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DC법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52113 
독일에서 동종의약품의 허가 규정
= Regulatory Law of Homeopathic Medicinal Products in Germany

                                      

  • 저자명

    김은미, 김형중, 조정희                        

  • 학술지명

    FDC법제연구                           

  • 권호사항

    Vol.2 No.1 [2007]                                                          

  • 발행처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9-34(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7년

  • KDC

    518

  • 초록 (Abstract)
    • 동종요법제제는 독일을 비롯한 유럽국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의약품이다. 동종요법제제는 European Council Directive 2001/83 EC의 제1조와 독일 약사법 제2조에 따르면, 고도의 희석으...
  • 동종요법제제는 독일을 비롯한 유럽국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의약품이다. 동종요법제제는 European Council Directive 2001/83 EC의 제1조와 독일 약사법 제2조에 따르면, 고도의 희석으로 비록 원료물질의 성분 확인이 불가능하여도 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사용하므로 의약품이다. 독일에서 동종의약품은 적응증의 유무에 따라 두 가지 부류에 따라 허가되고 있다. 즉, 적응증 을 기재하지 않은 동종의약품의 경우 독일 약사법 제38조, 제39조 제1항에 따라 등록(Registration)하며, 적응증을 기재한 동종의약 품의 경우 독일 약사법 제21조, 제22조에 따라 허가(Marketing authorization)받는 절차를 거치게 되어 있다. 독일의 약전은 독일 약 사법 제55조에 따라 DAB (Deutsches Arzneibuch), HAB (Hom?opathisches Arzneibuch), 유럽 약전 (European pharmacopoeia)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HAB는 동종의약품의 품질관리, 생산방법이 기술된 monograph를 수재하고 있다. 동종 의약품은 원료물질(Mother tincture)를 희석하여 만든 제품으로 주성분의 확인?함량시험이 불가능할 수 있다. 동종의약품 등록에 관 한 일반행정규칙 제2장 제E조 제2항에 따르면 동종의약품의 확인?함량시험이 불가능한 경우 HAB규정에 따라 엄격하게 생산하고 이를 정확하게 기록?작성한 문서와 희석 전의 고농도 원료물질(Mother tincture)의 시험자료를 제출함으로써 이를 증명하게 하고 있 다. 확인?함량시험이 불가능한 경우 주성분에 대한 안정성 시험 자료를 제출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하여 동종의약품 허가에 대한 일반 행정규칙 제F조 제2항 유효기간과 동종의약품 제조 공정을 준수하여 제조한 의약품에 대한 안정성 시험기준(BfArM 제정)에서 이를 규정하고 있다. 독일 약사법 제21조에 따라 허가(Marketing authorization)를 받은 동종의약품의 경우 적응증을 기재해야 하며, 이에 대한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BfArM (Bundesinstitut f?r Arzneimittel und Medizinprodukte: 독일 식약청) 산하 Commission D 는 독일 약사법 제25조 제6항, 제7항에 따라 구성된 동종의약품 전문 지식을 가진 전문가들로서 수년 동안 동종의약품에 대한 monograph를 작성하였으며, 이 Commission D에서 작성한 monograph를 적응증에 대한 근거자료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적응증 에 대하여 독일 약사법 제26조 제2항, 의약품 검사지침에 대한 일반행정규칙 제5장, Commission D: 동종의약품의 임상적응증에 대 한 근거자료의 기준에서 이를 규정하고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서론
  • II. 동종요법제제의 분류
  • III. 동종의약품의 허가 분류
  • IV. 동종의약품의 약전
  • V. 동종의약품의 품질관리
  • 1. 동종의약품의 확인시험과 함량시험
  • 2. 동종의약품의 유효기간과 안정성 시험
  • VI. 동종의약품 안전성?유효성 평가
  • 1. 동종의약품의 안전성 평가
  • 2. 동종의약품의 유효성 평가
  • VII.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48 1 윤리학 의료법세션 : 최근 국가 의료정책의 변화에 관한 의료법리학적 평석 / 김향미 2012  317
3147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의 윤리 / 김상득 2018  316
3146 9 보건의료 의료법과 입법자의 책임 공법적 측면에서의 혈액관리제도 안정성확보 / 박규환 2008  316
3145 9 보건의료 맞춤의료를 위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연구 /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2015  316
3144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4  316
3143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 이슈에 대한 정책대응 과제 / 문은영 외 2016  316
3142 15 유전학 임상으로부터 분리된 Candida albicans의 MLST를 통한 유전적 변이 분석 / 김희진 2016  316
3141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빅데이터 현황과 발전방향 / 김주미 2018  315
» 9 보건의료 독일에서 동종의약품의 허가 규정 / 김은미, 김형중, 조정희 2007  315
3139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2016  315
3138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5
3137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에 관한 사설과 칼럼의 프레임과 내용 분석 / 지승재 2016  315
3136 2 생명윤리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박혜정 2010  315
3135 20 죽음과 죽어감 법률·가이드라인·의료 : 일본의 종말기의료의 현단계 / 마치노 사쿠 2014  315
3134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소고 / 구자완 2015  314
3133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2016  314
313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이은영 2015  314
3131 15 유전학 바이오시대의 유전정보관리통제권 / 정덕영 2009  314
3130 10 성/젠더 난자 :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 조주현 2007  314
3129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고용정책 개선방안 연구 / 이정란 2012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