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82617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저자

    정다운                                       

  • 형태사항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한동호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경성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정책학 2017. 2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what factors actually affected the fertility rate and to propose feasible policy measures against low fertility in Korea. The time range of the research is between 1970 and 2015, The space range of the researc...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what factors actually affected the fertility rate and to propose feasible policy measures against low fertility in Korea. The time range of the research is between 1970 and 2015, The space range of the research is Korea. We examine various factors pointed out as the factors of low fertility as policy factors and non-policy factors The data us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Policy factors analyzed the budget for childbirth-related appropriations for each year from 1970 to 2015. For non-policy factors, related statistics from 1970 to 2015 were collected and used.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Arima time series analysis by collecting the birth-related budget, which is used as a variable of policy factors, and the non-policy factor, birth-related statistics by year. As a result,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factors - the increase in the net population adjustment budget and the net birth incentive budget- and total fertility rate was zero. In other word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olicy factors - the increase in the net population adjustment budget, the net birth incentive budget and the total fertility rate This indicates that the government has invested a lot of money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but it can be seen that there has been little increase in the budget for the pure population and the budget for the promotion of net fertility, which are direct budgets that can increase the total fertility rate. Second, among the non-policy factors, the wife's first marriage age and youth unemployment rate were found to affect the total fertility rate. The higher the age of first marriage, the shorter the period of childbearing. Therefore, it affects the fertility rate. The youth unemployment rate also has an effect on the total fertility rate with a time lag of three years. Among the non-policy factors, the most prominent are the number of wedding figures, the ratio of education expenses,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umber of wedding figures, the ratio of education expenses,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did not affect the total fertility rate, but the relation of time after time was reversed, the total fertility rate affected the number of wedding figures, the ratio of education expenses,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wedding figures, a higher the ratio of education expenses, and a lower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due to the total fertility rat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use the budget for low birthrate measures in a concentrated area with more accurate objective. And it is the biggest significance of the study, which has found that various non-policy factors are not directly affecting the results of the low birthrate, but the possibility that other mediating factors could exist.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의 목적 1
  • 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1. 연구의 범위 5
  • 2. 연구의 방법 5
  • 제 2 장 이론적 논의 및 선행 연구 6
  • 제 1절 저출산의 원인에 대한 선행연구 6
  • 1. 국외 저출산 선행연구 6
  • 2. 국내 저출산 선행연구 16
  • 제 2절 저출산 해결 방안에 대한 해외 사례 27
  • 1. 프랑스의 저출산 대책 27
  • 2. 스웨덴의 저출산 정책 39
  • 3. 독일의 저출산 정책 43
  • 4. 해외사례의 시사점 45
  • 제 3절 연구 분석의 틀 48
  • 1. 연구 분석의 틀 48
  • 2. 분석 방법 49
  • 제 3 장 저출산현상의 현황 및 문제점 50
  • 제 1절 저출산현상 현황 50
  • 1. 현황 50
  • 제 2절 저출산현상의 문제점 54
  • 1. 생산가능 인구 감소 54
  • 2. 부양비 증가 56
  • 3. 학령인구 감소 및 군인 수 감소 58
  • 제 3절 저출산의 비정책적 요인 61
  • 1. 인구학적 요인 61
  • 2. 경제적 요인 68
  • 3. 사회문화학적 요인 76
  • 제 4절 저출산 대책의 정책적 요인 86
  • 1. 가족계획의 개념 86
  • 2. 가족계획의 필요성 87
  • 3. 정부 주도 가족계획사업 이전 시기 88
  • 4. 정부 주도 가족계획사업 시기 91
  • 5. 인구정책의 변환기(1996년~2003년) 99
  • 6. 정부의 출산 장려 정책시기(2004년~2020년) 101
  • 제 4 장 저출산 대책 효과분석 114
  • 제 1절 저출산과 관련된 정책적 요인 114
  • 1. 정책적 요인 114
  • 제 2절 저출산과 관련된 비정책적 요인 120
  • 1. 인구학적 요인 120
  • 2. 경제적 요인 121
  • 3. 사회문화적 요인 123
  • 제 3절 저출산 정책 예산분석 125
  • 1. 한 변수 모형짓기 125
  • 2. 여러 변수 모형짓기 129
  • 제 4절 저출산 비정책적 요인 분석 133
  • 1. 한 변수 모형짓기 133
  • 2. 여러 변수 모형짓기 143
  • 제 5 장 결론 161
  • 제 1절 요약 161
  • 1. 정책적 요인 한 변수 모형짓기 161
  • 2. 정책적 요인 여러 변수 모형짓기 162
  • 3. 비정책적 요인 한 변수 모형짓기 162
  • 4. 비정책적 요인 여러 변수 모형짓기 165
  • 제 2절 시사점 168
  • 1. 합계출산율과 인구 정책 예산 168
  • 2. 합계출산율과 비정책적 요인 169
  • 3. 정책제언 172
  • 참고문헌 176
  • <부록 1> 정책적 요인 사용변수 187
  • <부록 2> 비정책적 요인 사용변수 18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48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문미영 외 2018  74
547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 사전심사에서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연구자적 입장에서 고찰 / 고재환 2018  74
546 1 윤리학 논문 : 미국 로스쿨의 임상법학교육이론과 방법론 -우리나라 임상법학교육의 전망과 과제- / 전해정 2008  74
545 2 생명윤리 생명공학과 윤리 / 김명균 외 2017  74
544 14 재생산 기술 이완술이 시험관아기 시술을 받는 불임여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박점미 2000  74
543 20 죽음과 죽어감 취약한 집단에서 연명의료 / 박소연 2017  74
54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들의 호스피스 관리에 대한 임상적인 접근 1999  74
» 13 인구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정다운 2017  74
540 5 과학 기술 사회 손잡고 따라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기법 / 정유철, 한헌수 2009  74
539 18 인체실험 시험적 의료행위에 관한 형법적 연구 / 정재우 2004  74
538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자율성에 관한 논의/모효정 2014  73
537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 시행의 의의와 과제 / 이상일 2016  73
536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의 과학기술보안규정과 대한민국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보안제도 정책과의 비교 연구 / 강선준 외 2018  73
535 9 보건의료 암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이인정 2018  73
53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법안의 분석과 평가 : 입법학적 관점에서 / 홍완식 2009  73
533 12 낙태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 / 이광진 2017  73
532 2 생명윤리 바이오뱅크와 포괄적 동의 / 김문정 2012  73
531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애말기 암 관련 의료비 발생 현황 분석 / 김혜림 2017  73
530 9 보건의료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제네릭의약품 시판허가에 미치는 영향/ 박희영 2016  73
52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