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經營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856773 
바이오테크 기업의 기술영역 변화와 제약회사와의 전략적 제휴
= Technology Scope Changes and Repeated Partnerships in U.S Biotechnology Firms: The Impact of Peripheral Changes and Core Changes

                                   

  • 저자명

    윤우진(Woo Jin Yoon),송재용(Jae Yong Song)                                               

  • 학술지명

    經營學硏究             

  • 권호사항

    Vol.39 No.1 [2010]                                                          

  • 발행처

    한국경영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asb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07-127(2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3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소규모 바이오테크 기업과 대규모 제약회사 간에 발생하는 반복 제휴형성(repeated partnership)을 바이오테크 기업의 초기 제휴시점을 기준으로 한 기술영역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관...
  • 본 연구는 소규모 바이오테크 기업과 대규모 제약회사 간에 발생하는 반복 제휴형성(repeated partnership)을 바이오테크 기업의 초기 제휴시점을 기준으로 한 기술영역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관찰해 보았다. 조직의 정체성(organizational identity)과 이러한 정체성 변화에 따른 오디언스(audience)의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최근의 이론적, 경험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미국의 소규모 바이오테크 기업과 대규모 제약회사 간에 발생한 제휴관계의 쌍(pair)을 분석단위로 하여 사건사 분석(event history analysis)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바이오테크 기업의 주변 영역의 기술적 변화(peripheral change)는 반복 제휴관계의 가능성(likelihood)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관찰할 수 없었지만, 핵심영역의 기술적 변화(core change)의 경우 반복 제휴관계가 발생할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바이오테크 기업의 기술적 지위가 높은 경우 핵심영역의 기술적 변화가 반복 제휴관계 형성의 가능성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록 (Abstract)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change in technology scope affects the likelihood to establish repeated alliance formation between small and medium sized biotechnology firms and large, established pharmaceutical companies in the U.S. biotechnology s...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change in technology scope affects the likelihood to establish repeated alliance formation between small and medium sized biotechnology firms and large, established pharmaceutical companies in the U.S. biotechnology sector. To address this question, we employ "the organizational identity" literature, which has recently drawn attention in organizational sociology and economic sociology. We conceptualize the repeated tie formation between a pair of organizations with an existing tie as an event when an audience organization-an established pharmaceutical company in our study-decides to re-partner with the candidate organization-a biotech venture in our study-based on the signal that the audience organization receives from its existing partner. In this study, we consider technological identity (i.e. technology scope) as an important evaluative dimension. We suggest that the audience organization is likely to penalize the candidate organization with an incoherent technological identity by deciding not to establish a repeated relationship.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o what extent a change in technology scope of a biotechnology firm influences the likelihood of the repeated alliance formation with an established pharmaceutical firm? We als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status on the main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ange in technology scope and the repeated alliance formation with an existing partner). Specifically, we pro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H 1: Peripheral changes in the technology scope of a biotechnology firm have no significant impact upon the likelihood of repeated ties between the biotechnology firm and an incumbent pharmaceutical firm. H 2: The likelihood of repeated ties between a biotechnology firm and an incumbent pharmaceutical firm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core changes in the technology scope of the biotechnology firm. H 3a: The negative effect of the core changes in the technology scope of a biotechnology firm on the likelihood of repeated ties with an incumbent pharmaceutical firm is weaker for the biotechnology firm with higher technological status (the greater the status of the technology that the biotechnology firm has). H 3b: The negative effect of the core changes in the technology scope of a biotechnology on the likelihood of repeated ties with an incumbent pharmaceutical firm is stronger for the biotechnology firm with higher technological status (the greater the status of the technology that the biotechnology firm has). To examine the above hypotheses, we use data of alliance relationships between large, established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biotechnology firms over a five-year period. Focusing on the partnership formed between biotechnology firms and established pharmaceutical firms as the unit of analysis, we examine whether a change in the coherent technological identity of a candidate biotechnology company influences the probability of repeated alliance formation. Using event history analysis, we find support for the negative effect of technology scope change of a biotechnology firm on the likelihood of the repeated partnership. We also fin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major technology scope change of a biotechnology firm on the likelihood of repeated ties is stronger if the biotechnology firm has higher technological statu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68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2002  513
767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4
76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4
765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76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 서은주 외 2016  514
763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762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2010  515
76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760 8 환자 의사 관계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요인 / 문명자, 이선혜 2019  515
75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2013  516
75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6
757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 / 한진아 2007  516
756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
755 9 보건의료 원격의료제도 현실화 문제와 개선방안 / 이한주 2018  516
754 18 인체실험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 배그린, 강민아 2013  517
75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752 14 재생산 기술 인간 사배수체 핵 이식 배아 줄기세포의 특성 규명 / 신동혁 2018  517
751 14 재생산 기술 출산의 의료화와 여성의 재생산권 / 조영미 2004  518
75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법적 규제 / 전자영 2010  518
74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의 현황 및 전망 / 한재권 2016  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