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5129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
= Ethical Issues and Moral Educational Meaning of Human Enhancement

                                    

  • 저자명

    김동창 ( Kim Dong-chang )                                                

  • 학술지명

    윤리교육연구                           

  • 권호사항

    Vol.44 No.- [2017]                                                            

  • 발행처

    한국윤리교육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5-58(3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인간유전체연구를 통해 유전자의 비밀이 밝혀지면서 21세기 생명공학기술은 인간 유전자의 결함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태아의 유전자 검사는 물론 착상전 배아의 ...
  • 인간유전체연구를 통해 유전자의 비밀이 밝혀지면서 21세기 생명공학기술은 인간 유전자의 결함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태아의 유전자 검사는 물론 착상전 배아의 유전자 이상 유무를 진단하여 유전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전자와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 간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유전자 수준의 인위적인 개입을 통한 인간 향상은 20세기 후반 생명윤리의 쟁점이 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의 여러 국가들은 예상되는 유전병으로부터 건강을 지키는 치료 차원의 유전적 개입만을 허용하는 수준에서 잠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신경과학의 발달은 신경계 수준의 개입을 통한 향상의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다시 인간 향상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리탈린, 프로작, 모다피닐과 같은 신경약물이 정상인의 인지, 정서 기능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신경 약물을 통한 인간 향상의 문제가 새로운 윤리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생명공학, 신경과학의 방법을 통한 인간의 향상의 의미와 윤리적 쟁점을 규명하고, 도덕교육의 차원에서 이러한 인간 향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다룰 것인지에 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 초록 (Abstract)
    • As the genetic secrets have been revealed through studies on human genome, bio-technology of the 21st century has reached a level to be able to diagnose and treat defects of human genes. It can in advance check genetic diseases by diagnosing fetal gen...
  • As the genetic secrets have been revealed through studies on human genome, bio-technology of the 21st century has reached a level to be able to diagnose and treat defects of human genes. It can in advance check genetic diseases by diagnosing fetal gene abnormality before implantation as well as its genetic testing. Furthermore, human enhancement through artificial intervention of the gene level also became an issue of bioethics in the late 21st century as studies on correlations between genes an huma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have continued to be accumulated. Severa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well as Korea have agreed on just allowing genetic intervention of the treatment level that keeping people`s health from expected genetic diseases. However,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has again caused issues of human enhancement as it has recently showed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through intervention of the nervous system level. A matter of human enhancement through neurological treatment drugs such as Ritalin, Prozac, Modafinil has emerged as a new ethical issue as they turned out to make a contribution to improvement of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of normal persons. Especially, the results of the recent studies on moral neuroscience have determined that human moral judgement relates with nervous systems related to emotion. And these have developed into the argument that neurological treatment drugs can improve morality. The meaning of human enhancement and their ethical issues through bio-technology and neuroscience methods needs to be investigated and revealed and discussions on understanding and treating human enhancement at the moral education level are need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74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과 관련하여 / 손수지 2012  256
274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5
2746 1 윤리학 과학기술에 관한 윤리적 규범 모색을 위한 철학적 사회학적 신학적 관점에서의 융합적 연구 / 이창호 2018  255
2745 15 유전학 사람과 동물의 키메라에 대한 윤리적 및 과학적 고찰 / 박재학 2013  255
2744 2 생명윤리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특성에 따른 심의 / 김시형 2016  255
274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장기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김주영 2003  254
2742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2741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평가모형 개발 및 중요도 분석 / 주병철, 김대성, 주민석 2013  254
274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2011  254
2739 1 윤리학 과 비판적 사고 / 김세화 2005  254
2738 9 보건의료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 / 이고은 외 2018  253
2737 9 보건의료 군 보건의료의 문제점과 법률적 개선방안 / 우정민 2018  253
2736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2017  253
273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선종수 2017  253
» 1 윤리학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 / 김동창 2017  253
2733 9 보건의료 암 환자의 재활치료 활성화를 위한 수가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김준성 2017  253
273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3
2731 18 인체실험 충북대학교의 IRB 운영체제와 연구자 이용실태 및 제언 / 박상희 2016  253
2730 12 낙태 여성주의 안에 나타나는 딜레마에 대한 이해 시도 / 최형미 2014  253
2729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