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국정관리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31754 
정책이념과 정책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정책입법안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Idea as Major Effect Factor and the Choice of Policy Tools: in Case of Health Care Policy

                                     

  • 저자명

    김권식 ( Kwonsik Kim ), 진재완 ( Jaewan Jin )                                                           

  • 학술지명

    국정관리연구                           

  • 권호사항

    Vol.9 No.2 [2014]                                                         

  • 발행처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7-146(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초록 (Abstract)
    • 연구는 정책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건의료정책분야의 입법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별히, Peters(2002)의 다섯 가지 요인(5 I`s) 가운데에 이념(Idea)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 연구는 정책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건의료정책분야의 입법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별히, Peters(2002)의 다섯 가지 요인(5 I`s) 가운데에 이념(Idea)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크게 민주화 이후의 시기를 산업화 시기와 비교하는 것이고, 두 번째 연구가설은 국회의원의 소속정당의 이념이 진보적인가의 여부가 정책수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분석결과, 민주화시기의 정부기간에는 규제의 선택이 산업화시기에 비해 감소하였고, 규제완화가 증가하며 조직형 수단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산업화 시기에 규제 위주의 정책수단 선택 패턴이 민주화 이후에 시민의 참여와 요구가 분출하면서 정치체계에 변화를 초래하고 정책이념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쳐 새로운 정책형성의 경향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가설의 경우 광의의 진보진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책수단 선택과 관련하여 규제완화의 선택경향이 높아지는 것 이외에는 특이한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두 번째로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의 정책연대를 진보주의 이념 정당으로 규정할 경우에는 규제수단의 뚜렷한 감소와 더불어 조직형 수단의 증가 경향이 나타났다. 세 번째로 민주노동당만을 진보주의 이념 정당으로 규정한 경우에는 규제수단의 감소와 더불어 규제완화 및 유인형 수단의 증가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그동안 사례연구나 이론적 논의에 상대적으로 치중해 왔던 정책수단 선택 영향요인의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실제 정책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입법활동을 대상으로 양적 접근에 의한 실증분석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초록 (Abstract)
    • This paper analyses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on the Korean legislative procedure in the field of health care policy. The five categories of Hood`s taxonomy(NATO model)are set up as endogenous variables of this research. Therefore, this research...
  • This paper analyses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on the Korean legislative procedure in the field of health care policy. The five categories of Hood`s taxonomy(NATO model)are set up as endogenous variables of this research. Therefore, this research explores the political-contextual effect factors of policy tools choice among the alternative policy tool categories. The research hypothesis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idea and the choice of policy tools. Specifically, the one issue is related to the effect of democratization in 1987 to the policy tool choice.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policy tool choices, before and after democratization. In the era of democratization, regulations are diminishing, but the types of deregulation and information are increasing. This means that the pattern of policy tool choice in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has changed as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runs and citizen participation blows off. Second research hypothesis deals with the matter of idea, especially that of legislator. The progressive ideology or political belief claimed as policy platforms by their political party is adopted proxy variable for the lawmaker`s idea. And in terms of operational definition, that variable is defined as three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covers total liberalist camp and opposition parties. The second category contains the UriParty and Democratic Labor Party. Lastly the third category implies the lawmaker`s party is the Democratic Labor Party. There isn`t any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and the first. But with the second category, regulation is decreasing and organization type tools are increasing stochastically significantly. Meanwhile, the analysis with the third category suggests diminishing regulations, increasing deregulations and increasing incentive tool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368 1 윤리학 개인정보 분쟁조정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헌법상 연구 / 권수진 외 2017  60
436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 문제’에 관한 우리나라와 미국 판례이론의 비교 연구 / 황도수 2013  60
4366 9 보건의료 원격의료에서 의료전문직을 위한 실천원리로서 프로네시스(phronesis) / 김진경 2018  60
4365 9 보건의료 감염예방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WHO의 가이드라인 소개 / 김준영 2018  60
4364 9 보건의료 충북지역 장애인 치과의료서비스 환경실태 및 개선방향 / 김선주 2018  60
4363 9 보건의료 지능형 헬스케어 플랫폼 산업 및 국제 표준화 동향 / 김양중 2017  60
4362 14 재생산 기술 개-돼지 이종 간 복제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요인 / 최미경 외 2014  60
4361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 9 보건의료 정책이념과 정책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정책입법안을 중심으로 / 김권식 2014  61
4359 19 장기 조직 이식 다층모형을 적용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 변화 영향요인/송지은, 소향숙 2015  61
435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본 웰다잉의 조건과 방식 / 유권종 2008  61
4357 9 보건의료 일차의료 강화를 통한 효과적 만성질환 관리 방안 / 신호성 2012  61
43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보험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이성남 2018  61
4355 15 유전학 인종과 유전: 게놈 시대에 은폐된 인종의 자리 / 김준년 2017  61
4354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윤미진 2016  61
4353 9 보건의료 고령사회에 대응한 보건의료체계 개편의 시급성 / 박은철 2018  61
4352 7 의료사회학 개정된 의사윤리지침과 의학전문직업성에 기반한 자율규제 / 박석건 외 2018  61
4351 9 보건의료 중소병원 및 일차의료기관의 환자안전 현황과 정책 과제 / 서제희 2016  61
4350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용의료기기 부작용 관리시스템에 대한 고찰 / 강경묵 외 2018  61
4349 9 보건의료 의료법학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8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