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비판사회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55427 
한국 공공의료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Realistic Evaluation on Regional Public Hospital’s De-publicization in South Korea

                                    

  • 저자명

    박금령(Park, Gum-Ryeong),김명희(Kim, Young-Hee),전진아(Jun, Jin-A),김남순(Kim, Nam-Soon)                                       

  • 학술지명

    비판사회정책                           

  • 권호사항

    Vol.- No.52 [2016]                                                         

  • 발행처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발행처 URL

    http://www.crifare.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89-329(4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해방 이후 국내 의료체계는 민간 의료기관 중심으로 성장하여 공공병원의 비중이 점차 축소되었을 뿐 아니라 낙후된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최근 진주의료원 사태로 의료안전망 역할을 ...
  • 해방 이후 국내 의료체계는 민간 의료기관 중심으로 성장하여 공공병원의 비중이 점차 축소되었을 뿐 아니라 낙후된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최근 진주의료원 사태로 의료안전망 역할을 수행하는 공공병원이 재정 문제를 이유로 폐업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공공의료체계에 대한 기존 논의와 연구는 의료기관 단위 효율성에 초점을 두고 있어 문제와 원인에 대한 구조적 접근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는 실재주의 분석을 통해 공공의료체계가 당면한 문제의 구조적 원인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2014년 1월부터 10개월간 진행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이루어졌다. 첫째, 의료의 공공성과 역할, 공공병원의 탈공공화 등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둘째, 공공병원으로서 지방의료원이 갖고 있는 문제와 구조적 맥락을 파악하고자 선행연구 검토와 핵심 정보원 대상 인터뷰를 통해 연구 대상에게 물어볼 질문지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셋째, 지방의료원에 대한 이해관계자(원장, 의사, 행정직, 병원노조, 지방자치단체 관계자)에게 진행한 개별 면담,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지방의료원 탈공공화의 발생 기전, 맥락을 파악했다. 지방자치단체가 공공의료기관을 관리할 수 있는 범위가 축소하는 과정에서 지방의료원이 특수 법인화되었고 공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모순된 상황에 직면하고 있었다. 현재 지방의료원은 의료서비스의 질이 높지 않으면서 영리성이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근로 표준에 미흡한 점과 함께 민주적 거버넌스와 자치의 부재라는 문제를 갖고 있다. 지방의료원의 ‘탈공공화’ 현상에는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뿐만 아니라 의료제도 차원에서는 민간중심 의료공급체계와 건강보험의 행위별 수가제, 사회경제적 맥락에서는 신공공관리를 포함한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방의료원이 공공병원으로서 훼손된 가치와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근본적 개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공병원의 ‘탈공공화 문제’를 실재주의 평가라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가 공공의료체계 개혁과 접점을 찾기 위해서는 지속적 탐색과 연구가 필요하다.
  • 초록 (Abstract)
    • Current literature reports that Korean public healthcare system faces various challenges. However, there are limited understanding on the social and economic context surrounded the public healthcare system. Thus, focusing on the regional public hospit...
  • Current literature reports that Korean public healthcare system faces various challenges. However, there are limited understanding on the social and economic context surrounded the public healthcare system. Thus, focusing on the regional public hospitals in Korea, this study utilized the realistic evaluation to analyze the Context-Mechanism-Outcome of what current public healthcare system faces. From in-person and focus-group interviews, we could identify the concept of de-publicization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that is characterized as the low quality of healthcare, the increase of public regional hospital’s profit seeking behaviors, the insufficient democratic governance and the inadequate compliance to labor standards. The concept of de-publiciz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not only problems within hospitals but also government’s policy and neo-liberalism which deeply rooted in Korean socio-economic context in general.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covering the value of publicness in public healthcare system.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내용
  • Ⅴ. 결론 및 고찰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92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거부반응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서의 CAR Treg 세포치료제의 가능성: Treg 세포치료제 임상시험 현황과 CAR T 세포치료제 허가 정보를 바탕으로 / 강고은 외 2017  281
2927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분야에서 빅데이터(의료이용자료)의 활용/김현정 2018  280
2926 22 동물복지 동물보호법개정논의에 즈음한 비교법적 고찰 / 김수진 2006  280
292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쟁점과 해결방안 - 입법론을 중심으로 - / 현소혜 2018  280
2924 1 윤리학 인공지능으로 인한 법률 서비스의 파괴적 혁신과 시사점 / 양종모 2017  280
2923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 손인서 2017  280
292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 현황과 과제 / 강희정 2016  280
2921 19 장기 조직 이식 가족간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 현상이 이식 장기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10  280
2920 9 보건의료 지카바이러스의 역사와 중남미 발생 상황의 이해 / 이재갑 2016  280
2919 18 인체실험 생명윤리법상 배아줄기세포연구 제한에 대한 헌법적 평가- 연구자의 학문의 자유 측면에서/정문식 2007  280
2918 17 신경과학 우리는 ‘호모 모랄리스’인가? 도덕 딜레마 해결 기제의 신경윤리학 연구 / 윤진호 외 2019  279
291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적 연구 : 저작물 성립여부와 보호방안을 중심으로 / 이건영 2017  279
» 9 보건의료 한국 공공의료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박금령 2016  279
291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전문 평가·인증기관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 적합성 평가기관을 중심으로 / 유진호 2017  278
2914 14 재생산 기술 완만동결된 배아와 유리화 동결된 배아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 예후의 비교 /곽은희 2014  278
2913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2912 9 보건의료 의사 · 한의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검토 -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 김한나 외 2016  278
2911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죽음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강지혜 2019  277
291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존엄케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강성자 2018  277
2909 13 인구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이연주 2008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