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재산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867667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Gesetz zur Entscheidung der lebensverlängerenden ärtzlichen Maßnahme und Abbruch der lebensverlängerenden ärtzlichen Maßnahme - Entscheidung der lebensverlängerenden ärtzlichen Maßnahme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Recht -

                  

  • 저자명

    장병주(Jang, Byeong-Ju)                                              

  • 학술지명

    재산법연구                           

  • 권호사항

    Vol.33 No.4 [2017]                                                           

  • 발행처

    한국재산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9-199(3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KDC

    365

  • 소장기관

  • 판매처

    교보문고 교보문고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있는 환자는 자기 결정권을 행사할 수 없다. 그 결과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중단할 근거가 없는 경우에는 연명의료를 계속할 수밖에 없다. 무의미한 연명의료 ...
  •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있는 환자는 자기 결정권을 행사할 수 없다. 그 결과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중단할 근거가 없는 경우에는 연명의료를 계속할 수밖에 없다. 무의미한 연명의료 로 인하여 환자는 육체적·정신적 고통을 당하며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받을 수 없게 된다. 이에 대법원은 환자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시가 없는 경우에 엄격한 요건 하에서 연명의료 중단을 허용함으로써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사전의료지 시가 없는 경우에는 여전히 법적 불안정성이 존재한다.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할 수 있는 무의미한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입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2016. 2. 3. 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되었고 2017. 8. 4. 시행될 예정이다. 동법에 따라 환자는 연명의료계획서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하여 본인의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결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환자가족 또는 법정대리인이 연명의료 중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함으로 환자의 자기 결정권을 침해하고 있다. 또한 연명의료결정법에서는 가정법원과 후견인 보다 담당 의사와 해당 분야 전문의 및 환자가족에게 중요한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환자의 생명권과 자기 결정권을 침해하고 환자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받을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 초록 (Abstract)
    • Einwilligununfähigen Patienten können den Abbruch seiner ärztlichen Maßnahme für sinnlos Lebensverlängerung nicht selbstbestimmen. Mit der sinnlos lebensverlängerenden ärztlichen Behandlung erduldet die Patient geistige und körperliche Pein u...
  • Einwilligununfähigen Patienten können den Abbruch seiner ärztlichen Maßnahme für sinnlos Lebensverlängerung nicht selbstbestimmen. Mit der sinnlos lebensverlängerenden ärztlichen Behandlung erduldet die Patient geistige und körperliche Pein und seine Würde und Wert eingegrift wird. Nach der Rechtssprechung ist deren Abbruch nur unter besonders strengen Voraussetzung erlabut; der Patientenwille muss bei Abbruch der ärztlichen Maßnahme unter strengen Voraussetzungen Beachtung finden. Danach bestanden noch die rechtliche Ungewissheit der Beteilgten an den ärztlichen Maßnahme. Es bearft eines Gesetzes für den Abbruch der sinnlos lensverlängerenden ärztlichen Maßnahme. Daher wurde ein Gesetz zur Entscheidung der lebensverlängerenden ärtzlichen Maßnahme am 2. 3. 2016 verabschidet und tritt am 8. 4. 2017 in Kraft. Nach diesem Gesetz kann man seine Patientenverfügung oder Plan zur lebensverlängerenden ärztlichen Maßnahme festlegen, den Abbruch seiner nicht bevorstehenden ärztlichen Behandlung selbstzubestimmen. Mit der Vorchschrift, die Familienangehörige und gesetzliche Bevollmächtigte zur Entscheidung des Abbruchs der sinnlos lebensverlängerenden ärztlichen Maßnahme bei Nichtfeststellung des Patienetenwille ermächtigt, wird jedoch die Selbstbestimmungsrecht des Patienten eingegriffen. Darüber hinaus spielen die behandelnde Arzt und Facharzt sowie Familienangehörige wichtiger Rolle als Familiengericht und Betreuer, so könnten das Lebens- und Selbstbestimmunsrecht sowie die Würde und Wert eingegriefen werden.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독일법상 연명의료 결정
  • Ⅲ. 민법상 연명의료 중단의 법적 근거와 요건
  • Ⅳ. 연명의료결정법에 의한 연명의료중단
  • V. 맺음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 윤리학 법률전문가로서 변호과오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 김남길

발행년 2015 

  • 조회 수 740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발행년 2011 

  • 조회 수 73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권선주

발행년 2003 

  • 조회 수 738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의 국외 규제 동향 및 시사점 / 이수빈, 김한나

발행년 2018 

  • 조회 수 737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발행년 2015 

  • 조회 수 737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발행년 2013 

  • 조회 수 735

14 재생산 기술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된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에서 법적 부모 결정 문제/ 김은애, 유수정

발행년 2018 

  • 조회 수 734

16 환경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의한 비상동말단연결의 정확성 분석 /양소연

발행년 2017 

  • 조회 수 73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윤리에 관한 연구 / 김재영

발행년 2000 

  • 조회 수 73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발행년 2015 

  • 조회 수 731

18 인체실험 IRB 심의 운영에 대한 분석 : 2013년 세브란스병원 IRB 심의를 바탕으로 / 노양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731

8 환자 의사 관계 '선한 사마리아인 법'에 따른 민사책임의 감경 - 응금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의2을 중심으로 -/김천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726

14 재생산 기술 임신ㆍ출산에 관한 여성의 자기결정권 / 김채윤

발행년 2017 

  • 조회 수 725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 연구 / 김준호

발행년 2016 

  • 조회 수 723

15 유전학 유전체 서열 조합을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 자료의 k-mer 분석 / 김민선

발행년 2015 

  • 조회 수 722

1 윤리학 법적 논의에 있어 인간의 존엄성 개념에 대한 연구 : 초기 배아에 대한 존엄성 논의를 바탕으로 / 차승현

발행년 2011 

  • 조회 수 72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위험의 특성과 법적 규제방안 /양종모

발행년 2016 

  • 조회 수 72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천현득

발행년 2017 

  • 조회 수 720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발행년 2004 

  • 조회 수 71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개념과 분류 / 구영모

발행년 2005 

  • 조회 수 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