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208882 

IoT기술 현황과 홈 IoT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홈 IoT서비스 모델 제시

= A study on IoT Technology and New Home IoT Service Models

                                           

  • 저자

    김선구                                       

  • 형태사항

    81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임영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전자컴퓨터공학 2016. 8

  • DDC

    621.3

  • 발행국

    광주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우리 사회는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로 진입하고 있다. 핸드폰은 물론이고, 집, 자동차, 시계, 카...
  • (국문초록) 우리 사회는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로 진입하고 있다. 핸드폰은 물론이고, 집, 자동차, 시계, 카메라 등 모든 사물에 통신기능을 추가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정보가전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IoT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기존의 단일 네트워크상에서 제한적으로 구현되던 홈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에 접근하고 제어 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홈 IoT 기술은 최근 주목 받고 있는 IoT 융합서비스 중에서 가장 으뜸인 분야이다. 기존의 홈네트워크 기술의 한계를 넘어서 IoT기능이 포함된 가전제품 및 가정설비가 스스로 정보를 생산해서 다른 사물 또는 사람과 연계되어 일정 수준의 자동화 결정을 하여 사용자의 주거 생활 서비스의 질을 높여주는 기술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IoT의 핵심기술, 동향과 전망 및 보안원칙, 서비스사례 및 나아가 홈 IoT의 기술동향과 시장동향을 살핀 후 홈 IoT 서비스를 제안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2 장 IoT의 정의 및 핵심기술 요소 3
  • 1. IoT 기술의 정의 3
  • 2. 글로벌 기업들이 생각하는 IoT 개념 4
  • 3. IoT 주요 기술 이슈 6
  • 4. IoT 핵심기술 요소 8
  • 가. 센싱 기술 8
  • 나.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10
  • 다. 플랫폼 기술 11
  • 라. 빅 데이터 처리 13
  • 제 3 장 보안원칙 및 기술 현황 15
  • 1. 보안원칙 15
  • 가. 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강화를 고려한 IoT 제품 16
  • 나. 안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 기술 적용 및 검증 17
  • 1) 시큐어 코딩 적용 17
  • 2) 소프트웨어 보안성 검증 19
  • 3) 시큐어 하드웨어 장치 활용 20
  • 4) 소프트웨어 보안 기술과 하드웨어 보안 기술 융합 20
  • 다. 안전한 초기 보안 설정 방안 제공 20
  • 라. 보안 프로토콜 준수 및 안전한 파라미터 설정 21
  • 마. IoT 제품·서비스의 취약점 보안패치 및 업데이트 지속 이행 22
  • 바. 안전한 운영·관리를 위한 정보 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체계 마련 23
  • 사. IoT 침해사고 대응체계 및 책임 추적성 확보 방안 마련 24
  • 2. IoT 기술 현황 24
  • 가. IoT 주요 연구 동향 25
  • 나. IoT 주요 키 플레이어 및 제품 동향 25
  • 제 4 장 IoT 서비스 사례 및 발전 방향 30
  • 1. IoT 서비스 사례 30
  • 가. 수면 케어 솔루션 30
  • 나. 바이 로봇 31
  • 다. 헬스케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 32
  • 라. 스마트 카 분야 33
  • 마. 스마트 홈 분야 33
  • 바. 유통 분야 34
  • 2. IoT 발전 방향 34
  • 제 5 장 홈 IoT의 기술 동향 및 시장 동향 37
  • 1. 홈 IoT 네트워크 기술 37
  • 2. 홈 정보가전 기술개요 40
  • 3. 연결성을 위한 홈 정보가전 IoT 구성 44
  • 4. 홈 IoT 시장 동향 45
  • 제 6 장 홈 IoT 서비스 및 서비스 모델 제시 53
  • 1. IoT 서비스 공급자 관점에서 바라본 IoT 시장 54
  • 2. IoT 진입장벽과 대응 전략 55
  • 3. IoT use cases 58
  • 4. IoT 협력과 eco-system 62
  • 5. 홈 IoT 서비스 모델 제시 64
  • 제 7 장 결 론 66
  • 참고문헌 6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88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4287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4286 2 생명윤리 임신한 여성의 결정과 자율성 : 생명윤리, 여성의 경험에 귀 기울이라 / 하정옥 2010  65
428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 ‘소피아’와 함께하는 시대 / 김도식 2018  65
428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기관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 도구개발 및 타당화 / 조경원 외 2018  65
428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출현으로 인한 법적 논란에 관한 영역별 쟁점의 고찰 / 김종호 2018  65
4282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윤영흠 2018  65
4281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5
4280 15 유전학 게놈 정보의 기능분석 동향 / 신희섭 1996  66
4279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에 대한 최근 논의 / 박대웅, 이주하 2016  66
4278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2009  66
427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의 동의의 법적 유효성과 설명의 내용 : 일본에서의 논의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송영민 2012  66
4276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의료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자동 정밀 진단 시스템의 현재와 미래 2017  66
4275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간대상연구 현황, 과제 관리 기준과 생명윤리에 관한 고찰 / 유은주 2017  66
4274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폰 환경에서 공인인증서 사용 시 소유 및 생체인증 연동 방법 / 김선종 2015  66
4273 18 인체실험 국내 비임상시험기관에 대한 외국 규제기관 수검 사례 / 정은주 2013  66
4272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2017  66
4271 14 재생산 기술 모자 건강보호를 위한 난임부부 지원사업 개선방안 2015  66
4270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의 통합적 사례 연구 / 신성호 2017  66
426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