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일]

청소년범죄-유전자 연구에 시민단체 "인권침해 우려"

청소년 범죄와 유전자·환경의 연관성을 규명하려는 조선대 교수의 연구 계획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이 인권 침해 우려를 제기하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음. 이들은 진정서에서 개인 유전자의 체계적인 수집·보관·이용 행위는 전 국민의 인권과 직결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해당 연구의 취지와 목적이 사회적 정당성을 가질 수 있는지, 인간 존엄성 훼손의 위험성을 내포하는지에 대한 엄격한 사회적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음

*원문보기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01/2017080102390.html

 

말기 암환자, 임상시험 신약 처방 사례 급증 고령화 사회 진입천만원 달하는 약값은 무료

말기 암() 등 생명이 위급하거나 다른 치료 방법이 없는 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임상시험 중인 신약을 처방받는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음. 우리나라가 빠르게 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암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데다 면역 항암제 등 새로운 치료제(신약) 개발 사례가 늘어나면서 환자들의 의료 수요를 충족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임.

*원문보기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01/2017080102476.html

 

약물 탐색부터 부작용 예측까지신약 개발도 ‘AI 시대

4차 산업혁명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세계적인 대형 제약사들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음. 국내에서도 최근 문재인 정부가 제약·바이오 산업을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형 신산업 중 하나로 선정한 데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인공지능 신약개발 지원센터설립을 추진하고 나서는 등 관련 산업 확대에 시동을 걸고 있음

*원문보기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802019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