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홍익법학(The Law Reasearch institutute of Hongik Univ.)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63534 
자율주행자동차와 로봇윤리: 그 법적 시사점
= The Robot Ethics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its Legal Implications

                                  

  • 저자명

    이중기 ( Choong Kee Lee ), 오병두 ( Byung Doo Oh )                                            

  • 학술지명

    홍익법학(The Law Reasearch institutute of Hongik Univ.)                           

  • 권호사항

    Vol.17 No.2 [2016]                                                         

  • 발행처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The Law Research Institute)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5(2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이 글은 자율주행자동차에 적합한 로봇윤리를 검토하고 그 법적 시사점을 모색한 것이다. 우선, 자율주행자동차의 로봇윤리로는 자율주행자동차에 맞추어 수정된 아시모프의 3원칙과해악 ...
  • 이 글은 자율주행자동차에 적합한 로봇윤리를 검토하고 그 법적 시사점을 모색한 것이다. 우선, 자율주행자동차의 로봇윤리로는 자율주행자동차에 맞추어 수정된 아시모프의 3원칙과해악 최소화 알고리듬을 결합하는 하향식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여 그 부족한 점을 기계학습과 같은 상향식 접근법으로 보완하는 혼합형 접근법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자율주행자동차의 로봇윤리의 한계 및 법적 규율과의 관계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법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율주행자동차의 의사결정 프로그램은 헌법적적합성을 개발단계에서부터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수의 주체가 관여하는 도로교통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통법규가 반영된 로봇윤리를 구성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관련 법령의 구조화와 위계화가 필요하다. 셋째, 로봇윤리에 따른 자율주행자동차의 선호의 체계가 공익을 저해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기술발달과 병행하는규제적 법제의 정비를 위해서는 원리 위주의 규제입법이 필요하다.

  • 초록 (Abstract)
    • This paper deals with the legal implications of the robot ethics of the autonomous vehicles. It is proposed that in developing robot ethics for the autonomous vehicle an incremental, hybrid approach should be adopted, because driving cars is related t...
  • This paper deals with the legal implications of the robot ethics of the autonomous vehicles. It is proposed that in developing robot ethics for the autonomous vehicle an incremental, hybrid approach should be adopted, because driving cars is related to the safety of road traffic and the interests of other people. At first, it should be formed through top-down approach by combining of the two ethical theories: modified Asimov`s Three Laws of Robotics and harm-minimizing algorithm. The former, modified from the Asimov`s Three Laws of Robotics and adjusted to the autonomous vehicle, is partly suitable for the self-driving program due to its straightforwardness, hierarchical structure and emphasis on the rights of humans. And the latter, a program based on the utilitarianism, is also partly acceptable, because it makes the program in self-driving cars possible the calculation of the harms in case of the imminent accident. And then, upon this top-down approach, the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of roads, driving culture and other technological considerations should be supplemented by bottom-up approach, such as machine learning. In conclusion,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as the legal implications of the robot ethics of the autonomous vehicles: Firstly, the harm-minimizing algorithm should be scrutinized beforehand that it could be approved by the constitutional values, because in some cases it may be construed as the targeting and discriminating choices among human victims. Secondly, the laws, especially traffic laws should make up for the lacunas, that inevitably exist in robot ethics of the autonomous vehicles. Thirdly, the potential social preferences that may be caused through the priorities shown by the self-driving program should be controlled in view of the public interests. Finally, the principle-based regulations would be better than the specific and individual regulations as the laws that govern the autonomous vehicles, in order that they may always keep pa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0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차별 / 고학수, 정해빈, 박도현 2019  216
2407 9 보건의료 초 연결시대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용한 헬스케어 기술 구현 연구 / 정성훈 2016  216
2406 15 유전학 유전자 도핑(Gene Doping)의 윤리적 쟁점과 대응방안 / 김지호 2015  216
240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관한 검토/원혜욱,백경희 2017  216
2404 9 보건의료 의료법 제56조 의료광고금지 조항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최현숙 2015  216
2403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김장한 2006  216
2402 8 환자 의사 관계 성년후견제도와 정신보건법상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문상혁 2015  216
2401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6
2400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239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의 창작물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호방안 / 김승래 외 2018  215
2398 10 성/젠더 불임의 시대, 생명상실에 대한 징후의 서사 / 송은정 2018  214
239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 윤상오 2018  214
2396 20 죽음과 죽어감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상징적 자살의 윤리학 / 조소명 2018  214
239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도의 관계 /장보정 외 2018  214
2394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의료 플랫폼 활성화 관점에서 본 개인건강기록(PHR) 관련 최신 연구동향 / 김동현 외 2018  214
2393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2392 12 낙태 서유럽 국가들에서의 낙태법 리뷰 / 박건 2018  214
2391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요양병원 환자의 감염 실태와 임상적 결과 / 김경완 2017  214
2390 9 보건의료 국내 의약품 유통 규제 및 주요 법적 문제 / 임혜연 2016  214
2389 18 인체실험 유도만능 줄기세포 제작 기술의 발전 및 응용 / 조승우 외 2014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