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복지학(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34250 
가족구조에 따른 미성년 자녀의 의료이용 분석

                      

  • 저자명

    김정욱,최재성                                               

  • 학술지명

    한국사회복지학(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권호사항

    Vol.68 No.3 [2016]                                                            

  • 발행처

    한국사회복지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asw.org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27(2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을 활용하여 모자가정과 부자가정을 중심으로 한부모가정에 속한 미성년 자녀의 의료이용 현황을 점검하고, 의료이용의 정도가 조부모의 동거 여부, 형제자...
  •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을 활용하여 모자가정과 부자가정을 중심으로 한부모가정에 속한 미성년
    자녀의 의료이용 현황을 점검하고, 의료이용의 정도가 조부모의 동거 여부, 형제자매의 수, 그리고 한
    부모가정을 형성하게 된 원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의 개인특성과 가구특성을 통제한 이후에도 부자가정에서 자란 자녀들은 양친가정에
    서 자란 또래 자녀들보다 연간 총 외래이용 횟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부모의 동거 여부
    는 미성년 자녀들의 외래이용 횟수와 뚜렷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형제자매의 수는 외래이용 횟
    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가정 형성원인을 이혼과
    사별로 구분하여 외래이용 횟수를 비교한 결과 부자가정의 경우 이혼가정 자녀들이 사별가정 자녀들에
    비하여 외래이용 횟수가 더 적고 조부모의 동거 여부 또한 외래이용 횟수와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부모가정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때 부자가정과 모자가정의 특성
    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며 한부모가정에 대한 사회적·정책적 지원이 보건의료 분야로 확
    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초록 (Abstract)
    • In this study, we examine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medical utilization by family structure with a focus on single-mother and single-father families using data from the Korean Health Panel Survey, years 2008~2012. We also investigate whether th...
  • In this study, we examine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medical utilization by
    family structure with a focus on single-mother and single-father families using
    data from the Korean Health Panel Survey, years 2008~2012. We also investigate
    whether the cause of transition into a single-parent household, whether
    coresidence with children's grandparents, and number of siblings are associated
    with children's use of ambulatory visi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ho grew up in single-father households had fewer
    ambulatory visit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both parents after controlling for
    children'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mily backgrounds. Second,
    coresidence with grandparents was not associated with children's medical
    utilization. However, number of siblings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use of ambulatory visits. Third, children living with a
    divorced father had fewer medical utilization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a
    widowed father, and coresidence with grandparen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use of ambulatory visits. Our findings suggest that tailored policy
    supports would be more fruitful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ingle-parent
    households such as gender of parents, and the supports should also pay more
    attention to health care needs and medical utilization of childre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48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1
947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정부의 관리 전략 / 정순화 2012  441
94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대한 인식과 태도 : 부정적 감정 수용과 자살 리터러시의 역할에 대한 탐색 2017  442
94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성(vulnerability) 판단 기준 재정립과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역할 / 배현아 2011  443
944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943 12 낙태 동성결혼 합법화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위헌심사기준 변화에 대한 논의 / 송현정 2016  443
942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
941 19 장기 조직 이식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삶 / 백민자 2016  444
940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939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및 역할인식 / 유정임 2019  444
93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5
93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5
93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에 관한 인간존엄침해여부 논증 : 인간배아복제의 헌법적 허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차수봉 2011  445
935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46
934 13 인구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김현무 2010  446
93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의 법인격 주체 가능성의 이론적 기틀에 대한 기초 연구 / 한희원 2018  446
932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7
9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48
930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8
929 19 장기 조직 이식 성인 간이식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예후인자 / 김성균, 김형직, 이정표, 이상구,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서경석 2003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