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584893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A study of statistical methods on drug stability test

                                             

  • 저자

    전정우                                       

  • 형태사항

    i, 59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상규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통계학과 통계학전공 2009.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9

  •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의약품의 안정성 즉, 유효기간은 의약품이 생산되어진 후 그 성질(효능, 농도..)을 얼마나 오래 동안 유지하는가이다. FDA에서는 모든 의약품의 용기에 사용기간을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고 ...
  • 의약품의 안정성 즉, 유효기간은 의약품이 생산되어진 후 그 성질(효능, 농도..)을 얼마나 오래 동안 유지하는가이다. FDA에서는 모든 의약품의 용기에 사용기간을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고 실제 의약품의 사용기간은 전형적으로 알 수 없기 때문에 의약품개발과정에서 의약품의 기본적인 성질을 측정한 결과들을 기초로 이용한 안정성 시험으로 추정되어야 한다. 또한 FDA에서는 사용기간을 추정한 것에 대한 통계적인 증거들 제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기간을 위한 통계적인 모형들과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사용기간들을 비교연구 해 본다.
  • 초록 (Abstract)
    • The stability of a drug product , shelf-life indicates the time that the average drug characteristic (potency,strength...) remains within an approved specification after manufacture.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requires indic...
  • The stability of a drug product , shelf-life indicates the time that the average drug characteristic (potency,strength...) remains within an approved specification after manufacture.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requires indication for every drug product of a shelf-life on the immediate container label. Since the true shelf-life of a drug product is typically unknown, it has to be estimated based on assay results of the drug characteristic from a stability study usually conducted during the process of drug development. Furthermore, the FDA requires that the estimated shelf-life be so constructed that it is statistically evident. In this paper, we study and compare the statistical models (Fixed-effect model, Random-effect model and Mixed-effect model) for shelf-life and several shelf-life estimators that used statistical methods. Finite sample performance of some shelf-life estimators is examined in a simulation study.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개요 = 1
  • Ⅱ. 의약품 안정성 시험 = 2
  • 가. 안정성 시험 = 2
  • Ⅲ. 통계적 방법 = 4
  • 가. 외삽법 : 선형회귀분석 = 4
  • 나. 풀가능성시험(Poolability test) = 5
  • 다. 주의할 점 = 6
  • Ⅳ. 통계적 모형 = 7
  • 가. 고정효과모형(Fixed-effect model) = 7
  • 나. 랜덤효과모형(Random-effect model) = 9
  • 다. 혼합효과모형(Mixed -effect model) = 13
  • Ⅴ. OLS 방법과 GLS 방법 비교 = 15
  • 가. OLS (Ordinary least square) 방법 = 15
  • 나. GLS (Generalized least square) 방법 = 15
  • Ⅵ. 예제 데이터 분석 = 18
  • Ⅶ. 결론 = 44
  • 참고문헌 = 46
  • Appendix = 49
  • Appendix 1. 의약품등의안정성시험기준 = 49
  • Appendix 2. Covariance Structure Examples = 55
  • 국문초록 = 58
  • Abstract = 5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 장기 조직 이식 Saving Lives with 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Organ Donation After Assisted Dying / Shaw, David M.

발행년 2015 

  • 조회 수 36

19 장기 조직 이식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Germany / Breidenbach, Thomas

발행년 2016 

  • 조회 수 36

19 장기 조직 이식 Iran's Experience on Living and Brain-Dead Organ Donation: A Critical Review / Aramesh, Kiarash

발행년 2016 

  • 조회 수 36

15 유전학 유전자교정과 인간유전체 연구의 개념적 구별과 최근동향 / 김형래

발행년 2016 

  • 조회 수 36

1 윤리학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혜숙

발행년 2017 

  • 조회 수 3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전략 및 한국의 정치발전을 위한 제언 / 박종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3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

발행년 2017 

  • 조회 수 3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과 가톨릭 교회 / 이동익

발행년 2018 

  • 조회 수 36

9 보건의료 Assessing Rehabilitation Eligibility of Older Patients: An Eth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Bias / Najem

발행년 2018 

  • 조회 수 36

8 환자 의사 관계 The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where Valid Consent is Not Needed / Walker, Tom

발행년 2017 

  • 조회 수 36

20 죽음과 죽어감 Support for Voluntary Euthanasia with No Logical Slippery Slope to Non-Voluntary Euthanasia / Daskal

발행년 2018 

  • 조회 수 36

5 과학 기술 사회 Direct-To-Consumer 광고 판매언설에 관한 연구 / 김춘애

발행년 2006 

  • 조회 수 36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에서 환자의 가치창출행동이 서비스 품질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김지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36

9 보건의료 심평의학의 문제점 및 제도 개선방안 / 김재연

발행년 2018 

  • 조회 수 3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지정 토론문 / 김성곤

발행년 2018 

  • 조회 수 36

9 보건의료 Obesity and Obligation

발행년 2015 

  • 조회 수 37

15 유전학 특집 : 게놈시대의 기독교사회윤리 ; 특별강연 : 게놈시대의 생명윤리 / 이정주

발행년 2002 

  • 조회 수 3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부가적 요법으로서의 한의학적 치료 / 김동일

발행년 2010 

  • 조회 수 37

9 보건의료 혁신친화형 바이오헬스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언 / 배성윤

발행년 2016 

  • 조회 수 37

5 과학 기술 사회 소비자 맞춤형 삼차원 프린팅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탐색 / 이국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