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호스피스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40021398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연구

                        

  • 저자명

    이현주                                             

  • 학술지명

    호스피스논집                           

  • 권호사항

    Vol.7 No.- [2003]                                                         

  • 발행처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87-104(1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3년

  • KDC

    512.8

  •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죽음 및 호스피스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을 파악하여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성숙된 태도와 이해를 근거로 호스피스 간호를 ...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죽음 및 호스피스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을 파악하여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성숙된 태도와 이해를 근거로 호스피스 간호를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U시 소재 2개 종합병원 간호사 242명이 연구 대상이었다. 2002년 5월 2일부터 5월 14일까지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통하여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대분의 간호사들은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죽음에 대한 걱정은 생의 상실과 죽음의 진행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죽음이 곧 모든 정신적·신체적 활동의 끝이라고 생각하였다. 응답자들은 임종 장소로서 집을 가장 많이 원했지만, 호스피스 병동이나 호스피스 케어를 받는 곳을 원하는 응답자도 상당한 비율로 나타났다. 응답자가 임종시 같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가까운 가족이 대부분이었지만, 성직자와 가족을 함께 원하는 응답자도 많았다. 이것으로부터 간호사들은 정서적 측면뿐만 아니라 영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응답자의 64.9%는 기회가 있을 때 호스피스 요원이 되든지 또는 권유하겠다고 답하였는데, 이것으로부터 간호사들은 호스피스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고 참여의사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호스피스는 국가의 지원 하에 종교 및 봉사단체에서 운영하는 것이 좋다고 답하였으며, 우리나라에 적합한 호스피스 유형으로서는 호스피스 전문병원 또는 기관이라고 밝히고 있다. 우리 나라에 호스피스가 활발하지 못한 이유로서 응답자들은 호스피스는 인식하지만 그것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지 못하고 또한 병원의 경제성이 낮기 때문이라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셋째, 응답자들은 말기환자들이 감정의 변화를 많이 겪지만, 의료인과 충분한 대화를 가질 시간이 적을 뿐만 아니라 핵가족화 때문에 가족들과도 같이 있을 시간이 적다고 지적하였다. 말기환자에게 있어서 생명연장을 위한 시술은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말기환자에게 처치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임종을 맞게 하는 것은 비윤리적이다'와 '그렇지 않다'라는 응답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 의료인으로서 말기환자에게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생각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옆자리에서 임종하는 환자를 본 말기환자는 공포감이 클 것이므로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는 호스피스 병동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호스피스 케어는 의료인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라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에 따르면 간호사들은 말기환자나 임종환자에 대한 호스피스 케어의 필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다. 그렇지만 몇몇 대학병원을 제외하고는 호스피스 병동이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보다 적극적인 호스피스 케어가 실시될 수 있도록 호스피스 병동 개설을 위한 병원당국이나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368 1 윤리학 독일법상 동물보호를 위한 단체소송 / 송동수 외 2017  352
3367 15 유전학 자궁 및 태반에서 칼슘이온 수송 유전자의 조절 기전 / 양현 2014  352
336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공여신장이식에서 수혜자 및 공여자의 체형이 초기 이식신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최수윤 외 2004  352
3365 20 죽음과 죽어감 셸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응답 /백충현 2018  351
336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2014  351
336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최재원 2017  351
3362 15 유전학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 / 홍남희 2015  351
3361 9 보건의료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졸피뎀 약물 유해반응 실마리 정보 검출 / 한준우 외 2018  350
3360 14 재생산 기술 포유동물 초기배아의 체외성숙과 체외발달 및 이종간의 체외수정에 대한 연구 / 김영훈 2010  350
3359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료비에 미치는 효과와 노인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2017  350
»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연구 / 이현주 2003  350
3357 9 보건의료 건강보험 수가정책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백현영 2014  350
3356 9 보건의료 한국의 응급의료서비스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 재난응급의료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 김유호 2011  350
3355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과 헌법- 인간의 존엄, 연구의 자유 그리고 국가의 생명보호의무/조홍석 2015  350
335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 이영주 2015  350
33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사례비교 및 존엄사의 정당화 가능성 연구 : 故 김수환 추기경과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례를 중심으로 / 권혁남 2010  349
3352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역할인식, 간호스트레스 및 태도 / 이수정 2016  349
3351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49
3350 10 성/젠더 칸트 성윤리의 구조와 재구성 / 김은희 2018  348
3349 15 유전학 GMO 식품에 나타난 유전자 조작 기술의 기독교 윤리적 비판-유전자 조작 기술 시대의 자연 및 인간의 ‘수평적 동등성’ 회복을 위해 / 김광연 2017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