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72880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저자

    현진희                                       

  • 형태사항

    vii, 67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균
    참고문헌: p. 61-6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신문출판 전공 2017. 2

  • DDC

    070 23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인구의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독서율이 낮은 5, 60대 인구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그 중심에 거대 인구 집단인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인구구조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출판 시장의 변화를 예측...
  • 인구의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독서율이 낮은 5, 60대 인구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그 중심에 거대 인구 집단인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인구구조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출판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다양한 사회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 세대가 가지는 집단의 특성을 바탕으로 독자로서의 정체성과 독서의 방향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를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베이비붐 세대의 개념과 특성, 출판과의 관련성, 출판 수용자의 능동적 수용성과 기대가치 이론 및 선행연구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고령화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가 출판 독자로서 책을 얼마나 읽고 있는지, 어떤 정보원을 통해 책을 선택하는지, 어떤 분야의 책을 읽는지, 책을 어디서 구입하는지의 기본적인 독서 행태를 알아보고, 그 다음 독서가 베이비붐 세대의 기대에 얼마나 부응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독서 전의 기대와 독서 후의 만족을 ‘추구하는 충족’과 ‘획득한 충족’의 상관관계와 차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독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기대만큼 충족을 채워주지 못하고 있었고, 독서량도 낮아 독서의 확산을 기대하기는 힘든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베이비붐 세대는 독서에 대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고, 자기계발성 정서함양에 가치를 두고 생산적인 독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세대의 독서 확대를 위한 출판계의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독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내적 토대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베이비붐 세대는 노화를 인생의 쇠퇴로 인식하지 않고 계속적인 발달과 학습의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더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문화적 욕구를 추구할 것이므로 독서의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연구와 관심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368 1 윤리학 개인정보 분쟁조정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헌법상 연구 / 권수진 외 2017  60
436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 문제’에 관한 우리나라와 미국 판례이론의 비교 연구 / 황도수 2013  60
4366 9 보건의료 원격의료에서 의료전문직을 위한 실천원리로서 프로네시스(phronesis) / 김진경 2018  60
4365 9 보건의료 감염예방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WHO의 가이드라인 소개 / 김준영 2018  60
4364 9 보건의료 충북지역 장애인 치과의료서비스 환경실태 및 개선방향 / 김선주 2018  60
4363 9 보건의료 지능형 헬스케어 플랫폼 산업 및 국제 표준화 동향 / 김양중 2017  60
4362 14 재생산 기술 개-돼지 이종 간 복제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요인 / 최미경 외 2014  60
4361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4360 9 보건의료 정책이념과 정책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정책입법안을 중심으로 / 김권식 2014  61
4359 19 장기 조직 이식 다층모형을 적용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 변화 영향요인/송지은, 소향숙 2015  61
435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본 웰다잉의 조건과 방식 / 유권종 2008  61
4357 9 보건의료 일차의료 강화를 통한 효과적 만성질환 관리 방안 / 신호성 2012  61
43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보험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이성남 2018  61
4355 15 유전학 인종과 유전: 게놈 시대에 은폐된 인종의 자리 / 김준년 2017  61
4354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윤미진 2016  61
4353 9 보건의료 고령사회에 대응한 보건의료체계 개편의 시급성 / 박은철 2018  61
4352 7 의료사회학 개정된 의사윤리지침과 의학전문직업성에 기반한 자율규제 / 박석건 외 2018  61
4351 9 보건의료 중소병원 및 일차의료기관의 환자안전 현황과 정책 과제 / 서제희 2016  61
4350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용의료기기 부작용 관리시스템에 대한 고찰 / 강경묵 외 2018  61
4349 9 보건의료 의료법학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8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