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6669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 연구 = A Study on Health Care Smart System Based on IoT

                                           

  • 저자

    김준호                                       

  • 형태사항

    54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준우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 경영학 2016. 2

  • 발행국

    인천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5                                                                                                

  • 초록 (Abstract)
    • IT 분야의 리서치 및 자문회사인 가트너(Gartner)는 2012년부터 “가트너 선정 10대 IT 전략기술”에 사물인터넷을 꾸준히 선정했다. 매년 발표되는 가트너의 이러한 전략기술은 향후 3년간 기업...
  • IT 분야의 리서치 및 자문회사인 가트너(Gartner)는 2012년부터 “가트너 선정 10대 IT 전략기술”에 사물인터넷을 꾸준히 선정했다. 매년 발표되는 가트너의 이러한 전략기술은 향후 3년간 기업의 혁신, 투자, 위험요소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전략수립 시 필히 반영되어야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은 고령층 홈케어나 만성질환 치료 및 관리 등 의료서비스 부문에 접목되어 의료비 절감 및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를 배경으로 일반 소비자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기반 건강증진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 보급함으로써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시장과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하지만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수집하고 가공하여 정보화 시키는 과정에서 개인정보에 대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가 필요한 기술적 요소를 이해하고 국내 소비자들이 건강의 증대와 개인정보 취약성 부분에서 어느 부분을 선호하는지 설문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향후 개선점을 연구하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i
  • 목차 ii
  • 표목차 v
  • 그림목차 vi
  • 1. 서 론 1
  • 1.1. 연구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2
  • 2.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을 위한 배경 연구 3
  • 2.1. 헬스케어 시스템(Health care system)의 이해 3
  • 2.1.1.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요 3
  • 2.1.2. 헬스케어 시스템의 특징 3
  • 2.2. 인프라 측면에서의 필요 기술 4
  • 2.2.1.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이해 4
  • 2.2.2.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이해 8
  • 2.2.3. 빅 데이터(Big Data)의 이해 12
  • 2.3. 사물인터넷의 보안 쟁점 19
  • 2.3.1.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보안 취약성 19
  • 2.3.2. 사물인터넷 보안 이슈 현황 22
  • 2.3.3. 사물인터넷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28
  • 3. 헬스케어 산업의 사물인터넷 적용 분야 및 활용 사례 32
  • 3.1. 의료서비스 부문 32
  • 3.1.1.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32
  • 3.1.2. 고령층 홈케어 33
  • 3.2. 의료 관련 산업 부문 34
  • 3.2.1. 의료기관 업무흐름 혁신 34
  • 3.3. 개인 소비자 부문 35
  • 3.3.1. 일반 소비자 대상 건강증진 제품 및 융합 서비스 개발 35
  • 3.3.2. 기존 제품 스마트화 36
  • 4. 소비자 설문을 통한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현황 조사 38
  • 4.1. 소비자 설문 항목 및 기준 38
  • 4.2. 소비자 설문을 통한 결과 도출 39
  • 4.2.1.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의 필요 기술에 대한 사용자 인식 현황 조사 39
  • 4.2.2.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제품 사용에 대한 호감도 조사 40
  • 4.2.3.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제품 사용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민감도 조사 40
  • 4.2.4.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제품 사용에 대한 지속적 사용 여부 조사 41
  • 4.2.5.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제품 사용에 대한 조사 결과 41
  • 5. 결론 46
  • 5.1. 연구결과 및 요약 46
  • 5.2. 한계와 향후 과제 46
  • 참고문헌 48
  • ABSTRACT 5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64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37
466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466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56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35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41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794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70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500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68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53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2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21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90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9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912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55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18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