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와 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42751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 Rehearsal for Death(meletē thanatou) for the Completion of Life and Voluntary Death

                                 

  • 저자명

    권수현(Su Hyeon Kwon)                                                         

  • 학술지명

    사회와 철학                             

  • 권호사항

    Vol.- No.28 [2014]                                                         

  • 발행처

    사회와철학연구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75-206(3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KDC

    300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자살에 대한 태도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중립적인 태도를 고수하고 로마인들은 찬미하며 기독교 초기에는 열광했다. 그 열광은 중세의 기독교에...
  • 자살에 대한 태도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중립적인 태도를 고수하고 로마인들은 찬미하며 기독교 초기에는 열광했다. 그 열광은 중세의 기독교에서 죄악시와 혐오감으로 변질되고 르네상스를 지나 근대에 이르기까지 정신이상과 도덕적 타락으로 배척했다. 18세기 들어서야 자살을 더 이상 범죄시 하지 않고, 이후 사회과학의 탐구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자발적 죽음을 사회적 병리현상으로서 ‘자기 살해’와 인간 자유의 행사로서 ‘자유죽음’의 두 측면으로 다룬다. 그리고 자유죽음의 관점에서 삶의 완성을 위해 죽음을 미리 숙고하기, 즉 ‘죽음의 연습’을 논한다. 논문의 첫 단계에서 생명연장찬성론과 생명연장반대론의 논쟁점을 살펴봄으로써, 생명연장찬성론이 설득력을 지닐 수 있다면 그 내용은 무엇인지,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설득력에 맞서서 생명연장 반대론을 어떻게 주장할 수 있는지 탐색한다. 그 다음에 자살의 역사를 조명한다. 자살의 대한 판단의 역사적 변천을 통해 자살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절대적이 아니라 상대적임을 보인다. 이와 함께 개념적 차원에서 자살의 정의를 둘러싼 문제를 다루며, 자살의 개념적 확장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죽음의 연습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며, 인간적인 사건으로서 자유죽음을 규명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들어가는 말
  • 2. 수명연장의 꿈과 지혜를 사랑하는 자의 죽음
  • 3. 생명연장찬성론 대 생명연장반대론
  • 4. 자살의 두 얼굴: 찬양과 죄악시
  • 5. 자살의 개념적 정의를 둘러싼 문제
  • 6.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16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3
1167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 국가의 성패,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에 달렸다/이명현 외 2016  113
1166 22 동물복지 물건인가, 생명인가? / 신홍임 2017  112
1165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신수경 2019  112
1164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배상균 2017  112
1163 17 신경과학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 박형빈 2017  112
1162 15 유전학 인간유전학의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우생학, 인간 게놈 지도, 유전자 진단 및 치료 등의 유전자 개입을 중심으로 / 이동익 2003  112
1161 22 동물복지 한국 동물대체시험법검증센터의 설립 및 국제협력 / 손수정 외 2010  112
1160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선택의 결정요인 / 이성경, 최지호 2017  112
1159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이식관리의 현황과 법적 문제 2003  112
1158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2014  112
» 20 죽음과 죽어감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 권수현 2014  112
1156 18 인체실험 암 임상시험 실무지침서 내용개발 / 신용민 2017  112
1155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시판 후 조사와 리베이트 / 박수헌 2016  112
115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 / 정윤중 2010  112
115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의한 차별과 그 책임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 허유선 2018  112
1152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 권상조 2018  112
1151 7 의료사회학 한국의 의사상에 기반을 둔 일반역량 및 위임가능 전문직무(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선우 2019  111
1150 17 신경과학 인권존중과 탈수용화를 위한 정신건강복지법 재개정 연구 / 이동진 2019  111
1149 9 보건의료 한국의 고령화와 의료산업 / 윤재중 2018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