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598080 
윤리적 인공지능은 가능한가? - 인공지능의 도덕적, 법적 책임 문제 -
= Is it possible to be a moral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problem of moral and legal responsibility in A. I. -

                     

  • 저자명

    이상형 ( Sang-hyung Lee )                                              

  • 학술지명

    법과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16 No.4 [2016]                                                          

  • 발행처

    한국법정책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83-303(2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의 목적은 인공지능이 윤리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가능한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윤리적 대상뿐만 아니라 윤리적 주체의 범위가 인공지능에까지 확대될 때 우리...
  • 이 논문의 목적은 인공지능이 윤리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가능한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윤리적 대상뿐만 아니라 윤리적 주체의 범위가 인공지능에까지 확대될 때 우리는 필연적으로 도덕적 인공행위자를 상정하게 된다. 그의 자발적 행위가 인간뿐만 아니라 세계에 영향을 미칠 때 우리는 인공행위자가 도덕적으로 행위하길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덕적 인공행위자가 가능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의 행동에 얼마만큼의 책임을 부여 해야 할까? 이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도덕적 추론에 대한 반성을 이끌게 된다. 인간의 도덕적 추론이 감정에 원천을 갖는다면 도덕적 인공행위자에게 감정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도덕적 인공행위자가 성공한다 할지라도 그에게 곧바로 도덕적, 법적 책임과 권리를 부여할 수 있을까? 우리가 책임져야 할 도덕적 행동이란 감성과 이성의 조화를 통한 자신의 행동을 이해하고, 자신의 행위를 최종적으로 합리적인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 두 가지 전제조건이 만족 되어야 한다. 책임은 사회적 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책임개념은 사회적 인정에 의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도덕적 인공행위자가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가지기 위해서는 인정투쟁이 필요하다. 책임의 귀속여부는 결국 이런 인정투쟁을 통해 형성된 사회적 산물이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88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25
187 1 윤리학 마이클 샌델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안민영 2016  1327
18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매매의 정당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정화성 2009  1329
18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18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의 영향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숙희 2015  1335
1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 과 대면진료의무를 위반한 의사의 형사책임 2014  1338
182 2 생명윤리 한국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한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오희순 2016  1346
181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보험료부과체계에 관한 법적 고찰 -지역가입자 생활수준 및 경제활동 참가율 부과기준 중 성과 연령을 중심으로 -/송기민, 정정일 2014  1349
18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 / 김경숙 2016  1360
17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기본 원칙: 로봇 존재론으로부터 / 고인석 2014  1361
178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5
17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후 경과기간별 환자의 자가간호이행 / 배수정 2015  1368
176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2002  1375
17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법적 규율방안 / 임경숙 2019  1378
174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387
173 1 윤리학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 한종규 2016  1388
172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이론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교육철학적 의의와 현대적 적용 / 윤대홍 2018  1400
171 1 윤리학 한국과 일본 의료법 체계에 관한 연구 / 김계현 2002  1404
170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 / 도봉희 2008  1438
169 14 재생산 기술 동성결혼과 입양, 대리모 허용에 관한 헌법적 연구 / 박해영 2015  1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