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945120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A) Study on the role of the parish community for the Hospice Home Care

                                        

  • 저자

    이종경                                       

  • 형태사항

    110 p. ; 26 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조직신학전공 2002. 8

  • DDC

    261.832 21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2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오늘날 의학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거두었고 생명공학과 첨단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은 연장되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사회, 경제적인 구조의 변화로 인해 말기환자의 인간적 존엄성...
  • 오늘날 의학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거두었고 생명공학과 첨단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은 연장되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사회, 경제적인 구조의 변화로 인해 말기환자의 인간적 존엄성이 배제된, 수동적인 생명연장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그 결과 말기환자 삶의 질은 저하되었다. 인간 생명의 경시풍조와 존엄성의 상실은 더욱 심해졌으며, 치료불가능한 환자에게 안락사를 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의료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호스피스이다. 호스피스는 환자 개인의 존엄성을 고양하고 삶의 질을 높이며, 임종을 자연스런 삶의 한 과정으로 긍정적으로 수용하도록 돕는 총체적인 돌봄이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본받아 말기 환자들과 고통을 함께 하고 위로해야할 소명을 받고 있다. 즉 말기환자를 돌보고 위로하여 죽음이라는 관문을 지나고 하느님 나라의 새 생명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 호스피스에로의 사명을 받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말기환자와 가족에게 사랑으로 응답해야 사명을 가진 교회의 역할, 특히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 있어서 본당 공동체의 역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1장에서는 호스피스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다.
    호스피스는 말기환자와 그 가족을 사랑으로 돌보는 행위로서 환자가 남은 여생동안 인간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신체적·정서적·사회적·영적으로 도우며, 사별가족의 고통을 달래주는 총체적인 돌봄이다.
    이러한 호스피스 활동에는 병원내 병동형 및 산재형 호스피스, 독립형 호스피스, 그리고 가정 호스피스 등 다양한 형태들이 있는데, 결국 환자의 요구도를 가장 잘 만족시킬 수 있는 형태의 호스피스가 최적의 호스피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호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력이 접근하는 호스피스 팀이 필수적인데, 호스피스 조정자, 의사, 간호사, 사목자, 사회사업가, 약사, 영양사, 각종 치료사, 그리고 자원봉사자 등의 호스피스 팀 구성원들이 다각도에서 말기환자를 돌보게 된다. 그리고 이들은 팀 회의를 통해 함께 정보를 교환하고 상호간에 도움을 주게 된다.
    제2장에서는 각 국의 호스피스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호스피스 제도화가 이루어진 영국·미국·일본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우리나라의 현황도 살펴보았다. 영국은 종교적 이념 실천의 방법으로, 미국은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른 요구와 경제적인 이유로, 일본은 노인인구와 말기환자 증가라는 사회적인 문제로 호스피스를 시작하게 되었다. 호스피스가 현대 의료체계의 독립된 분야로 자리잡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지만, 오늘날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호스피스는 영국에서와 같이 가톨릭 교회 내 수녀들의 자선활동으로 처음 시작되었고, 1980년대를 거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호스피스 제도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법적·제도적 보장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호스피스 자체로는 의료활동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구체적인 문제점들로는, 첫째 일반인 및 의료인들의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 둘째 호스피스를 위한 시설 자체가 부족하고, 시설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수준이 떨어진다는 점, 셋째 환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점, 넷째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 다섯째 호스피스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 여섯째 호스피스 기관과 병원, 또는 호스피스 기관들 사이의 연계체계가 거의 없다는 점, 일곱째 재정의 부족으로 환자와 가족 그리고 호스피스 기관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 여덟째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에 한계가 있다는 점 등이었다.
    제3장에서는 가톨릭 교회 내의 호스피스 활동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센터와 성가복지병원 호스피스 병동, 전·진·상 의원 가정 호스피스와 모현 호스피스를 조사하였는데, 각 기관의 특징들을 볼 수 있었다.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센터는 대표적인 병원내 병동형 호스피스 기관으로서 완전한 인력을 갖추고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이었다. 특히 최근 시작한 본당 호스피스팀 사업은 구체적으로 호스피스를 실천하기 위한 또 하나의 방법으로서 성과가 기대가 되며 앞으로 계속해서 발전하게 될 전망이었다.
