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보장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38993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A Study of Medical Benefits Programs under the Rare Diseases Act

                                   

  • 저자명

    최호영(崔浩永)                                             

  • 학술지명

    사회보장법연구                           

  • 권호사항

    Vol.5 No.2 [2016]                                                           

  • 발행처               

    서울대학교 사회보장법연구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09-145(3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희귀질환은 조기진단이 어렵고 적절한 치료방법과 치료의약품이 개발되지 아니한 질환이다. 희귀질환은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경제적·정신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한편으로 희귀질환의 경�...
  • 희귀질환은 조기진단이 어렵고 적절한 치료방법과 치료의약품이 개발되지 아니한 질환이다. 희귀질환은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경제적·정신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한편으로 희귀질환의 경우 낮은 수익성으로 인해 이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다른 질환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희귀질환에 관한 의료비 지원 사업이 보건복지부의 지침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지원대상자의 선정기준이 지속적·안정적이지 못하다. 또한, 희귀질환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의료진과 의료기관이 부족하여 희귀난치성질환의 예방·치료 및 관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희귀질환은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영역일 수밖에 없다.
    「희귀질환관리법」이 지난 해 12.29. 법률 제13667호로 제정·공포되어 올해 12.30. 시행된다. 동법은 의료비 지원의 대상·기준 및 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위임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부조의 법률적합성의 원리를 통한 사회적 기본권 신장의 측면에서 급부행정이라 하더라도 법률에서 위임의 조건인 위임의 목적, 내용, 범위를 규정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한편으로, 희귀질환을 비롯하여 암, 치매 등 다른 질환의 검사, 치료, 재활 등에 있어서의 확대된 공공부조의 내용과 범위 등이 우리나라 의료보장의 근간인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안으로 포섭이 되어야 한다. 의료비 지원 등 사회보장과 관련한 정책조정이 다양한 방식의 것이 될 수 있으나, 최종적으로 대상자와 운영자 모두에게 편리한 방향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건강보험과 의료급여의 보장성을 강화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다. 더 나아가서는 ‘의료급여’로 통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건강보장의 대상, 보장의 내용, 비용의 분담 측면에서의 건강에서 접근성을 보장함으로써 보편적 의료보장을 달성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희귀질환 현황
  • Ⅲ.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의 사회보장 법적 의의
  • Ⅳ.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28 15 유전학 유전병과 기형아 및 유전상담 / 김정휘 1996  573
62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손보미 2014  574
62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완화적 진정제 투여에 대한 가족의 태도 : 투여 전과 투여 후 비교를 중심으로 /조문애, 김달숙 2012  574
625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2016  574
62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575
623 1 윤리학 동아시아의 사형제도 현실과 미래 / 허일태 2017  575
62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6
62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 보호와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김종일 2010  577
620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 홍선우, 김신미 2013  578
619 9 보건의료 국제비교를 통한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의 수가체계 차등화에 대한 연구/김진수 외 2014  578
618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상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그리고 비식별화 :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4호의 평가 및 입법론적 논의 / 김후신 2015  578
617 18 인체실험 임상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윤리의 실제/임명호 2015  579
616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책임윤리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 김상철 2003  579
615 22 동물복지 실험동물의 사용과 사육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우상훈 2011  579
61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선영, 허성순, 김분한 2014  580
613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61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모를 권리와 의사의 배려의무 / 석희태 2016  582
61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610 15 유전학 희귀 미토콘드리아성 유전병에 대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로부터의 원인 돌연변이 규명 / 박지훈 2014  582
609 16 환경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임도한 2018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