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로봇의 권리 / 이창민

5 과학 기술 사회 조회 수 1086 추천 수 0 2017.07.21 10:45:17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Law & technolog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396425 
로봇의 권리

                     

  • 저자명

    이창민                                               

  • 학술지명

    Law & technology                           

  • 권호사항

    Vol.12 No.3 [2016]                                                        

  • 발행처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1-54(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로봇은 법적으로 무생물인 물건으로 취급되지 만, 마치 반려동물처럼 인간과 친밀하게 교류한 다. 이러한 측면에서, 로봇은 동물과 닮아 있다. 동물의 지위와 권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 ...
  • 로봇은 법적으로 무생물인 물건으로 취급되지 만, 마치 반려동물처럼 인간과 친밀하게 교류한 다. 이러한 측면에서, 로봇은 동물과 닮아 있다. 동물의 지위와 권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 라, 쾌고감수 능력을 가지는 동물에게 도덕적 주 체로서의 지위가 인정되고, 많은 나라들은 동물복 지를 위한 법제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아직 동물 의 권리를 인정하고 있지는 아니하다. 로봇은 위임된 자율성 내에서 행동할 수 있다 는 측면에서, 도덕적 주체로서의 지위가 인정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동물보다 능력이 뛰어나고 인간과 효율적으로 교류할 수 있다. 로봇에게 위 임된 자율성이 커지면서, 로봇은 자기만의 의사와 이익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미래에 로봇 의 권리를 인정하는데까지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로봇을 법인과 같은 기구로 보아, 독자적으로 거래하고 자기 재산을 가지고 책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써, 로봇 설계자들은 로봇의 책임부터 절연되고 로봇으로부터 배당만 얻는, 회사의 주주처럼 행동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로봇을 법 인처럼 보아 로봇의 권리능력을 인정하는 방안은 매우 쉽고 유용하다. 한편, 로봇과 로봇 주인간의 관계에서, 로봇 주 인인 인간은 인간의 도덕심, 인간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로봇을 보호할 의무를 부담하고 로봇은 그 에 대응하여 권리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로봇의 권리의 목록은 인간이 마련하여야 한 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 국내의 로봇 윤리헌장, EPSRC의 원칙 등 로봇과 인간의 관계, 로봇 설계에 대한 지침들이 있는데, 이러한 지침 은 인간 존중, 책임성, 명확성, 인간성의 보존을 위한 로봇 존중을 바탕으로 하여야 한다.

  • 초록 (Abstract)
    • Robots are considered a non-living object legally and can interact with humans more intimately as pets. In this aspect, Robots is like Animals. As the understanding of animal status and right was changed, the animals with sentience are recognized bein...
  • Robots are considered a non-living object legally and can interact with humans more intimately as pets. In this aspect, Robots is like Animals. As the understanding of animal status and right was changed, the animals with sentience are recognized being at the status as a moral subject, and many countries have organized the legislation for animal welfare. But, Animal rights were not accepted yet till now. Robots can act within the range of entrusted autonomy, so be recognized as being at the status as a moral subject. And, robots are superior to animals in many abilities and interact with humans efficiently. As the range of entrusted autonomy in robots become broader, robots will have its/his/her own will and interest. As a result, in the future, robots will be recognized having its/his/her own right. We can see robots as the vehicle, alike Juridical Person, so allow robot to transact in its/his/her own name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result of robot’s transaction with its/his/her own property. And then, robot designers will be isolated from the responsibility of robot’s transaction and acquire dividend from robots, as if they are a shareholder to company. Accepting the robot’s the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in the way that consider robot as juridical person, is very easy and useful. In the relation of robot and robot’s owner, in the future, robot’s owner will take the duty to protect his robot to preserve Humanities and a sense of morality, corelatively robot will take the right. Human must draw up the list of robot’s rights. There are many guideline on the relation of human and robot, robot design, for example, Isaac Asimov’s three laws of robotics, charter on robot ethics in South Korea, EPSRC principles on robotics. the guideline have to stand on the foundations like this; human respect, responsibility, clarity, robot respect for preservation of Humaniti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 윤리학 베이비박스의 실태와 대안 / 김형모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39

15 유전학 형사법상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김낙현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37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발행년 2014 

  • 조회 수 1135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 박영희, 이용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33

24 기타 나고야 의정서 발효와 산업계 영향/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발행년 2015 

  • 조회 수 1130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2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111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18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18

1 윤리학 프랑스의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전학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13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발행년 2004 

  • 조회 수 1109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07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발행년 2006 

  • 조회 수 1101

18 인체실험 IRB 심사 통과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계획서 작성법 / 홍정화

발행년 2012 

  • 조회 수 1097

18 인체실험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정규원, 김수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1097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95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95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의 권리 / 이창민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8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78

14 재생산 기술 CRISPR 유전자 가위를 통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손정우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