    성가복지병원 호스피스 병동은 생활보호대상자, 의료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자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호스피스 병동이며, 사회적으로 더욱 소외된 AIDS 환자들을 위한 병실을 따로 준비함으로써 말기환자들 중에서도 특히 더욱 고통받는 사람들을 돌보는 일을 하고 있었다.
    전·진·상 의원 가정 호스피스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는 가정 호스피스로서 의원급의 기관에서 호스피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었다.
    모현 호스피스는 서울과 인근 지역이라는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가정 호스피스를 전개하는 기관으로 비교적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초창기부터 많은 교육을 실시해온 기관이었다.
    이같은 호스피스 기관들의 활동사항과 함께 가톨릭 교회에서 실시한 호스피스 활동에 대한 평가를 해 보았다. 가톨릭 호스피스는 우리나라에 호스피스를 도입시켰고, 제도적 미흡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호스피스 활동을 전개했으며, 다양한 교육활동들을 실시하여 우리나라 호스피스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가톨릭 교회 내의 호스피스 활동의 여러 문제점들도 지적할 수 있었다. 첫째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사목자 등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점, 둘째 기관과 가정, 그리고 기관들 사이의 연계가 부족하다는 점, 셋째 병원과 가정의 중간단계의 호스피스 센터가 없다는 점, 넷째 3차 의료기관 내의 호스피스 병동의 문제점 등이었다.
    한편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에서 서초구 보건소와 연계해서 실시한 서초구 말기 질환자 관리 사업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 사업은 한정된 시설과 인력으로 말기환자를 위한 호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호스피스의 활성화 방안으로서의 가정 호스피스의 필요성과 그 조건을 살펴보면서,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 있어 본당 공동체의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가정 호스피스는 환자가 편안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게 해주고, 가족에게는 자신의 건강도 돌보면서 환자를 간호할 수 있게 해주어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또한 오랜 기간의 치료를 통해 경제적으로 고통받고 있는 이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간호를 받을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병원에서도 병상 회전율을 높여 급성 환자에게 병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재정적 한계 또는 지역적인 한계로 호스피스 사업을 할 수 없는 여건에서 호스피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유용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가정 호스피스가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 갖춰야할 조건들도 살펴보았는데, 첫째로는 일반인과 의료인들에 대한 홍보, 둘째는 가정 호스피스 기관과 병원형 호스피스이나 병·의원간의 연계 및 호스피스 기관과 보건소·복지관·종교기관과의 연계 체계, 셋째는 가족에 대한 교육 및 전화상담 대기, 넷째 주간 호스피스와 휴식 간호 제공, 다섯째 다수의 소규모 가정 호스피스 기관의 설립 등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본당 공동체가 가정 호스피스의 활동을 위해서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는데, 구체적인 방법으로 첫째 홍보 및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 둘째 호스피스 기관과의 긴밀한 연계체계 구축, 셋째 사목자와 자원봉사자 등의 호스피스 인력제공 및 가정방문 활동, 넷째 사회복지분과 및 후원회를 통한 재정적 지원, 다섯째 호스피스 팀 회의 참석·정보공유, 여섯째 환자의 임종시 장례예식 거행 및 사별가족 관리 등을 제시하였다.
    이상으로 본당 공동체가 말기환자들을 위해 어떻게 도울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말기환자를 위해 호스피스를 제공하는 일이 교회에서만 수행하는 종교적인 운동만은 분명히 아니다. 하지만 교회는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끊임없이 투신하였고, 인간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생명을 수호해 왔다.
    이제는 호스피스의 활동범위를 보다 널리 펼쳐야 할 단계에 와 있다. 따라서 호스피스 기관 중심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연계해서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최근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센터에서 시행하는 본당 호스피스팀 활동과,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에서 시행하는 서초구 말기 질환자 관리 사업은 호스피스에 대한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앞으로 호스피스가 발전할 수 있는 한 방향을 보여준 이 모형에서 본당 공동체는 수행해야할 역할을 분명히 갖게 될 것이다.
    본당 공동체가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위로자이며 치유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길을 따르는 일임과 동시에, 오늘날 제기되는 시대적 요청에 역동적으로 응답하는 교회의 모습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당 공동체는 그리스도의 모범을 본받아 고통받는 이웃들에게 사랑의 응답을 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겠다. 그리고 본당 공동체는 지역 내의 모든 사람들이 어우러져 삶을 나누는 지역사회의 장(場)이기 때문에, 본당 공동체의 활동은 지역 내의 가톨릭 신자만이 아니라 가톨릭 신앙을 갖지 않은 모든 사람에게까지 개방된 활동이어야 하겠다.
