 15건, 응급실 내원 8건, 사망 5건)이었다. 28건의 의심사례 중 4건은 중대한 유해사례에 해당하지 않았다. 남은 24건은 확인사례에 해당하였으며, 이중 12건(입원 11건, 사망 1건)은 중대한 유해사례로 IRB에 보고되었으나 나머지 12건(입원 2건, 응급실 내원 6건, 사망 4건)은 IRB에 보고되지 않았다. 보고되지 않은 사례 중 응급실을 내원한 6건의 사례는 기타 중요한 의학적 사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장염에 의한 것으로 의심되는 설사 1건, 1시간 이상 지속되는 비출혈 1건, 호흡곤란 및 흉통 1건, 어지러움 1건, 수술 상처 부위의 결손 2건이었다. 한편 조사대상 45건의 임상시험에서 서울아산병원 IRB에 보고된 중대한 유해사례는 총 49건이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수행된 임상시험에서 IRB에 보고된 중대한 유해사례 49건과 IRB에 보고되지 않은 확인사례 12건을 포함한 61건의 중대한 유해사례 보고율은 약 80% 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서울아산병원에서 실시된 임상시험 중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 중에서 임상연구심의위원회에 보고되지 않은 중대한 유해사례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심단어 : 중대한 유해사례, 임상시험, 임상연구심의위원회, 보고율
  •                             
  • 초록 (Abstract)
    • Methods: A Suspicious serious adverse event was defined as any inpatient hospitalization, visit to emergency room and death within thirty days from the day of the last administration of drugs for clinical trials or during the follow-up period of the c...
  • Methods: A Suspicious serious adverse event was defined as any inpatient hospitalization, visit to emergency room and death within thirty days from the day of the last administration of drugs for clinical trials or during the follow-up period of the clinical trials.
    Clinical trials, conducted in Asan medical center (AMC) and under obligations to submit the result report to th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were chosen. Forty-five clinical trials submitted result reports to and received approvals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AMC from 2003 through 2005 were chosen finally.
    Any possible cases of suspicious serious adverse events were examined using computerized hospital data about clinical trials from the day of participation through 2005 among 962 participants. Cases of suspicious serious adverse events were confirmed by chart reviews. Mortality data was used to investigate deaths of participants.
    Serious adverse events of 45 clinical trials reported to the IRB of AMC were examined. Those were compared with cases of suspicious serious adverse events.

    Results: There were twenty-eight possible suspicious serious adverse events. Twelve cases were reported to the IRB of AMC as serious adverse events, four cases were not identified as serious adverse events finally. Twelve cases - two inpatient hospitalizations, six visits to emergency room and four deaths - were not reported. Among sixty-one cases of serious adverse events including forty-nine cases reported and twelve cases unreported, the coverage rate of reported serious adverse events was about 80%.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there were serious adverse events which were not reported to the IRB of Asan Medical Center.

    Key Words : serious adverse event, clinical tri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coverage rate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
  • 목차 = iii
  • 표 및 그림 차례 = iv
  • 약어 목록 = v
  • 서론 = 1
  • 연구대상 및 방법 = 3
  • 1. 임상시험의 선택 = 3
  • 2. 중대한 유해사례 관련 자료 조사 = 4
  • 3. 중대한 유해사례의 IRB 보고 여부 조사 = 5
  • 연구결과 = 6
  • 고찰 = 21
  • 결론 = 24
  • 참고문헌 = 25
  • 영문요약 = 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48 19 장기 조직 이식 Long-term medical risks to the living kidney donor 2015  98
847 18 인체실험 Costs and Benefits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Centr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2010  98
846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2018  97
845 10 성/젠더 젠더 통제의 변화와 여성 노동자의 생활경험 / 김상숙 2018  97
844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로 전원되는 노인환자의 의료정보 공유정도와 건강결과 / 김형준 2019  97
843 1 윤리학 광고 사전심의 제도의 위헌성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기기 광고 사전심의 제도의 위헌성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 장석권 2018  97
84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신장이식에서 KONOS의 경계공여자 기준의 개선을 위한 다기관 연구 수행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예비연구 / 허우성 2017  97
841 22 동물복지 동물 관련 법제의 체계화를 위한 시론적 고찰/홍진희, 긴판기 2017  97
84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환자권리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김미숙 외 2018  97
83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인 CRISPR-Cas9의 특허 가능성 / 박인회 2018  97
838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2017  97
837 1 윤리학 생명과학분야 기초교양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 방안/주양선 외 2017  97
836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현아 외 2017  97
835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운행 중의 사고발생과 손해배상책임 / 최현태 2018  97
834 5 과학 기술 사회 젠더 불평등과 불안정 노동 / 윤자영 2018  97
833 18 인체실험 암환자의 항암제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전주경 2018  97
832 9 보건의료 외국의 외래처방 제네릭 의약품의 입찰제 운영 현황과 시사점 / 김성옥 2015  97
831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의 프라이버시 문제와 그 위험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 허유선, 정창록 2017  97
830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마우스 체외수정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이단비 2016  97
829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