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93679 
장애관련 자료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formation Need of Materials Related to Disability

                                  

  • 저자명

    장우권, 박성우, 정대근

  • 학술지명

    한국문헌정보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권호사항

    Vol.50 No.2 [2016]                                                        

  • 발행처

    한국문헌정보학회                                   

  • 발행처 URL

    http://kslis.jams.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47-181(3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이 연구는 장애인 본인 및 가족, 관련자 등 장애 관련 다양한 이용자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장애관련 정보를 파악과 함께 정보유형에 따른 이용자들의 인식을 비교분석하여 체계적이...
  • 이 연구는 장애인 본인 및 가족, 관련자 등 장애 관련 다양한 이용자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장애관련 정보를 파악과 함께 정보유형에 따른 이용자들의 인식을 비교분석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이용자 맞춤형 정보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장애인, 장애인보호자, 장애기관 종사자, 장애인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및 장애 관련자들의 주요정보원은 일반포털 사이트이며, 중요 정보유형은 구인구직정보, 이동편의(교통)정보, 의료기관 정보 등이다. 또한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정보의 중요성이 낮고 자료의 획득도 어렵게 느끼고 있었으며, 장애유형에 따라서 중요 정보유형 및 획득의 용이성이 차이가 나타났다.
  • 초록 (Abstract)
    • This study aims to bound the preliminary material for the disabled to provide personalized information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reference research and survey are conducted the disabled, protector, professional,...
  • This study aims to bound the preliminary material for the disabled to provide personalized information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reference research and survey are conducted the disabled, protector, professional, researcher and teacher. The result, disabled and the persons involved in primary source of disability was a portal site. Critical information types were job board, mobile access to (traffic) information on the information, and medical institutions and so on. Also, Able-bodied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for disabled people was low and acquisition of data feel it is hard and availability of critical information types, depending on the types of disability and acquisition the difference appeared.
  •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장애관련 정보유형
  • 3. 연구 설계 및 방법
  • 4.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