    고통받는 이들과 함께 하는 것은 교회의 사명으로서, 이 사명의 구체적인 실현의 장(場)인 본당 공동체는 호스피스 활동에 적극 참여해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의 전개 및 한계 = 3
  • 제1장 호스피스 개관 = 6
  • 1.1. 호스피스의 정의 = 6
  • 1.2. 호스피스의 역사 = 8
  • 1.2.1. 고대 = 9
  • 1.2.2. 중세 = 10
  • 1.2.3. 유럽(근대-현대) = 10
  • 1.2.4. 미국 = 12
  • 1.3. 호스피스의 철학 = 13
  • 1.4. 호스피스의 형태 = 15
  • 1.4.1. 병원 내 호스피스 = 15
  • 1.4.1.1. 병동형 호스피스 = 15
  • 1.4.1.2. 산재형 호스피스 및 호스피스 팀 = 16
  • 1.4.3. 독립형 호스피스 = 17
  • 1.4.4. 가정 호스피스 = 18
  • 1.5. 호스피스 팀 구성 = 19
  • 1.5.1. 호스피스 팀(Interdisciplinary Team) = 19
  • 1.5.2. 호스피스 팀 구성원의 역할 = 20
  • 1.5.2.1. 호스피스 조정자 = 20
  • 1.5.2.2. 의사 = 21
  • 1.5.2.3. 간호사 = 21
  • 1.5.2.4. 사목자 = 22
  • 1.5.2.5. 사회사업가 = 22
  • 1.5.2.6. 약사 = 23
  • 1.5.2.7. 치료사 = 23
  • 1.5.2.8. 영양사 = 23
  • 1.5.2.9. 자원봉사자 = 23
  • 1.5.3. 호스피스 팀 회의 = 25
  • 제2장 각 국 호스피스의 현황 = 27
  • 2.1. 영국, 미국, 일본의 현황 = 27
  • 2.1.1. 영국 = 28
  • 2.1.2. 미국 = 30
  • 2.1.3. 일본 = 33
  • 2.2. 우리나라의 현황 = 35
  • 2.3.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문제점 = 37
  • 2.3.1. 인식 부족 = 38
  • 2.3.2. 시설 부족 = 39
  • 2.3.3. 중재 프로그램 부족 = 40
  • 2.3.4. 교육 문제 = 40
  • 2.3.5. 연구 부족 = 41
  • 2.3.6. 병원·기관들 간의 연계 = 42
  • 2.3.7. 재정적 문제 = 42
  • 2.3.8. 마약성 진통제 문제 = 43
  • 제3장 가톨릭 교회 내 호스피스 현황 = 45
  • 3.1. 교회 내 호스피스 활동 현황 = 45
  • 3.1.1.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센터 = 45
  • 3.1.2. 성가복지병원 호스피스 = 49
  • 3.1.3. 전·진·상 의원 가정 호스피스 = 51
  • 3.1.4. 모현(母峴) 호스피스 = 52
  • 3.2. 가톨릭 교회 내 호스피스 활동의 평가 = 53
  • 제4장 가정 호스피스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62
  • 4.1. 가정 호스피스의 필요성 = 62
  • 4.2. 가정 호스피스 활성화를 위한 조건들 = 68
  • 4.2.1. 홍보 = 69
  • 4.2.2. 기관과 기관·보건소·복지관·종교기관과의 연계 = 70
  • 4.2.3. 가족에 대한 교육 및 24시간 전화상담 대기 = 72
  • 4.2.4. 주간간호(Day Care) 및 휴식간호(Respite Care) 제공 = 73
  • 4.2.5. 지역 단위의 소규모 가정 호스피스 기관 설립 = 74
  • 4.3. 가정 호스피스에서의 본당 공동체 역할 = 75
  • 4.3.1. 홍보·인식전환을 위한 노력 = 76
  • 4.3.2. 본당과 기관과의 연계 = 77
  • 4.3.3. 방문을 통한 돌봄 = 78
  • 4.3.3.1. 자원봉사자의 육성 및 활동 = 78
  • 4.3.3.2. 사목자의 지속적인 관심 및 활동 = 79
  • 4.3.4. 사회복지분과 및 후원회를 통한 경제적 도움 = 81
  • 4.3.5. 호스피스 팀 회의에 참석, 정보교환 = 82
  • 4.3.6. 장례 및 사별가족 지지 = 83
  • 결론 = 85
  • 참고문헌 = 94
  • 국문요약 = 98
  • ABSTRACT = 1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888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 체험연구 / 이혜연 2019  162
1887 9 보건의료 의료감정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신강욱 2018  162
1886 8 환자 의사 관계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행위와 환자의 법적 구제수단 - IBM Watson(왓슨)의 이용을 중심으로- / 이현경 2018  162
1885 20 죽음과 죽어감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파르토넨 2018  162
1884 14 재생산 기술 착상전유전자선별검사와 배아생성자의 권리 / 배현아 외 2018  162
1883 9 보건의료 국내 체외동반진단기기 허가를 위한 평가시스템 연구 / 천보경 2017  162
1882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관련 재료 및 소모품의 국산화 필요성에 대한 고찰/차병헌, 전진현 2011  162
1881 5 과학 기술 사회 차세대 인공지능의 특허대상 범위에 대한 도전 - 미국의 법리를 중심으로 - /이상미 2017  162
» 20 죽음과 죽어감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이종경 2002  162
1879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정도와 인지기능 장애 및 행동 장애간의 상관 / 조성완, 박종한 1994  162
1878 2 생명윤리 가톨릭 사회교리에 비추어 본 생명과 건강 / 박정우 2016  162
1877 12 낙태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 최희경 2013  162
1876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의 허가-특허 연계제도 / 박인회 2013  162
1875 2 생명윤리 생명존중에 입각한 동물권 보호 = Animal rights protection based on respect forlife/최한균 2015  162
1874 1 윤리학 나고야의정서의 국내 이행 필요사항 분석/박원석 2013  162
187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사결정의 속성-생전유언을 중심으로 / 김신미 2010  162
1872 1 윤리학 행복한 삶과 인성교육 -절대무(絶對無)와 『죽음에 이르는 병』을 중심으로- / 황종환 2019  161
1871 15 유전학 유전체 자료분석을 위한 생존분석방법에 관한 고찰 / 이승연 2018  161
187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
1869 10 성/젠더 온라인 게임내 성차별 실태 조사 및 제재 시스템 디자인 연구 / 맹욱재 외 2018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