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72880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저자

    현진희                                       

  • 형태사항

    vii, 67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균
    참고문헌: p. 61-6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신문출판 전공 2017. 2

  • DDC

    070 23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인구의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독서율이 낮은 5, 60대 인구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그 중심에 거대 인구 집단인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인구구조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출판 시장의 변화를 예측...
  • 인구의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독서율이 낮은 5, 60대 인구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그 중심에 거대 인구 집단인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인구구조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출판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다양한 사회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 세대가 가지는 집단의 특성을 바탕으로 독자로서의 정체성과 독서의 방향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를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베이비붐 세대의 개념과 특성, 출판과의 관련성, 출판 수용자의 능동적 수용성과 기대가치 이론 및 선행연구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고령화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가 출판 독자로서 책을 얼마나 읽고 있는지, 어떤 정보원을 통해 책을 선택하는지, 어떤 분야의 책을 읽는지, 책을 어디서 구입하는지의 기본적인 독서 행태를 알아보고, 그 다음 독서가 베이비붐 세대의 기대에 얼마나 부응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독서 전의 기대와 독서 후의 만족을 ‘추구하는 충족’과 ‘획득한 충족’의 상관관계와 차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독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기대만큼 충족을 채워주지 못하고 있었고, 독서량도 낮아 독서의 확산을 기대하기는 힘든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베이비붐 세대는 독서에 대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고, 자기계발성 정서함양에 가치를 두고 생산적인 독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세대의 독서 확대를 위한 출판계의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독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내적 토대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베이비붐 세대는 노화를 인생의 쇠퇴로 인식하지 않고 계속적인 발달과 학습의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더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문화적 욕구를 추구할 것이므로 독서의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연구와 관심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388 9 보건의료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책 변화의 고찰 / 이동현 외 2018  58
4387 9 보건의료 의료수가결정과 변화에 대한 사이버네틱스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 / 김주환 2010  59
4386 19 장기 조직 이식 조세감면정책을 통한 장기기증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기 2009  59
4385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4384 9 보건의료 대사증후군기반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시스템의 설계 / 김지언 2017  59
43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4382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사관에서 본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2017  59
4381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 방향 / 황나미 2013  59
4380 12 낙태 낙태의 생명윤리학 / 엄정식 2018  59
4379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 신동욱 외 2010  59
4378 2 생명윤리 자연주기법을 통한 가정의 생명교육에 관한 고찰 /이진이 2018  59
4377 9 보건의료 국내 재난 시 인명피해 대비 보건의료 교육 현황 / 유학인 외 2018  59
4376 9 보건의료 불법의료기관 근절 대책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안덕선 외 2018  59
4375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 일본의 논의를 참고로 / 김진영 2016  60
4374 13 인구 저출산 대책 - '일ㆍ가정 양립'은 우리 모두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이상식 2017  60
»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0
437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4371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 시술비지원 사업대상의 임신성공 특성분석 2012  60
4370 9 보건의료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의료이용 및 질병특성 비교 / 김유진 2017  60
4369 1 윤리학 개인정보 분쟁조정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헌법상 연구 / 권수진 외 2017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