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31057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Perspective on Patient End-of-Life Decision Act and Clinical Ethics Service

                             

  • 저자명

    이일학(Lee Il-hak)                                              

  • 학술지명

    생명윤리                           

  • 권호사항

    Vol.18 No.1 [2017]                                                           

  • 발행처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5-45(1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에 관한 법률(연명의료결정법)은 의료기관 내에 연명의료결정에 관련하여 자문과 상담을 제공하는 의료기관윤리위원회 구성을 요구...
  •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에 관한 법률(연명의료결정법)은 의료기관 내에 연명의료결정에 관련하여 자문과 상담을 제공하는 의료기관윤리위원회 구성을 요구한다. 윤리자문이 제도화된다는 큰 변화에 비하면 연구는 아직 미진한 편이다. 본 논문은 임상윤리가 자문과 상담을 넘어 좀더 포괄적인 개념인 임상윤리서비스의 개념으로 발전해야 함을 강조한다. 임상윤리서비스는 윤리학, 법학, 종교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갖추어 의료기관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하나다. 윤리적 가치문제를 내포한 임상적 판단 과정에서 의료인과 환자를 지원하여 합리적 판단과 결정이 가능하도록 상담과 자문을 지원하며 의료 서비스의 윤리성을 제고하고 기관 구성원의 도덕적 갈등과 고뇌를 해소하기 위해 의료기관 성원의 교육과 상담을 제공한다. 이 서비스에는 대화, 공식적 상담, 전문가적 자문, 위원회 심의 및 관련 법률에 따라 의료기관이 제공해야 하는 연명의료관련 상담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서비스는 지금까지 생각해 온 임상윤리서비스의 범위를 넘는 것이며 팀 단위로 제공되어야 하는 것으로 생명윤리전공자들은 이론과 연구역량을 갖춘 팀의 일원으로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대한 생명윤리학계의 관심이 필요하다.
  • 초록 (Abstract)
    • “Patient End-of-Life Decision Act 2016” mandate ethics consultation and review for end of life care decisions in practically every health care institute. But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issue of how the clinical ethics is provided to practi...
  • “Patient End-of-Life Decision Act 2016” mandate ethics consultation and review for end of life care decisions in practically every health care institute. But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issue of how the clinical ethics is provided to practitioners and patients. In this article I will argue that clinical ethics should be understood as ‘clinical ethics service’ that is composed of consultation, counseling, education and even administration: consultation for particular decisions about individual case; counseling to motivate professionals and promote ethical awareness and reasoning as well as support and comforting patients in difficult situtation; educating procedures to comply with law; administration such as document piling and reporting. This service should be provided in a team approach and clinical ethicists are part of team, equipped with theory and research capabilities. The research agenda for better clinical ethics service is presented.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임상윤리서비스 개념
  • Ⅲ.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Ⅳ. 임상윤리서비스
  • Ⅴ. 결론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88 9 보건의료 정밀의료와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서비스의 혁신 패러다임 / 김종원 2017  70
418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4186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삶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상희 2016  70
4185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죽음 교육 전과 후의 웰다잉 인식과 결정에 관한 연구 / 송현동 외 2018  70
4184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서 나타나는 인간존엄의 보편성과 특수성 / 최민영 2016  70
4183 9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비식별 조치 현안 및 향후 과제에 관한 연구 - 보건의료분야를 중심으로 / 김순석 외 2018  70
4182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정체성에 관한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의 체현으로서의 사이보그 : 다다 뉴맨에서 동시대의 혼성신체까지 / 최정은 2015  70
418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수준과 PR 캠페인의 전제 / 김병희 외 2018  70
418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바이오헬스 규제 / 유명희 외 2017  70
4179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데이터 샌드박스에 관한 연구 / 김배현, 권영일 2018  70
4178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제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 이송호, 정일환 2018  70
4177 1 윤리학 Toward an Anthropology of Ethics: Foucault and the Pedagogies of Autopoiesis 2001  71
4176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Nkx2.5+ 심장전구세포의 isoflurane에 의한 전처치 효과에서의 protein kinase C-ε의 역할 / 송인애 2016  71
4175 18 인체실험 신약 임상시험의 과정 및 관련지침 / 신상구 1994  71
4174 2 생명윤리 배아 헌법소원 판결문의 부당함에 대한 논증 / 윤성혜 2017  71
4173 9 보건의료 건강관련정보(data concerning health)의 활용과 문제점 / 최규진,김병수 2017  71
»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1
4171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의 결함과 법적 책임에 관한 고찰 2016  71
417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1
416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