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江原法學(Kangwon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311797 
뇌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Brain Death and Withdrawal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 저자명

    구자완(Koo Ja Wan)                                                     

  • 학술지명

    江原法學(Kangwon law review)                               

  • 권호사항

    Vol.46 No.- [2015]                                                        

  • 발행처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07-340(3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오랜 세월 맥박과 호흡의 정지는 삶과 죽음을 경계 짓는 표식으로, 그것이 바로 죽음이라 간주되어왔다. 그러나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이제 사람의 생명이라는 것, 그리고 생명과 필연적으로...
  • 오랜 세월 맥박과 호흡의 정지는 삶과 죽음을 경계 짓는 표식으로, 그것이 바로 죽음이라 간주되어왔다. 그러나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이제 사람의 생명이라는 것, 그리고 생명과 필연적으로 결부된 죽음에 대하여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관념의 접근이 필요한 것 같다. 뇌사(Brain death)의 등장은 죽음을 인식하는 객관적 표식의 재정립을 요구한다.
    한편 의료기술의 발달은 한 인간의 건강과 생명을 유지시킬 수 있다는 희망을 가져다 준 반면 현대의학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질병말기의 죽음을 앞둔 환자에게 생명유지 장치 등에 의존해 인위적으로 생명만을 연장시키고 있기도 해 생명연장에 대한 기쁨보다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상실시킬 수 있다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대법원 판례(대법원 2009.5.21.선고 2009다17417 판결)는 “환자가 의식의 회복가능성이 없고 생명과 관련된 중요한 생체기능의 상실을 회복할 수 없으며 환자의 신체 상태에 비추어 짧은 시간 내에 사망에 이를수 있음이 명백한 경우’를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라고 정의하고, 그 단계에 이른 환자는 이미 의식의 회복가능성을 상실하여 더 이상 인격체로서의 활동을 기대할 수 없고 자연적으로는 이미 죽음의 과정이 시작되어 연명치료를 계속하는 것은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신체침해행위를 강요하는 것이 되므로 그 환자에 대하여는 사전의료지시에 의한 ‘자기결정권’의 행사에 따라, 또는 추정되는 환자의 의사에 따라 생명유지 장치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연명치료를 중단하는 것이 허용 된다”고 연명치료 중단의 허용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연명치료중단은 환자의 생명단축을 초래할 수 있지만 이는 자신의 생명을 자연적인 상태에 맡기고자 하는 것으로서 도리어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부합한다고 보아야 하기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환자의 자기결정이 확인 되었을 시에는 연명치료를 계속할 경우 환자의 회복가능성이 기대되어 생명권보호가 환자의 자기결정권보다 우선시 되는 극히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국가의 생명권보호라는 의무에 의해 인위적인 생명연장에서 벗어나 자연적인 상태로 귀의하려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제한하여 연명치료가 강제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또한 뇌사에 관해서는 뇌사판정 이후에 자연스레 심폐정지가 따라오는 과정을 생각할 때 굳이 명확하게 확정할 수 없는 뇌사의 사망 시간으로 죽음의 판정을 앞당길 실익이 크지 않을 뿐더러 여러 이해당사자들의 법적이해가 얽힌 사망의 시간이 불명확한 방식으로 판정되고, 뇌사검사 시간의 선택을 의료인 등 특정인의 결정에 맡겨지게 되어 사망시간의 인위적인 조작이 가능해 법적인 안정성을 해할 수 있으므로 법적인 사망으로 뇌사를 인정하는 것을 반대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뇌사
  • Ⅲ. 연명치료중단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48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의 윤리 / 김상득 2018  316
3147 19 장기 조직 이식 연구논문(硏究論文) : 장기이식에 관련한 법적,현실적 문제와 그 해결방안 2011  316
3146 9 보건의료 의료법과 입법자의 책임 공법적 측면에서의 혈액관리제도 안정성확보 / 박규환 2008  316
3145 9 보건의료 맞춤의료를 위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연구 /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2015  316
3144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4  316
3143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 이슈에 대한 정책대응 과제 / 문은영 외 2016  316
3142 15 유전학 임상으로부터 분리된 Candida albicans의 MLST를 통한 유전적 변이 분석 / 김희진 2016  316
3141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빅데이터 현황과 발전방향 / 김주미 2018  315
3140 9 보건의료 독일에서 동종의약품의 허가 규정 / 김은미, 김형중, 조정희 2007  315
3139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2016  315
3138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5
3137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에 관한 사설과 칼럼의 프레임과 내용 분석 / 지승재 2016  315
3136 2 생명윤리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박혜정 2010  315
3135 20 죽음과 죽어감 법률·가이드라인·의료 : 일본의 종말기의료의 현단계 / 마치노 사쿠 2014  315
»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소고 / 구자완 2015  314
3133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2016  314
313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이은영 2015  314
3131 15 유전학 바이오시대의 유전정보관리통제권 / 정덕영 2009  314
3130 10 성/젠더 난자 :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 조주현 2007  314
3129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고용정책 개선방안 연구 / 이정란 2012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