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31055 
건강관련정보(data concerning health)의 활용과 문제점
=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llection and use of data concerning health - Focusing on data concerning health generated on wearable device -

                        

  • 저자명

    최규진(Choi, Kyu-jin),김병수(Kim, Byoung-soo)                                             

  • 학술지명

    생명윤리                           

  • 권호사항

    Vol.18 No.1 [2017]                                                         

  • 발행처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3(1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정밀의료’와 같은 미래형 건강관리체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디지털화 된 건강관련정보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관...
  • ‘정밀의료’와 같은 미래형 건강관리체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디지털화 된 건강관련정보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관 외에서 생성되는 건강관련정보의 관리를 위한 사회적 논의는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의 경우 단순히 개인의 건강관련정보를 기록하는데 그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가 전송되고, 이에 대한 피드백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나아가 각종 건강관련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플랫폼까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건강관련정보는 의료적 효용성, 정확성, 보안 측면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과학기술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관리 체계도 마련하지 않은 채 정부와 민간에서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오히려 관련 산업의 성장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건강관련정보의 사회적 활용에 대한 윤리적 법적 검토를 위해서는 관련 기술에 대한 냉정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 초록 (Abstract)
    • The utilization value of big data is increasing, future-oriented health care system based on the personal data concerning health such as "Precision Medicine" is presented and the utilization of digitalized data concerning health generated by a wearabl...
  • The utilization value of big data is increasing, future-oriented health care system based on the personal data concerning health such as "Precision Medicine" is presented and the utilization of digitalized data concerning health generated by a wearable device is actively promoted. However, social discussions for the management of data concerning health generated outside the medical institutions are not supported at all. Under this circumstance, in the case of recent smartphones and wearable devices, they are being developed toward a direction that not only records personal data concerning health but transmit information via applications and provide feedback services. In addition, platforms that integrate and manage the applications that generate various data concerning health are appearing as well.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in terms of effectiveness, accuracy, and security for data concerning health generated from these wearable computers. Using this data from private insurance companies or governments without solving these problems and establishing the management system may not be appropriate and it can rather interfere with the growth of relevant industries. Particularly in Korea, because major private insurance companies are unique in that they are the subsidiaries of major corporations that govern not only major IT companies but major medical institutions, careful discussion of data concerning health generated outside of medical institutions is required.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건강관련정보에 대한 정의
  • 3.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건강관련정보의 수집·이용 현황
  • 4. 건강관련정보와 관련된 산업 동향
  • 5. 건강관련정보의 수집·이용의 문제점과 쟁점
  • 6. 나가며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7 의료사회학 전문직 윤리 교육의 이해 / 권복규

발행년 2016 

  • 조회 수 69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24 기타 생명정보 분야 웹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안부영 외

발행년 2009 

  • 조회 수 69

19 장기 조직 이식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 이자옥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 헬스케어 존을 활용한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재익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자기위태화 / 김혁돈

발행년 2013 

  • 조회 수 69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 한명석 외

발행년 2007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일차의료 코호트에서 가족기능이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 양인국

발행년 2017 

  • 조회 수 6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양심적 거부에 관한 고찰 :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수호하는 의료인의 양심 / 김대균

발행년 2017 

  • 조회 수 69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69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발행년 2011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감염질환 진료시 희귀의약품 사용의 현황과 개선할 점 / 김민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

7 의료사회학 의료인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와 규제완화 / 정도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69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효율적인 동결방법 연구 동향 / 윤보애, 설혜원, 최영민

발행년 2012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Equity and Population Health: Toward a Broader Bioethics Agenda

발행년 2006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의료관련감염에서 감시 개선을 위한 평가 / 박창은

발행년 2019 

  • 조회 수 68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 정책환경의 국제 동향과 의료기술평가에 대한 시사점 / 최솔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8

9 보건의료 의료 빅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프레임워크 설계 / 신봉희, 전혜경

발행년 2019 

  • 조회 수 68

12 낙태 여성을 힘들게 하는 건 낙태가 아니라, ‘낙태죄’다 / 윤정원, 홍정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