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0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기독교사회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3155111 
삶의 질과 안락사, 기독교적 의료 윤리의 관점

                      

  • 저자명

    정유석                                               

  • 학술지명

    기독교사회윤리                           

  • 권호사항

    Vol.3 No.- [2000]                                                           

  • 발행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Socie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5-128(1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0년

  • KDC

    230.1

  • 초록 (Abstract)
    • 안락사란 '치유될 수 없는 상황이나 질병으로 커다란 고통이나 어려움을 안고 있는 사람을 아무런 고통을 주지 않고 죽여주는 행위나 관행'으로 정의한다. 죽음에 이르기 위하여 어떤 행위...
  • 안락사란 '치유될 수 없는 상황이나 질병으로 커다란 고통이나 어려움을 안고 있는 사람을 아무런 고통을 주지 않고 죽여주는 행위나 관행'으로 정의한다. 죽음에 이르기 위하여 어떤 행위를 적극적으로 행하는 경우를 수동적 안락사라 한다. 안락사는 환자의 동의여부에 따라서 구분하기도 하는데, 환자 스스로의 자율적 결정에 의하여 안락사가 시행된 경우를 자의적 안락사,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죽음을 반자의적 죽음이라 한다.
    전통적 기독교 윤리의 관점은 생명을 보존해야 하는 자연법적 의무에 근거하여 원칙적으로 모든 형태의 안락사에 반대한다. 하지만 이 원칙은 언제나 확고한 것만은 아니어서 가망이 없는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무의미한 치료를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는 않는다. 만일 가망 없는 환자의 생명을 다소 연장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치료가 요구되는 경우라면 환자의 질병이나 상해의 결과로 자연사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을 허용한다. 즉, 성경적 의료윤리의 관점은 능동적 안락사와 반자의적 안락사에는 반대하지만 자의적-수동적 안락사는 허용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비자의적 안락사는 자신의 의사표시를 분명히 할 수 없는 식물인간 상태로 몇 년이고 특별한 생명유지장치에 의존하여 목숨을 연장하고 있는 환자에게 의사나 그 가족이 환자의 '최선의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생명유지장치를 제거 혹은 시술을 포기하는 경우로 무의미한 생명연장보다는 설득력이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환자의 이익이 아니라 제 삼자의 이익 때문에 안락사 시술이 남용될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매우 선별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일종의 필요악으로서 최소한의 문만 열어놓아야 할 것이다. 비자의적 안락사의 남용에 대한 가장 이상적인 대안이 자신의 생명에 대한 유언(living will)이다. 이는 자신이 스스로의 치료에 대한 결정권을 행사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미리 생명에 관한 유언장을 작성하여 놓는 것이다. 현대 의학은 거의 모든 통증을 능히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통증조절법을 발전시켜왔다. 따라서 환자의 고통에 대한 대안은 안락사가 아니라 최대한의 통증조절과 환자의 심적, 정신적 슬픔과 고종을 덜어주려고 애쓰는 호스피스이다. 기독교적 세계관을 가진 훈련된 의사와 성직자, 사회사업가가 한 팀이 되어 적절한 호스피스 진료를 제공할 수 있다면 고통의 대안으로서의 안락사 요구를 설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여는 글
  • Ⅱ.안락사의 개면과 분류
  • 1.능동적 안락사와 수동적 안락사
  • 2.자의적, 반자의적, 비자의적 안락사
  • Ⅲ.일반적 치료와 특수한 치료
  • Ⅳ.자신의 생명에 대한 유언(Living will)
  • Ⅴ.안락사에 대한 윤리적,성경적 고찰
  • 1.공리주의의 관점
  • 2.칸트의 관점
  • 3.기독교적 관점
  • VI.안락사, 치료중단에 관한 성경적 대안
  • VII.닫는 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0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5
460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윤리에서의 환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 송현미 2000  596
4605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에서의 조직은행 구조에 관한 연구 / 최승주 2000  212
4604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53
4603 15 유전학 유전체연구의 전략적 대응방안 / 안두현 2000  119
460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34
4601 5 과학 기술 사회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권기석 2000  386
4600 15 유전학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 정상모 2000  344
4599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를 위한 생물정보학 / 김양석 2000  165
4598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459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후 쌍태 임신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철홍, 이여길 2000  387
4596 15 유전학 정신질환의 유전학적 연구 : 정량적 유전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론 / 주은정 2000  374
4595 15 유전학 유전질환 등록 시스템 운영, 유전자 정보 Database 구축 및 유전자 진단 시스템 확립 / 구수경 2000  64
»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질과 안락사, 기독교적 의료 윤리의 관점 / 정유석 2000  660
4593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생명연장의 전제조건 / 이동식 2000  70
4592 9 보건의료 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 전진숙 2000  183
4591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ㆍ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 심규미 2000  73
459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적 허용여부 논의를 위한 한국적 논의 모형 제안 2000  92
4589 19 장기 조직 이식 기획논문 : 뇌사와 장기이식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이해 2000  76
458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현황과 문제점 / 문신용 2000  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