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292038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A strategy for enhancing clinical trial administration support: focused on the sponsor

                                          

  • 저자

    조혜정                                       

  • 형태사항

    vi, 41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

    단면인쇄임
    부록수록
    지도교수: 이준영
    참고문헌: p 37-3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역학및보건정보학과 2011.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 초록 (Abstract)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iorities of a clinical trial administration,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ve support in a clinical trial and to present fundamental data for an efficient administrative system in a pharmaceutical...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iorities of a clinical trial administration,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ve support in a clinical trial and to present fundamental data for an efficient administrative system in a pharmaceutical company.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way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Literature review was focused on trends of clinical trials in Korea and abroad, status of clinical trial infrastructures, inspection results of the regulatory authoriti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linical trial staff working in global and local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global and local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s(CRO). A total of 101 respond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57 in global pharmaceutical companies, 7 in local pharmaceutical companies, 14 in global CROs, and 23 in local CROs. The survey period ran from 1 Oct to 23 Oct 2010.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and collected from responders shortly after the completion.

    Results : First, the number of a clinical trial conducted in North America and Europe is decreasing. To contrary, Asia, Eastern Europe, and South America have achieved rapid growth in the field. Supported by the government R&D stimulus, Korea was ranked the 12th largest countries in the world in 2009. As the number of clinical trials is on the rise, the frequency of clinical trial inspections increases. The sponsor inspection findings include poor management of an investigational product, the lack of a quality system, non compliance of a protocol, adverse drug reaction reporting, and inappropriate records control. Second, among clinical trial administrative factors, the responders think that ‘management and retention of clinical trial essential documents’ is considered the most urgent issue (4.03+1.31). They also consider ‘human resources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e weakest (3.41+1.37). Third, most of the responders (92.5%) replied that they could focus on a study monitoring with the assistance of clinical trial assistants. More importantly, they think that clinical trial administrators are essential in conduct of a clinical trial if there are no any administrative supports. Fourth, the roles of Clinical Research Associates (CRAs) requiring clinical trial supports include retention and maintenance of essential documents, review of a clinical study agreement and payment of clinical grants, and provision of an investigational product and the supplies.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sponsor clinical trial assistants are an integral part of a clinical trial. By assigning some roles of CRAs to clinical trial administrators, such as retention and maintenance of essential documents, review of a clinical study agreement and payment of clinical grants, and management of an investigational product and the supplies, the CRAs should be able to focus their resources on monitoring. On the other hand, clinical trial assistants make ultimate efforts to conduct comprehensive clinical trial administration tasks as well as to improve quality in the conduct of a clinical trial.                      
  •                             
  • 초록 (Abstract)
    • 목적 : 이 연구는 의뢰자의 임상시험행정의 우선순위 및 임상시험 행정지원의 필요성을 파악하여 임상시험 의뢰자에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효율적인 행정체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
  • 목적 : 이 연구는 의뢰자의 임상시험행정의 우선순위 및 임상시험 행정지원의 필요성을 파악하여 임상시험 의뢰자에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효율적인 행정체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 자료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조사는 국내․외 임상시험의 동향, 임상시험 인프라의 현황 및 허가당국의 실태조사 결과를 전반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외 제약회사 및 국내⋅외 CRO에 근무 중인 임상시험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외국계 제약회사 57명, 국내 제약회사 7명, 외국계 CRO 14명, 국내 CRO은 23명, 총 101명이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조사기간은 2010년 10월 1일부터 10월 23일까지였으며, 각각의 대상자들에게 설문지를 나누어 주고 바로 회수하는,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결과 : 첫째, 임상시험은 북미, 유럽의 점유율이 감소하고 아시아, 동유럽, 남미국가의 급속적 성장을 이뤘다. 우리나라는 R&D 활성화 노력으로 2009년 세계 12위권 진입을 달성하였다. 임상시험 수행이 증가함에 따라 임상시험에 대한 실태조사도 증가하고 있는데, 의뢰자 실태조사에서 주로 발견되는 문제점은 임상시험의약품의 관리부실, quality system 부재, 계획서 불이행, 이상약물반응 보고, 부적절한 기록관리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임상시험행정’ 요소 중 가장 필요한 영역은 ‘임상시험 기본문서 관리 및 유지(4.03+1.31)’ 항목이며, 가장 취약한 부분은 ‘인력구조 및 조직개편(3.41+1.37)’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행정지원 인력이 있는 경우 대부분(92.5%)이 모니터링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고 하였고, 행정지원 인력이 없어도 대부분(93.3%)이 지원인력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CRA 업무 중 행정지원인력이 필요한 영역은 임상시험 기본문서 관리 및 유지, 연구계약서 검토 및 지급, 임상시험약 및 연구물품 관리 등의 순이었다.

