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54005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간대상연구 현황, 과제 관리 기준과 생명윤리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national R&D projects involving human participants and Bioethics policies

                                 

  • 저자명

    유은주(Yu Eun Ju),최병인(Choe Byung In)                                            

  • 학술지명

    인격주의 생명윤리                           

  • 권호사항

    Vol.7 No.1 [2017]                                                         

  • 발행처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7-45(2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KDC

    190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간대상연구현황 조사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과제 관리 기준의 필요성과 생명에 관한 연구윤리를 말하고자 한다. 엘리오 스그...
  •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간대상연구현황 조사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과제 관리 기준의 필요성과 생명에 관한 연구윤리를 말하고자 한다. 엘리오 스그레챠는 “인간은 인간만이 가진 유일무이한 존엄성 때문에, 인격의 존엄성에 대한 존경에 바탕을 둔 윤리 규범은 각각의 연구단계와 그것에서 얻어지는 결과들의 적용 모두를 조명하고 규제해야 한다. 따라서 인류의 고통을 덜어주고 개인 및 사회에게 해를 주는 학대나 이익 추구를 방지하기 위해 과학 연구를 규제하고 지원하며 증진하는 일은 국가와 사회의 의무”라고 하였다. 2005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하 ‘생명윤리법’)은 2013년 2월 2일부터 전부 개정되어 인간 및 인체유래물에 관한 모든 연구에 관해서 법률의 적용을 받도록 했다. 생명윤리법이 인간대상연구의 완전한 윤리적 기준이 될 수 없지만, 인간대상연구의 상당한 연구 내용을 규제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미래성장동력인 연구과제에 대규모의 인력과 자원이 투입되어 이루어지는 연구 개발 과정이다.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간대상연구의 현황은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명윤리법이 적용되는 2014년도에 이루어진 국가연구개발과제 중에서 인간대상연구 현황을 파악했다.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과제 58,607건을 전수 조사한 결과 총 1,244건의 연구 과제가 인간대상연구였다. 인간대상연구의 과제관리기준을 보기 위해 국가연구과제사업 관련 연구 관리기준을 찾아보면, 전체 175개의 연구 관리기준 중 35개 항목에서 연구윤리 내용을 언급하고 있었다. 그 내용은 연구부정행위와 관련있었다. 연구자 교육과정을 살펴본 결과 생명윤리에 관련된 내용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간대상연구의 연구대상자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생명윤리법에서 제시한 인간대상연구에 관한 관리기준 수립과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추후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연구개발과제의 과제 관리 기준의 수립 및 충분한 생명윤리 분야 교육 기회제공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 초록 (Abstract)
    • The study seeks to examin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guiding rules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and Bioethics by analyze the Human subjects research of currently underway in the National R&D Projects. Elio Sgreccia is referr...
  • The study seeks to examin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guiding rules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and Bioethics by analyze the Human subjects research of currently underway in the National R&D Projects. Elio Sgreccia is referred to as “The Human person’ Because of his unique dignity, the ethical norm, founded on respect for the dignity of the person, should illuminate and discipline both the research stage and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it. It is in fact the duty of the state and the community to encourage, finance, and regulate scientific research for the relief of human suffering and to prevent abuses and profiteering at the expense of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Bioethics and Safety Act(referred to as Bioethics Law here after) enacted on January 1, 2005, was largely amended on February 2, 2013, and expanded to be applied to all the studies involving human and human biological materials. Bioethics Law plays a key role of an ethical standard for human subjects research and it also regulates significant parts of human subjects research Korean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are the process that invest a large volume of resources that are regarded as a driving engine for future growth. As for now, however, the current status of human subjects research that are conducted as part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is not properly examined.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guidelines for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within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in 2014. Out of 58,607 grants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in 2014, a total of 1,244 were found to be human subjects research. When we reviewed the grants management guidelines of researches related to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to find out the guiding rules for human subjects research, out of the total of 175 rules regulating research, 35 rules referred to research ethics only. The contents were mostly about general research misconduct. To protect the rights of study participants and minimize the risk, the grant management rules/policies on the researches involving human as regulated in Bioethics Law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education programs for researchers on human research are a vital factors to be fulfilled. In terms of educational curriculum for researchers, the contents on bioethics were found to be greatly insufficient. As a conclusion, this paper will present demanding needs for establishing the guiding rules for futur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involving human and the necessity of sufficient educational opportunities on bioethics.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 초록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0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차별 / 고학수, 정해빈, 박도현 2019  216
2407 15 유전학 유전자 도핑(Gene Doping)의 윤리적 쟁점과 대응방안 / 김지호 2015  216
240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관한 검토/원혜욱,백경희 2017  216
2405 9 보건의료 의료법 제56조 의료광고금지 조항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최현숙 2015  216
2404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김장한 2006  216
2403 8 환자 의사 관계 성년후견제도와 정신보건법상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문상혁 2015  216
240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6
2401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240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의 창작물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호방안 / 김승래 외 2018  215
2399 9 보건의료 초 연결시대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용한 헬스케어 기술 구현 연구 / 정성훈 2016  215
2398 10 성/젠더 불임의 시대, 생명상실에 대한 징후의 서사 / 송은정 2018  214
239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 윤상오 2018  214
2396 20 죽음과 죽어감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상징적 자살의 윤리학 / 조소명 2018  214
239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도의 관계 /장보정 외 2018  214
2394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의료 플랫폼 활성화 관점에서 본 개인건강기록(PHR) 관련 최신 연구동향 / 김동현 외 2018  214
2393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2392 12 낙태 서유럽 국가들에서의 낙태법 리뷰 / 박건 2018  214
2391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요양병원 환자의 감염 실태와 임상적 결과 / 김경완 2017  214
2390 9 보건의료 국내 의약품 유통 규제 및 주요 법적 문제 / 임혜연 2016  214
2389 18 인체실험 유도만능 줄기세포 제작 기술의 발전 및 응용 / 조승우 외 2014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