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257632 
신경줄기세포에서 유전자 도입 효율 최적화

                               

  • 기타서명

    Optimization of transfection conditions in neural stem cells

  • 저자

    김우석                                       

  • 형태사항

    29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현정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약물학 전공 2013. 8

  • 발행국

    서울

  • 언어

    영어

  • 출판년

    2013                                                                                                                                                                                                   

  • 초록 (Abstract)
    • 신경줄기세포는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 등 중추신경계를 구성하는 중추신경계를 구성하는 주요세포들로 분화하는 잠재성을 갖는 세포이다. 이에 따라 신경줄기세포는 중추신경계 구성 ...
  • 신경줄기세포는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 등 중추신경계를 구성하는 중추신경계를 구성하는 주요세포들로 분화하는 잠재성을 갖는 세포이다. 이에 따라 신경줄기세포는 중추신경계 구성 세포들의 퇴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그리고 헌팅턴병 등의 신경퇴행성질환에 대한 세포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성공적인 세포 치료를 위해서는 신경줄기세포의 특정 세포로의 정교한 분화 조절이 필수적인데, 이를 위하여는 신경줄기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조절하는 분자적 기전을 밝혀 내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분자적 기전을 연구함에 있어서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가 유전자도입을 이용한 외부 DNA 혹은 RNA의 세포 내 도입을 통해 특정 유전자를 과발현 시키거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세포 내에서 특정 유전자의 역할을 연구하는 것이다.
    신경줄기세포는 유전자도입이 어려운 세포이므로, 지질매개 유전자도입 등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으로는 충분한 효율로 유전자도입을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신경줄기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충분하게 조절하기 위하여는 유전자도입 효율을 높여 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질매개 유전자도입, 일렉트로포레이션 그리고 누클레오펙션의 세 가지 유전자도입 방법을 비교하여, 신경줄기세포에서 효과적으로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조건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위의 세 가지 유전자도입 방법 중 누클레오펙션이 신경줄기세포에 외부 유전자를 도입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누클레오펙션이 과발현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 과발현 뿐 아니라, 짧은 간섭 RNA를 이용한 유전자발현 억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신경줄기세포에 과발현 벡터가 짧은 간섭 RNA와 함께 누클레오펙션 되었을 때에도 유전자 과발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졌다.
    이러한 발견들은 누클레오펙션이 신경줄기세포에서 유전자도입을 통한 특정 유전자 발현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누클레오펙션이 특정 유전자들이 신경줄기세포 운명을 결정짓는 분자적 기전의 연구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1
  • Ⅱ. Materials and Methods 3
  • Ⅲ. Results 7
  • Ⅳ. Discussion 17
  • Ⅴ. References 21
  • Ⅵ. 국문초록 26
  • Ⅶ. Abstract 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248 9 보건의료 신약 접근성 개선 정책이 등재율 및 등재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김은숙 2017  200
224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인간중심주의 /이봉재 2005  200
2246 5 과학 기술 사회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법과 기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이진태 2005  200
2245 9 보건의료 의료관련 일본어 용어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김정수 2016  200
224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활성화 방안 연구 / 주지은 2016  200
2243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2242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2008  200
2241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0
2240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상태와 사전의료지시에 관한 연구 / 편혜준 2012  200
2239 13 인구 초기 미국 영화로 보는 우생학과 산아제한운동 / 김효정 2018  199
2238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 신자현 2013  199
2237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
2236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보건의료정책 평가 / 백은혜 2017  199
2235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2234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필요한 통계방법들에 대한 고찰 / 강승호 2012  199
2233 14 재생산 기술 난자 및 배아성숙이 시험관아기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이여일 1997  199
2232 9 보건의료 한국형 체외진단제품 품목 및 등급분류 체계 제안 / 임영애 2012  199
223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2009  199
2230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유전상담 현황과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김민지 외 2010  199
2229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과제에 대한 법적 분석/박노형, 정명현, 이선 2015  199