    결론 : 결론적으로 의뢰자내에서의 행정지원 인력은 높은 필요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행정지원 인력을 갖추어 ‘임상시험 기본문서 관리 및 유지’, ‘연구계약서 검토 및 지급’, ‘임상시험약 및 연구물품 관리’를 비롯한 포괄적 업무영역을 지원함으로써 CRA는 모니터링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행정지원 인력은 포괄적인 임상시험 행정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하여 궁극적으로 임상시험 수행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
  • Ⅰ. 서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용어정의 4
  • 2. 연구모형 6
  • 3. 자료조사 7
  • 4. 설문조사 8
  • Ⅲ. 연구결과 10
  • 1. 국내외 임상시험 실시현황 조사결과 10
  • 2. 국내 임상시험 인프라현황 조사결과 14
  • 3. 국내외 임상시험 실태조사 현황 비교분석 17
  • 4. 임상시험 행정지원의 필요성 설문조사 결과 23
  • Ⅳ. 고찰 30
  • Ⅴ. 결론 35
  • 참고문헌 37
  • 부 록 40
  • 국문요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08 5 과학 기술 사회 『나를 보내지 마』를 활용한 과학소설의 학제간 교육 사례연구 / 손나경 2018  86
707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현장에서 질적 확률표현에 대한 의료인-환자 간의 인식 비교 / 오제혁 외 2014  86
706 9 보건의료 공공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노인 사망장소의 결정요인: 지역보건의료자원의 영향 / 임은옥 외 2017  86
705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상업적 이용과 개인정보 보호/이준형 2017  86
704 15 유전학 키메라(chimeric)RNA가 암의 지문으로 될수 있을까? / 심해홍 2012  86
703 15 유전학 From consent to institutions: Designing adaptive governance for genomic biobanks 2011  86
702 2 생명윤리 관찰연구의 윤리 / 유상호 2010  86
701 9 보건의료 이주여성과 사회보장법제 / 노호창 2017  86
700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모성 관련 질환의 사회적 비용 / 조민우 외 2018  85
699 1 윤리학 권리 개념을 중심으로 본 북한의 인권 문제 / 추정완 2019  85
698 23 연구윤리 한국에서 발간되는 의학저널에서의 이해상충 명시에 대한 현황 / 강보형 2013  85
697 9 보건의료 병원의 환자안전 현황과 과제 / 서제희 2016  85
696 1 윤리학 성과사회와 철학적 병: 샌델의 정의론으로 치유하기 /하종수, 최희봉 2017  85
695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우리나라 의료관광 법적 연구의 현황과 검토 / 조형원 2017  85
694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임종진료에 대한 태도 - 안락사를 중심으로 1999  85
693 5 과학 기술 사회 문화로봇공학(Cultural Robotics) 관점의 백남준 로봇 연구 / 장효진 2017  85
692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Immigration Justice and the Grounds for Mandatory Vaccinations 2015  85
691 19 장기 조직 이식 The Argument Against Live-donor Liver Transplantation 1996  85
690 7 의료사회학 임상실습교육 강화의 필요성 연구 / 황보민, 박종현 2018  84
689 9 보건의료 의료보험체계에서 이념의 갈등과 조화 : 의료보험에서 경쟁의 억제와 유인/김나경 2009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