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82651 
연구논문 : 바이오,제약 특허의 발전과 Patent Troll (특허괴물)에 대한 대응방안
= A Study on the Legal issue of Bio,Pharmaceutical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Bioㆍpharmaceutical patent in preparation for Patent Troll1)

                                     

  • 저자명

    김태희 ( Tai Hee Kim )                                                      

  • 학술지명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 권호사항

    Vol.7 No.1 [2014]                                                            

  • 발행처

    경희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7-128(3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초록 (Abstract)
    • 美Pro-patent 정책의 영향과 지식으로서의 기술 및 권리로서의 기술이 분리되면서, 특허분야 내 Trolling을 하는 특허괴물의 존재는 특허권 강화에 따른 잠수함 특허 등과 함께 하나의 현상으로 ...
  • 美Pro-patent 정책의 영향과 지식으로서의 기술 및 권리로서의 기술이 분리되면서, 특허분야 내 Trolling을 하는 특허괴물의 존재는 특허권 강화에 따른 잠수함 특허 등과 함께 하나의 현상으로 대표되어 왔다. 더하여, 최근 미국에서는 NPE의 활동 무대가 기존의 IT분야에 국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 동안 바이오 및 제약 분야는 Patent trolling으로부터 안전하다고 여겨져 왔으나, NPE 기업이 바이오 제약 특허를 매입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실질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고에서 살피고자 하는 BioㆍPharmaceutical 산업은 대규모 자본과 급격한 발전 속도를 보이고 있는 IT 분야에 비해 존재감이 낮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의약품의 중요성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잠재성은 자명하다. 미국 發NPE의 활동에 무방비 상태인 현재, 일련의 변화들과 함께 진화하는 Patent Trolling을 방어하는 법적 시나리오와 연관 문제들을 검토해 봄은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특허만료 시점과 맞물려, 복제의약품 중 Biosimilar 시장은 우리나라 제약회사들이 재도약 할 수 있는 발판의 기회가 될 가능성이 될 것이다. 이는 NPE의 공격에 대비가 선행되어야 함이 분명하고, 다행히 바이오 및 제약 분야에서의 NPE의 활동은 예측가능하며 미국에서도 아직 활동 초기 단계이므로,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동 문제가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기 전에 관련 입법적 조치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현재 우리나라 바이오 및 제약 분야에서의 Patent trolling 현상에 따른 문제점을 예측하고 의약품 특허의 발전방향을 중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초록 (Abstract)
    • Patent trolls also known variously as non-practicing entities, patent assertion entities, and patent monetizers, especially in IT. In the recent reviews, however, bioㆍ pharmaceuticals are paradigmatically centered on patents. Therefore, the Bioㆍ p...
  • Patent trolls also known variously as non-practicing entities, patent assertion entities, and patent monetizers, especially in IT. In the recent reviews, however, bioㆍ pharmaceuticals are paradigmatically centered on patents. Therefore, the Bioㆍ pharmaceutical patent issues are on the rise with patent trolling. Biosimilar refers to a generic drugs of biomedicine, there are some risk for biosimilar development. but the generic drugs have many benefits and it is worth to develop. So, at the national level, the government must protect the national biosimilar industry and establish and push forward policies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Because, internationally terminations of blockbuster biomedicine patents arrives before and after 2013, a new market of biosimilar will be formed and all countries of the world are actively responding to a development of biosimilar by preparing biosimilar approval regulations and related legisl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definition of bioㆍpharmaceuticals and the current research and Korea-US FTA, examin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bioㆍpharmaceuticals related regulations, observed areas which may be issued by patent dispute and strategy which are helpful in patent trolling of NPEs. the study focused on system to compare with the US standards, in addition, in regards to the ways of possible legal protection of bioㆍpharmaceutical patents and the study attempted to seek for legal and institutional protection ways for a successful access to international markets by national bioㆍ pharmaceutical industri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408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 김주혁 2005  217
2407 14 재생산 기술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의 시행과 평가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216
240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차별 / 고학수, 정해빈, 박도현 2019  216
2405 9 보건의료 초 연결시대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용한 헬스케어 기술 구현 연구 / 정성훈 2016  216
240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관한 검토/원혜욱,백경희 2017  216
2403 9 보건의료 의료법 제56조 의료광고금지 조항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최현숙 2015  216
2402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김장한 2006  216
2401 8 환자 의사 관계 성년후견제도와 정신보건법상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문상혁 2015  216
2400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6
2399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239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의 창작물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호방안 / 김승래 외 2018  215
239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 윤상오 2018  215
2396 18 인체실험 유도만능 줄기세포 제작 기술의 발전 및 응용 / 조승우 외 2014  215
239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2002  215
2394 10 성/젠더 불임의 시대, 생명상실에 대한 징후의 서사 / 송은정 2018  214
2393 20 죽음과 죽어감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상징적 자살의 윤리학 / 조소명 2018  214
239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도의 관계 /장보정 외 2018  214
2391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의료 플랫폼 활성화 관점에서 본 개인건강기록(PHR) 관련 최신 연구동향 / 김동현 외 2018  214
2390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2389 12 낙태 서유럽 국가들에서의 낙태법 리뷰 / 박건 2018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