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임상약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56813 
상급종합병원과 희귀난치성질환 전문병원의 희귀의약품 사용현황

                     

  • 저자명

    최경숙, 정영미, 김유정, 김윤희, 구현민, 이병구, 이은숙, 이정연                        

  • 학술지명

    한국임상약학회지                           

  • 권호사항

    Vol.26 No.2 [2016]                                                          

  • 발행처

    한국임상약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1-127(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Objective: Until now, there is minimal number of research for overall domestic status of orphan drug us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st of orphan drugs available in Korea an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orphan drug usage...
  • Objective: Until now, there is minimal number of research for overall domestic status of orphan drug us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st of orphan drugs available in Korea an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orphan drug usage in tertiary Hospitals and rare incurable disease Hospital. Methods: We made domestic orphan drug lists based on available orphan drugs in Korea. Based on this lists, we conducted e-mail survey from August, 2014 to September, 2014 to identify domestic status of orphan drug usage including the availability and management of orphan drugs. Results: There are three hundred and eighteen orphan drugs (184 ingredients) registered i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mong the three hundred and eighteen orphan drugs, Two hundred and twenty-eight drugs (102 ingredients) were selected. Information on each item was collected and documented with generic and brand names, manufacturers, wholesalers, indications, FDA approval status and insurance coverage. Forty-three tertiary hospitals and thirty-two rare incurable hospitals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57.3%).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the antineoplastics and immunomodulating agents group has the highest percentage (40%) usage in the hospital. Of fortythree tertiary hospitals, thirteen hospitals manage orphan drugs separately (30.2%). Based on the reply, most of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commented the drug information related to efficacy and safety including medication counseling of orphan drugs is insufficient.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anticipate providing an understanding of orphan drug usage status in Korea. We found the limited resources to the information on orphan drugs and this information requires updating on a regular basis. This can be the basis for further studies about preparing drug information, educational resources for rare disease patients.
  •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연구방법
  • 국내 희귀의약품 등록 현황
  • 국내 희귀의약품 사용실태 및 교육현황 설문조사
  • 연구결과
  • 국내 희귀의약품 등록 현황
  • 국내 희귀의약품 사용현황 관련 설문조사
  • 희귀의약품에 대한 인지도
  • 희귀의약품 사용 및 관리현황
  • 희귀의약품관련 정보의 필요성
  • 희귀의약품 관련 의료진 및 환자교육현황
  • 고찰
  • 결론
  • 감사의 말씀
  • 참고문헌
  • 별첨 1. 국내 희귀의약품 사용실태 및 교육현황 설문문항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88 1 윤리학 환자에 대한 임의비급여 진료비용 청구의 예외적 허용 / 박현민 2016  99
    887 12 낙태 낙태의 이슬람적 시각에 대한 소고 / 김효정 2013  99
    886 5 과학 기술 사회 세계 빅데이터 연구의 의미연결망분석 기반 IT정책 연구 / 권신혁 2016  99
    885 9 보건의료 건강보험 수가결정 과정에서의 거버넌스 변화 연구 / 金洙興 2015  99
    884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이을상 2013  99
    883 9 보건의료 제약회사 건강캠페인 규제의 타당성 검토 / 강한철 2013  99
    882 15 유전학 유전체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기술 / 우영춘 외 2016  99
    881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를 여는 과학문화와 과학교육/김승환 2016  99
    880 2 생명윤리 윤리심포지엄 : 전공의 윤리교육의 피드백과 평가 / 권복규 2015  99
    879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이용에 따른 의료이용과 의료비 / 신정원 2019  98
    878 9 보건의료 북한의 의사양성제도와 통일시대 의료인력 개발의 원칙 / 김신곤 2019  98
    877 9 보건의료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감과 대처방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허수빈 2019  98
    876 2 생명윤리 중국 인공 지능 기술의 인권 윤리 연구 / SONG YANYU 2019  98
    875 15 유전학 바이오경제 시대에 대응한 생명공학 육성 법제 정비방안 / 윤종민 2018  98
    874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지원을 위한 법적 과제 / 김민우 2018  98
    873 15 유전학 독일 유전자검사법의 규율 구조 이해 - 의료 목적 유전자검사의 문제를 중심으로 - / 김나경 2016  98
    872 20 죽음과 죽어감 세계 주요 국가의 연구윤리 관련 법제도 비교 / 아태연구 2013  98
    871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개인정보 이용으로 인한 법익침해의 私法적 해석 / 고수윤 2017  98
    87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대한 태도 / 김미혜 외 2010  98
    869 5 과학 기술 사회 재난상황 초기 대응실패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비난회피 행태 분석: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박치성 2017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