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ERIS Economic Quarterl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716083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저자명

    신윤정                                              

  • 학술지명

    KERIS Economic Quarterly                           

  • 권호사항

    Vol.16 No.35 [2017]                                                      

  • 발행처

    한국경제연구원                                    

  • 발행처 URL

    http://www.keri.org/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4(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KDC

    322

  • 초록 (Abstract)
    • 본 고는 아시아 저출산 국가들의 보육 정책을 중심으로 특징적인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출산율 제고와 여성의 경제활 동 제고 등 저출산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국내 보...
  • 본 고는 아시아 저출산 국가들의 보육 정책을 중심으로 특징적인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출산율 제고와 여성의 경제활 동 제고 등 저출산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국내 보육 정책이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3~5세를 위한 유아 조기 교육 체계는 한국, 일본, 대만, 홍콩과 같은 아시아 선진국에서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나, 0~2세 영아 보육은 한국을 제외하고 다른 국가에서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보 통합을 위한 노력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국가에서 0~2세 영아 보육과 3~5세 유아 교육으로 분리된 체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보육료는 이용시간, 자녀수,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게 부과하고 있으며 보육 비용에 대한 정부 지원도 이러한 기준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 보육 서비스에 대한 강한 선호로 인하여 아시아 저출산국가들은 공식적 보육 서비스와 함께 비공식적인 개인 보육 서비스도 널리 이용하고 있었다. 국내 보육 정책의 발전과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으로서 첫째, 3~5세 유아 교육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가 요청된다. 둘째, 0~2세 영아 보육은 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보육 필요성에 근거하여 차등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여성들의 경제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육 서비스 확대 뿐만 아니라 노동 시장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과 일가정양립 및 가족친화 문화 조성을 위한 노력이 요청된다. 넷째, 개인 돌봄 서비스는 양질의 적정한 임금이 보장되는 여성 돌봄 일자리로서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시설 보육 서비스와 함께 아동 발달을 위한 시너지 효과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목적
  • Ⅱ. 아시아 국가들의 출산율, 여성 경제활동, 보육시설 이용율
  • Ⅲ. 각 국가의 영유아 보육교육 체계 현황
  • Ⅴ.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68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26
3667 9 보건의료 국내 메르스(MERS) 사태가 남긴 과제와 법률에 미친 영향에 대한 소고(小考)/윤종태 2015  426
3666 1 윤리학 생명윤리법 제조과정에 있어서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 한성구 2004  426
366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26
3664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5
3663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의료과오 책임에 관한 연구/장미희 2014  425
3662 8 환자 의사 관계 종합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와 가족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지식 정도, 경험, 태도,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윤은숙 2009  425
3661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입법적 고찰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 박준태 2010  425
366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계획서 지식, 생명의료윤리 의식 및 호스피스 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유진 2019  424
365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재 / 김홍진 2001  424
3658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연구에서의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확보 방안 /박은정 2015  424
365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2015  423
3656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3655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3
3654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실험연구의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박보배 2013  423
3653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2013  423
3652 14 재생산 기술 동결 배아 이식에서의 동결 배아 보존 방법에 따른 임상 결과 비교 연구 / 이아름 2016  422
3651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 최윤정 2010  422
3650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3649 12 낙태 저출산 '문제'의 담론적 구성과 정책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강은애 2019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