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67912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기타서명

    Systematic review on the adaptive clinical trials and proposal for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daptive clinical trial in Korea

  • 저자

    양송이                                       

  • 형태사항

    v, 55장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보건학 전공 2016. 2

  • DDC

    614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신약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현황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의학 및 보건학 분야에서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임상시험을 통하여 시험하고자 하는 ...
  • 신약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현황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의학 및 보건학 분야에서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임상시험을 통하여 시험하고자 하는 임상시험약 또는 치료법의 안전성(safety)과 유효성(efficacy)을 보다 적은 비용과 짧은 시간 내에 입증하여 성공적인 임상시험(clinical trial)으로 이끌어 내기 위하여 통계적, 규제적, 윤리적인 측면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노력하고 있다. 지난 2000년대 초반에 미국 식품의약국(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이하 FDA)에서는 신약개발에 있어서 제약 업계에서 계획 준비 중인 의약품의 개발을 위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임상시험의 최상경로계획(Critical Path Initiative, 이하 CPI)을 총 76가지의 초기 프로젝트로 총 6개의 광범위한 주제를 개요 서술한 임상시험의 최상경로기회 목록(Critical Path Opportunities List)을 발표하였다. 이 발표로 인하여 적응적 임상시험(adaptive clinical trial) 또는 유연한 임상시험(flexible clinical trial)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임상시험의 중간 분석을 통하여 획득 되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그 임상시험의 한 가지 이상의 명시 된 방면의 수정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신약개발의 성공 확률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신약 개발의 시간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이러한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적 임상시험의 현 상황과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적응적 임상시험의 선행연구의 현황과 적응적 임상시험의 특징과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더 나아가 미국 및 유럽연합 국가에서 설계한 적응적 임상시험의 총 4가지 사례에 대하여 체계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총 4가지 사례를 통하여 적응적 임상시험의 장점과 단점/한계점을 결과적으로 도출하였고, 장점으로는 적응적 임상시험은 기존의 전통적인 임상시험(traditional clinical trial)과 비교/대조하여 임상시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경제적인 비용을 줄이며 보다 적은 표본 크기(sample size)에 더 높은 검정력(power)으로 더 나은 연구 결과를 제시하는 데에 큰 의의를 두었다. 하지만 적응적 임상시험의 단점/한계점으로는 적응적 임상시험 사용에 있어서 기존의 임상시험 보다 통계학적, 규제적 및 기술적인 발전과 연구가 더 필요함을 제안하였고, 유효성(efficacy) 결과 도출 및 비효과적인 약물군 및 치료군에 대한 연구의 제한이 있었으며 일반화에 대한 오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적응적 임상시험 사용 시에 어떻게 적절하고 체계적으로 적용해야함을 함께 제시하였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도입 1
  • 1.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정의 1
  • 2.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연구현황 2
  • 3.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연구 필요성 4
  • 4.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연구 목적 5
  • 5.논문의 구성 6
  • 제2절 배경 6
  • 1.적응적 임상시험의 특징 6
  • 2.적응적 임상시험의 선행연구 7
  • 제3절 연구방법 11
  • 1.연구의 요약 11
  • 2.연구 디자인 내용 12
  • 3.연구 가설의 설정 13
  • 제2장 본론 14
  • 제1절 적응적 임상시험의 분류와 종류 14
  • 1.적응적 임상시험의 의미상 분류 14
  • 2.적응적 임상시험의 절차상 분류 15
  • 3.적응적 임상시험의 종류 16
  • 제2절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 19
  • 1.적응적 임상시험 사례 19
  • 2.적응적 임상시험 사례들의 고찰 19
  • 3.적응적 임상시험 사례들의 고찰 결과 분석 35
  • 제3장 결론 40
  • 제1절 연구의 요약 40
  • 제2절 연구의의 40
  • 제3절 한계점 41
  • 제4절 향후 연구 방향 41
  • 참고 문헌 43
  • Abstract 5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48 9 보건의료 진단서의 증명력 : 상해진단서를 중심으로 / 이동진 2017  332
324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유전자 알고리즘 / 유성민 2016  332
3246 9 보건의료 생후 90일 이하의 영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과 관련된 위험인자 / 임연주 외 2014  332
32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이태연, 권윤희 2014  332
3244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 이현정 2012  332
3243 17 신경과학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2018  331
3242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31
324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백수진, 권복규 2007  331
324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역사 / 김창곤 2019  330
3239 17 신경과학 재난대응공무원의 정신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석혜민 2016  330
»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2016  330
3237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0
3236 15 유전학 CRISPR/Cas 지놈 편집 기술을 이용한 빠른 세대전환 유전자 조작 생쥐 생성 / 이희우, 성정준, 김혜민, 이재삼 2014  330
3235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3234 9 보건의료 병원 공간과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특성 연구 / 허지나, 이수진 2014  329
3233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기록 신뢰성보장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 - 우수연구실운영규정(GLP)을 중심으로 - / 염경은 2007  329
323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29
3231 4 보건의료 철학 국내 의료계에서 시행 중인 금전적 인센티브 제도의 윤리적 쟁점들/정유석, 박석건 2015  329
323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중단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 김혁돈 2006  329
322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의료소송 판결문의 원인분석 방법의 활용 / 이원, 김소윤, 이미진 2014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