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ERIS Economic Quarterl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716083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저자명

    신윤정                                              

  • 학술지명

    KERIS Economic Quarterly                           

  • 권호사항

    Vol.16 No.35 [2017]                                                      

  • 발행처

    한국경제연구원                                    

  • 발행처 URL

    http://www.keri.org/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4(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KDC

    322

  • 초록 (Abstract)
    • 본 고는 아시아 저출산 국가들의 보육 정책을 중심으로 특징적인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출산율 제고와 여성의 경제활 동 제고 등 저출산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국내 보...
  • 본 고는 아시아 저출산 국가들의 보육 정책을 중심으로 특징적인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출산율 제고와 여성의 경제활 동 제고 등 저출산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국내 보육 정책이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3~5세를 위한 유아 조기 교육 체계는 한국, 일본, 대만, 홍콩과 같은 아시아 선진국에서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나, 0~2세 영아 보육은 한국을 제외하고 다른 국가에서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보 통합을 위한 노력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국가에서 0~2세 영아 보육과 3~5세 유아 교육으로 분리된 체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보육료는 이용시간, 자녀수,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게 부과하고 있으며 보육 비용에 대한 정부 지원도 이러한 기준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 보육 서비스에 대한 강한 선호로 인하여 아시아 저출산국가들은 공식적 보육 서비스와 함께 비공식적인 개인 보육 서비스도 널리 이용하고 있었다. 국내 보육 정책의 발전과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으로서 첫째, 3~5세 유아 교육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가 요청된다. 둘째, 0~2세 영아 보육은 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보육 필요성에 근거하여 차등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여성들의 경제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육 서비스 확대 뿐만 아니라 노동 시장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과 일가정양립 및 가족친화 문화 조성을 위한 노력이 요청된다. 넷째, 개인 돌봄 서비스는 양질의 적정한 임금이 보장되는 여성 돌봄 일자리로서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시설 보육 서비스와 함께 아동 발달을 위한 시너지 효과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목적
  • Ⅱ. 아시아 국가들의 출산율, 여성 경제활동, 보육시설 이용율
  • Ⅲ. 각 국가의 영유아 보육교육 체계 현황
  • Ⅴ.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68 5 과학 기술 사회 미국의 사이버안보법상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이성엽 2018  103
3667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3
3666 2 생명윤리 한국 의생명연구 이해상충에 대한 기관 단위의 관리방안 연구 / 신연선 2018  103
366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기술 거버넌스 / 이준석 2015  103
3664 1 윤리학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과학기술 윤리교육 현황 / 이향연 외 2009  103
3663 2 생명윤리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부모교육 교재 분석 / 정명애 2013  103
3662 10 성/젠더 복지국가의 일∙가족양립정책과 성역할 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 전태양 2018  103
3661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3
3660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365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보완방안 / 임효준 2015  104
3658 2 생명윤리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윤리교육의 모색 / 백지연 2017  104
365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맞춤형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6  104
3656 23 연구윤리 초등교사의 과학연구윤리 의식과 과학전람회 지도 과정에서 과학연구윤리 준수 실태 조사 / 남경선 2017  104
3655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 정성훈 2014  104
3654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건강권의 법적 토대와 그 실현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고찰 / 정민수 외 2014  104
3653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3652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출산장려를 위한 가족정책의 젠더적 함의 / 김민정 2018  104
365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이 지식을 가질 수 있는가? : 폐쇄 버전의 쉬운 지식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과 그 해결책이 함축하는 것 / 오희철 2018  104
3650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인체조직 유통 및 기증의 현황과 세법측면에서의 개선점 :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 최경아 2012  104
3649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